Aphorism
아포리즘(경구, 격언; ‘한계 혹은 범위 설정’, ‘구별’, ‘정의’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ἀφορισμός[아포리스모스]’에서 유래)은 일반적인 진리나 원칙을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무뚝뚝해 보일 정도로 짧게, 불필요한 단어나 세부 사항 없이 건조하고 재치 있게 ㅡ 간결하게 ㅡ 또는 기억에 남는 방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An aphorism (from Greek ἀφορισμός: aphorismos, denoting ‘delimitation’, ‘distinction’, and ‘definition’) is a concise, terse, laconic, or memorable expression of a general truth or principle. Aphorisms are often handed down by traditi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이 개념은 일반적으로 속담 형태로 일반적인 경험이나 관찰을 표현하는 전통적인 금언, 법적 추론에 대해 근본적인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법적 원칙, 교차 대구법, 풍자시 또는 간결하고 재치 있는 진술, (법적 또는 철학적) 격률, 원리, 속담, 언행과 구별되지만, 이러한 개념 중 일부는 아포리즘의 유형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concept is generally distinct from those of an adage, brocard, chiasmus, epigram, maxim (legal or philosophical), principle, proverb, and saying; although some of these concepts may be construed as types of aphorism.
종종 아포리즘은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해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다른 짧은 말하기와 구별된다. 『아포리즘의 이론』에서 앤드류 후이는 아포리즘을 “해석이 요구되는 짧은 말”로 정의했다.
Often aphorisms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short sayings by the need for interpretation to make sense of them. In A Theory of the Aphorism, Andrew Hui defined an aphorism as “a short saying that requires interpretation”.
유명한 예가 있다: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는 없다.”
—헤라클레이토스
A famous example is:
It is not possible to step into the same river twice.
— Heraclitus
역사
History
이 단어는 히포크라테스의 『잠언집』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는 질병의 증상과 진단 그리고 치유와 의술에 관한 일련의 명제들로 이루어진 긴 저작이다. 이 작품에서 자주-인용되는 첫 문장은 다음과 같다: “오 비오스 브락쉬스, 데 테크네 마크레[고대 그리스어]” –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일반적으로 순서가 뒤바뀐다 (아르스 롱가, 비타 브레비스[라틴어]; 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
The word was first used in the Aphorisms of Hippocrates, a long series of propositions concerning the symptoms and diagnosis of disease and the art of healing and medicine. The often-cited first sentence of this work is: “Ὁ βίος βραχύς, δὲ τέχνη μακρή” – “life is short, art is long”, usually reversed in order (Ars longa, vita brevis).
이 아포리즘은 이후 물리학에 적용되거나 변형되었고 나중에 철학, 도덕, 문학의 다양한 아포리즘으로 변모했다. 현재, 아포리즘은 일반적으로 간결하고 설득력 있는 진리의 진술로 이해되고 있다.
This aphorism was later applied or adapted to physical science and then morphed into multifarious aphorisms of philosophy, morality, and literature. Currently, an aphorism is generally understood to be a concise and eloquent statement of truth.
아포리즘은 일반적으로 경험과 관습에서 비롯된 반면 공리는 자명한 진리이므로 추가적인 증명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완전히 다르다. 아포리즘은 원래 체계적이거나 과학적인 접근이 적용되지 않았던 농업, 의학, 법학, 정치학 같은 주제에서 특히 많이 사용되었다.
Aphorisms are distinct from axioms: aphorisms generally originate from experience and custom, whereas axioms are self-evident truths and therefore require no additional proof. Aphorisms have been especially used in subjects to which no methodical or scientific treatment was originally applied, such as agriculture, medicine, jurisprudence, and politics.
문학
Literature
때때로 지혜 문학이라고도 하는 격언집은 인도의 금언집, 성서의 전도서, 이슬람의 하디스, 피타고라스의 「황금 시편」, 헤시오도스의 「일과 날」, 델포이 신전의 경구, 에픽테토스 편람 등 여러 고대 사회의 주요 문헌 목록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아포리즘 모음집은 또한 일부 현대 저자들의 작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피터르 브뤼헐 더 아우더가 1559년 오크 패널에 유화로 그린 〈네덜란드 속담〉(‘파란 망토’ 또는 ‘뒤죽박죽 세상’이라고도 함)은 당시 플랑드르 아포리즘(속담)이 문자 그대로 표현된 땅을 예술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Aphoristic collections, sometimes known as wisdom literature, have a prominent place in the canons of several ancient societies, such as the Sutra literature of India, the Biblical Ecclesiastes, Islamic hadiths, the golden verses of Pythagoras, Hesiod’s Works and Days, the Delphic maxims, and Epictetus’ Handbook. Aphoristic collections also make up an important part of the work of some modern authors. A 1559 oil–on–oak-panel painting, Netherlandish Proverbs (also called The Blue Cloak or The Topsy Turvy World) by Pieter Bruegel the Elder, artfully depicts a land populated with literal renditions of Flemish aphorisms (proverbs) of the day.
가장 먼저 출판된 격언집은 에라스무스의 『아다지아』이다. 또 다른 중요한 초기 격언 작가(아포리스트)로는 발타사르 그라시안, 프랑수아 드 라로슈푸코 공작, 블레즈 파스칼이 있다.
The first noted published collection of aphorisms is Adagia by Erasmus. Other important early aphorists were Baltasar Gracián, François de La Rochefoucauld, and Blaise Pascal.
20세기에 출판된 두 가지 영향력 있는 격언집은 스타니스와프 예지 레츠(1909-1966)의 『흐트러진 생각』(폴란드어)과 미하일 튜로브스키(1933-)의 『지혜의 가려움증』(러시아어 및 영어)이다.
Two influential collections of aphorisms published in the twentieth century were Unkempt Thoughts by Stanisław Jerzy Lec (in Polish) and Itch of Wisdom by Mikhail Turovsky (in Russian and English).
사회
Society
많은 사회에서는 예를 들면 고대 그리스 칠현, 차나캬(375~283 B.C.), 공자(551-479 B.C.), 솔로몬 왕처럼, 아포리즘이 자주 귀속되는 전통적인 현인이나 문화영웅이 있다.
Many societies have traditional sages or culture heroes to whom aphorisms are commonly attributed, such as the Seven Sages of Greece, Chanakya, Confucius, or King Solomon.
잘못 인용되거나 잘못 알려진 아포리즘은 유머의 원천으로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P. G. 우드하우스(작가, 1881-1975), 테리 프래쳇(소설가, 1948-2015), 더글러스 애덤스(각본가, 1952-2001)의 작업에는 아포리즘의 단어 놀이가 등장한다.
Misquoted or misadvised aphorisms are frequently used as a source of humour; for instance, wordplays of aphorisms appear in the works of P. G. Wodehouse, Terry Pratchett, and Douglas Adams. Aphorisms being misquoted by sports players, coaches, and commentators form the basis of Private Eye’s Colemanballs section.
철학
Philosophy
『아포리즘의 이론』의 저자, 앤드류 후이 인문학 교수는 아포리즘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의를 제안했다: “해석이 요구되는 짧은 말”. 후이는 전 세계 전통에서 가장 초기의 철학 텍스트 중 일부가 아포리즘 스타일을 사용했음을 보여주었다. 헤라클레이토스와 파르메니데스 같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에서 볼 수 있듯, 서양 철학 정전에서 가장 초기 텍스트 중 일부는 해석을 필요로 하는 짧은 문장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 힌두 문학에서, 베다는 많은 아포리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초기 중국 철학에서, 『도덕경』과 『논어』 같은 텍스트는 아포리즘 스타일에 의존했다. 프랜시스 베이컨, 블레즈 파스칼,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 프리드리히 니체는 현대에 아포리즘을 사용한 가장 주목할 만한 철학자 중 일부로 꼽힌다.
Professor of Humanities Andrew Hui, author of A Theory of the Aphorism offered the following definition of an aphorism: “a short saying that requires interpretation”. Hui showed that some of the earliest philosophical texts from traditions around the world used an aphoristic style. Some of the earliest texts in the western philosophical canon feature short statements requiring interpretation, as seen in the Pre-Socratics like Heraclitus and Parmenides. In early Hindu literature, the Vedas were composed of many aphorisms. Likewise, in early Chinese philosophy, Taoist texts like the Tao Te Ching and the Confucian Analects relied on an aphoristic style. Francis Bacon, Blaise Pascal, Desiderius Erasmus, and Friedrich Nietzsche rank among some of the most notable philosophers who employed them in the modern time.
앤드류 후이는 아포리즘이 철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철학적 전통에서 선호되는 매체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그는 플라톤의 『대화편』이 해석하기 어려운 단편과 문구로 유명했던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사상에 대한 응답으로 작용했다고 주장했다. 후이는 아포리즘이 종종 보다 체계적인 논증 철학의 이전, 이후 또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등장한다고 제안한다. 예를 들어, 유가의 경우처럼 아포리즘을 해석하고 설명하려는 시도로 구성된 것이 체계적인 철학이기 때문에, 아포리즘이 체계적인 철학보다 앞설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니체의 작업에서 볼 수 있듯, 아포리즘은 체계적인 철학에 대한 도전이나 반발의 형태로 쓰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낡은 사고방식에 종지부를 찍고자 했던 프랜시스 베이컨의 경우처럼, 아포리즘은 체계적인 철학의 뒤를 따르거나 그 뒤에 나올 수도 있다.
Andrew Hui argued that aphorism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nfluencing the favored mediums of philosophical traditions. He argued for example, that the Platonic Dialogues served as a response to the difficult to interpret fragments and phrases which Pre-Socratic philosophers were famous for. Hui proposes that aphorisms often arrive before, after, or in response to more systematic argumentative philosophy. For example, aphorisms may come before a systematic philosophy, because the systematic philosophy consists of the attempt to interpret and explain the aphorisms, as he argues is the case with Confucianism. Alternately, aphorisms may be written against systematic philosophy, as a form of challenge or irreverence, as seen in Nietzsche’s work. Lastly, aphorisms may come after or following systematic philosophy, as was the case with Francis Bacon, who sought to bring an end to old ways of thinking.
- 출처 : 「Aphorism」, Wikipedia(en), 2024.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