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al phenomenology
건축 현상학은 건축학 분야에서 현상학의 철학적 통찰을 이해하고 구현하려는 담론적이며 현실적인 시도이다. 건축의 현상학은 현상학의 방법을 활용하여 건축을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데이비드 시먼(1948-)은 이를 “건조 환경과 인간 삶의 품질과 특징에 의해 구성되는 건축적 경험, 상황, 의미를 기술적이고 해석적인 설명”으로 정의한다.
Architectural phenomenology is the discursive and realist attempt to understand and embody the philosophical insights of phenomenology within the discipline of architecture. The phenomenology of architecture is the philosophical study of architecture employing the methods of phenomenology. David Seamon defines it as “the descriptive and interpretive explication of architectural experiences, situations, and meanings as constituted by qualities and features of both the built environment and human life”.
건축 현상학은 전후 모더니즘의 반(反)역사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혼성모방과는 대조적으로 인간의 경험, 배경, 의도, 역사적 성찰, 해석, 그리고 시적 및 윤리적 고려를 강조한다. 현상학 자체와 마찬가지로, 건축 현상학은 특정한 미학이나 운동이라기보다 사고하고 창조하는 방식에 대한 하나의 지향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건축계에서 현상학에 대한 관심은 195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에 널리 확산되었고,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다.
Architectural phenomenology emphasizes human experience, background, intention and historical reflection, interpretation, and poetic and ethical considerations in contrast to the anti-historicism of postwar modernism and the pastiche of postmodernism. Much like phenomenology itself, architectural phenomenology is better understood as an orientation toward thinking and making rather than a specific aesthetic or movement. Interest in phenomenology within architectural circles began in the 1950s, reached a wide audience in the late 1970s and 1980s, and continues today.
역사적 전개
Historical development
기원
Origins
에드문트 후설(1859-1938)은 20세기 초,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접근 방식으로 현상학을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상학의 출현은 모더니즘으로 불리는 광범위한 변화의 시기에 일어났다. 이 시기에 서구 사회는 급속한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동시에, 건축의 이론과 실무가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면서 현대 건축이 등장했다. 전통의 거부로 특징지어지는 모더니즘의 광범위한 맥락 속에서 현상학과 현대 건축 모두 인간이 환경을 어떻게 경험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현상학은 인간이 사물과 공간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 반면, 현대 건축은 당시의 모더니즘 정신에 맞춰 인간 경험의 장소를 어떻게 창조할 것인지에 관심을 가졌다.
Edmund Husserl is credited with founding Phenomenology, as a philosoph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experie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emergence of Phenomenology occurred during a period of extensive transformation referred to as Modernism. During this time, Western society was experiencing rapid technological advances and social change. Concurrently, as the theory and practice of architecture adapted to these changes, Modern architecture emerged. Consistent within the broad context of Modernism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rejection of tradition, both phenomenology and modern architecture were focused on how humans experience their environments. While Phenomenology was focused on how humans can know things and spaces, modern architecture was concerned with how to create the places of human experience aligned to the modernist ethos of the time.
현상학적 틀 안에 건축을 껴맞추기 위한 초기 접근은 1940년대에 시작되었다.
The early approaches to fit the architecture within the phenomenological framework started in the 1940s.
후설의 본질 환원(eidetic reduction) 방법은 마음이 – 건축의 경우 색상과 모양 – 날것의 일시적인 감각 데이터를 “본질”, 즉 시간을 초월한 건축적 형식으로 추상화할 수 있도록 한다. 과거 경험, 현재 감각, 그리고 예감의 이러한 매끄러운 종합에 대한 제안은 합리화하거나 과학으로 전락하지 않고 옳고 그름에 대한 절대적인 판단을 제공함으로써 낭만주의 건축 학파에 매우 잘 어울렸다.
Husserl’s method of eidetic reduction allows the mind to abstract the raw and transitory sensory data – colors and shapes in case of architecture – into the “essences”, the timeless architectural forms. This suggestion of seamless synthesis of past experience, present senses, and premonitions suited very well the school of Romantic architecture by providing absolute judgements on rights and wrongs without rationalizing and devolving into science.
초기 건축 연구 (1950-1960년대)
Early Architectural Studies (1950s-1960s)
건축가들은 1950년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장 라바투트(1899-1986)의 영향 아래 처음으로 현상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1950년대에 건축가 찰스 W. 무어(1925-1993)는 라바투트의 지도 아래 박사 과정을 밟는 동안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1884-1962)의 영향을 크게 받아 건축에 대한 최초의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 연구는 1958년 『물과 건축』으로 출판되었다. 유럽에서는 밀라노 출신 건축가 에르네스토 나단 로저스(1909-1969)가 1950년대와 1960년대 초 이탈리아 디자인 잡지 《카사벨라 콘티뉴이타》의 영향력 있는 편집 활동을 통해 건축 현상학을 발전시켰다. 그는 철학자 엔초 파치(1911-1976)와 협력했으며, 비토리오 그레고티(1927-2020)와 알도 로시(1931-1997)를 포함한 젊은 건축가 세대에 영향을 미쳤다.
Architects first started seriously studying phenomenology at Princeton University in the 1950s under the influence of Jean Labatut. In the 1950s, architect Charles W. Moore conducted some of the first phenomenological studies of architecture during his doctoral studies under Labatut, drawing heavily on the philosopher Gaston Bachelard, which were published in 1958 as Water and Architecture. In Europe, Milanese architect Ernesto Nathan Rogers advanced architectural phenomenology during the 1950s and early 1960s through his influential editorship of the Italian design magazine Casabella Continuità. He collaborated with philosopher Enzo Paci and influenced a generation of young architects including Vittorio Gregotti and Aldo Rossi.
환경-행동 연구 (1970-1980년대)
Environment-behavioral studies (1970s-early 1980s)
환경-행동 연구(EBS)라는 학제 간 분야가 1970년대에 미국, 캐나다, 영국의 여러 건축 프로그램에 도입되었다. “건축 심리학”, “행동 지리학”, “환경 심리학” 또는 “디자인에서의 휴먼 팩터”라고도 불리는 이 학문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1936-2022), 케빈 린치(1918-1984), 오스카 뉴먼(1935-2004)과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EBS 연구가 실증주의적이었지만, 그 이면에 있는 사상은 현상학적 성향을 가진 “인본주의 지리학자들”(에드워드 렐프, 이-푸 투안)에게 영향을 미쳤다.
A interdisciplinary field of environment-behavior studies (EBS) was introduced into multiple American, Canadian, and British architecture programs in the 1970s. Also called “architectural psychology,” “behavioral geography,” “environmental psychology,” or “human factors in design,” the discipline is associated with Christopher Alexander, Kevin A. Lynch, and Oscar Newman. While most of the EBS research was positivist, the thought behind it influenced the phenomenologically inclined “humanistic geographers” (Edward Relph, Yi-Fu Tuan).
에식스 스쿨 (1970-1980년대)
The Essex School (1970s-1980s)
1970년대, 달리보르 베셀리(1934-2015)와 조셉 리쿼트(1926-2024)의 지도 아래 에식스 대학교의 비교연구 학부는 데이비드 레더바로우(1953-), 알베르토 페레즈-고메즈(1949-), 다니엘 리베스킨트(1946-) 등 건축 현상학자 세대를 길러내는 온상이었다. 1980년대에 베셀리와 그의 동료 피터 칼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연구와 교육을 통해 건축 현상학을 계속 발전시켰다. 건축 현상학이 학계에 자리를 잡으면서, 교수들은 가스통 바슐라르와 마르틴 하이데거(1889-1976)를 넘어 에드문트 후설, 모리스 메를로-퐁티(1908-1961), 한스-게오르크 가다머(1900-2002), 한나 아렌트(1906-1975), 그리고 질 들뢰즈(1925-1995), 앙리 베르그송(1859-1941), 폴 비릴리오(1932-2018), 찰스 테일러(1931-), 휴버트 드라이퍼스(1929-2017), 에드워드 S. 케이시(1939-) 등 현상학적 사고방식에 가까운 이론가들을 포함하여 이론 세미나를 통해 그 고려 사항을 넓혀나갔다. 조지 베어드(1939-2023)는 에식스 학파를 “현재 건축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최근의 현상학적 방식”이라고 불렀고, 건축 현상학이 리쿼트, 무어, 라바투트가 옹호했던 메를로-퐁티 대신 하이데거에 역사적으로 의존하게 된 것을 베셀리의 영향으로 돌렸다. 1980년대에 케네스 프램튼(1930-)은 건축 현상학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In the 1970s, the School of Comparative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Essex, under the direction of Dalibor Vesely and Joseph Rykwert, was a breeding ground for a generation of architectural phenomenologists, including David Leatherbarrow, Alberto Pérez-Gómez, and Daniel Libeskind. In the 1980s, Vesely and his colleague Peter Carl continued to develop architectural phenomenology in their research and teaching at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As architectural phenomenology became established in academia, professors expanded its considerations through theory seminars beyond Gaston Bachelard and Martin Heidegger, to include Edmund Husserl, Maurice Merleau-Ponty, Hans-Georg Gadamer, Hannah Arendt and theorists whose modes of thinking bordered on phenomenology, including Gilles Deleuze, Henri Bergson, Paul Virilio, Charles Taylor, Hubert Dreyfus and Edward S. Casey. George Baird called the Essex School “the most significant recent mode of phenomenology in current architectural theory” and credits Vesely for architectural phenomenology’s historical reliance on Heidegger instead of Merleau-Ponty, who was championed by Rykwert, Moore, and Labatut. During the 1980s, Kenneth Frampton became an influence in architectural phenomenology.
1979년, 노르웨이의 건축가, 이론가, 역사가인 크리스티안 노르베르그-슐츠의 저서 『장소의 혼: 건축의 현상학을 향하여』는 이러한 접근 방식이 설계로 어떻게 변환될 수 있는지를 쉽게 설명하면서 1980년대에 이 주제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중요한 레퍼런스가 되었다. 이 책은 마르틴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존재론에 뚜렷한 영향을 받았다. 노르베르그-슐츠는 오슬로 건축학교에서 그의 후임자인 토마스 티스-에벤센(1946-)을 포함하여 많은 추종자를 낳았다.
In 1979, Norwegian architect, theorist and historian Christian Norberg-Schulz’s book Genius Loci: Towards a Phenomenology of Architecture became an important reference for those interested in the topic in the 1980s for its readily accessible explanations for how a such an approach could be translated into design. The book was markedly influenced by Martin Heidegger’s hermeneutic ontology. Norberg-Schulz spawned a wide following, including his successor at the Oslo School of Architecture, Thomas Thiis-Evensen.
현대 건축 현상학 (2010-현재)
Contemporary Architectural Phenomenology (2010-present)
최근 건축 현상학에 대한 학술 활동은 현대 현상학과 심리철학을 연구하는 갤러거와 자하비의 연구에 의지하고 있다. 일부 사례로는 건축 잡지 《로그》의 2018년 “방향감각상실의 현상학” 특집호, 호르헤 오테로-파일로스(1971-)의 『건축의 역사적 전환』(2010), 사라 아메드(1969-)의 『퀴어 현상학』(2006), 딜런 트리그의 『The Thing: 공포의 현상학』(2014), 알렉산더 웨헬리예의 『하베아스 비스쿠스』(2014), 조셉 베드퍼드의 학위 논문 「창의성의 그림자: 달리보르 베슬리, 현상학 및 건축 교육 1968-1989」 등이 있다. 가상 현실이 건축적 경험으로 확장됨에 따라 현상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생겨났다. 헤더 르네 바커의 『사악한 전략과 세계 구축, 포스트-버추얼 아키텍처 디자인하기』(2019)는 이러한 맥락에서 현상학적 방법과 생활 세계를 다룬다. 현대 학계에서는 하이데거의 영향에 대해 점점 더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현상학은 1980년 이후 건축 이론에서 점차 “최첨단” 이론들에 의해 대체되어 왔으나, 여전히 알바 알토(1898-1976), 안도 타다오(1941-), 스티븐 홀(1947-), 루이스 칸(1901-1974), 알도 반 아이크(1918-1999), 페터 춤토어(1943-) 등의 작품과 연관되어 있다.
Recent scholarly activity in architectural phenomenology draws on contemporary phenomenology and philosophy of mind authors Gallagher and Zahavi. Some examples include a 2018 issue of Log with the theme “Disorienting phenomenology” as well as Jorge Otero-Pailos’ Architecture’s Historical Turn, Sara Ahmed’s Queer Phenomenology, Dylan Trigg’s The Thing, Alexander Weheliye’s Habeas Viscus, and Joseph Bedford’s dissertation Creativity’s Shadow: Dabilor Vesely, Phenomenology and Architectural Education (1968 – 1989). With the expansion of virtual reality as architectural experiences there is new attention to Phenomenology. Heather Renee Barker’s Designing Post-Virtual Architectures, Wicked Tactics and World Building addresses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nd the life-world within this context. Contemporary scholarship has become more skeptical of Heidegger’s influence. The phenomenology has been gradually displaced in the architectural theory by other “cutting-edge” ideas since 1980, but remains associated with works of Alvar Aalto, Tadao Ando, Steven Holl, Louis Kahn, Aldo van Eyck, and Peter Zumthor.
테마
Themes
거주하기
Dwelling
사회 속 존재와 사회적 세계 내 거주에 대한 현상학적 관점이 주목받으면서, 도시 및 사회적 경험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었고 알프레드 슈츠(1899-1959) 같은 사회 철학자들의 사상에서 중요한 주제가 되었다. 하이데거의 에세이, 「짓기, 거주하기, 사유하기」(원래 1954년에 「바우엔, 보우넨, 덴켄」으로 출판됨)에서 설명된 것처럼, 거주라는 현상은 건축 현상학에서 중요한 테마가 되었다. 하이데거는 거주를 “사방(四方)의 아울러 모임”, 즉 “대지의 보존, 하늘의 수용, 필멸자를 죽음으로 인도함, 그리고 신성(divinities)의 기다림/기억”이라는 현상에 의해 수반되는 존재의 영역과 관련짓는다. 그에게 기술의 본질이 그 자체로 기술적인 것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거주의 본질은 그 자체로 건축적인 것은 아니다.
As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n being in society and dwelling within a social world took focus, expanded interest in the urban and social experience became central to the thinking of social philosophers like Alfred Schutz. The phenomenon of dwelling, as explicated in Heidegger’s essay “Building Dwelling Thinking” (originally published in 1954 as “Bauen Wohnen Denken”), became an important theme in architectural phenomenology. Heidegger links dwelling to the “gathering of the fourfold,” namely the regions of being entailed by the phenomena of “the saving of earth, the reception of sky (heavens), the initiation of mortals into their death, and the awaiting/remembering of divinities.” The essence of dwelling is not architectural, per se, in the same manner that the essence of technology for him is not technological per se.
환경적 체현
Environmental embodiment
환경적 체현이란, 생활 세계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한 사람(“경험된 신체”)이 지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람은 “강철의 탄성을 본다”거나 “마차의 딸그락거리는 소리에서 자갈돌의 단단함과 울퉁불퉁함을 듣는다”). 유하니 팔라스마(1936-)에 따르면, 21세기 건축물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 것에 너무 치중하며, 더 많은 “다면적 가치를 지닌 감각성”이 필요하다. 토마스 티스-에벤센은 바닥, 벽, 지붕에 의해 확립되는 실내와 실외의 관계를 움직임, 무게, 물질에 대한 “실존적 표현”을 통해 강조할 것을 제안한다. “움직임”은 역동성, 시각적 관성 (요소가 팽창하는 것처럼 보이는가? 안정적으로 보이는가?)에 대한 지각에 상응하며, “무게”는 요소가 무거워 (또는 가벼워) 보이는 것에 상응한다. “물질”은 재료의 겉모습(표면이 닿았을 때 차갑게 느껴질지, 부드럽게 느껴질지)과 같은 인상이다.
Environmental embodiment is the perceptual awareness of a person (“lived body”) in its interaction with the lifeworld (for example, a person “sees the springiness of steel” or “hear[s] the hardness and unevenness of cobbles in the rattle of a carriage”). According to Juhani Pallasmaa, the 21st century buildings are too heavy on being visually striking and need more “multivalent sensuousness”. Thomas Thiis-Evensen suggests emphas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established by floor, walls, and roof, through “existential expressions” of motion, weight, and substance. “Motion” corresponds to the perception of dynamics, visual inertia (does an element appear to expand? be stable?); “weight” to the element looking heavy (or light); “substance” is the appearance of the material (does the surface look like it will be cold to touch? soft?).
‘신체 루틴’은 특정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몸짓, 행동, 동작을 의미한다. 현상학자들은 적절한 건축적 설계를 통해 사무실 라운지나 쇼핑몰에서 사람들이 대인 교류가 일어날 때, 여러 사람의 신체 루틴을 하나로 융합된 “장소 발레”로 만들 수 있다고 믿는다. 공간구문(스페이스-신택스)론은 보행로(예: 복도나 인도)의 특정한 공간 배열이 사람들 간의 만남을 유도하거나, 반대로 고립감을 조성할 수 있다고 언명한다.
Body routine is a set of gestures, behaviors, and actions used to achieve a particular task. Phenomenologists believe that proper architectural design can combine bodily routines of multiple bodies into a converged “place ballet”, when interpersonal exchanges occur in an office lounge or shopping mall. The space-syntax theory declares that particular spatial arrangements of walkways (for example, corridors or sidewalks) can result either in encounters or feeling of isolation.
신체와 장소는 상호 의존적이다(그것들은 서로 “생명/활력을 주고받는다”). 예를 들어, 이는 하워드 데이비스(1948-)가 제안한 숍/하우스 개념에서 볼 수 있는데, 이 건물 유형은 다양한 역사 형식으로 거주 공간과 업무 공간을 모두 포함한다.
Bodies and places are interdependent (they “interanimate” each other). This is visible, for example, in a concept of shop/house suggested by Howard Davis, a building type that, in different historical forms, contains both the residence and a place of business.
주목할 만한 건축가
Notable architects
건축 현상학과 관련된 주목할 만한 건축가 및 건축학자는 다음과 같다:
Notable architects and scholars of architecture associated with architectural phenomenology include:
- 조지 베어드
- 나데르 엘-비즈리
- 케네스 프램튼
- 마르코 프라스카리
- 비토리오 그레고티
- 스티븐 홀
- 데이빗 레더배로우
- 다니엘 리베스킨드
- 찰스 W. 무어
- 크리스티안 노르베르그-슐츠
- 모센 모스타파비
- 유하니 팔라스마
- 알베르토 페레즈-고메즈
- 스텐 아일레르 라스무센
- 에르네스토 나단 로제르
- 조셉 리쿼트
- 달리보 베슬리
- 페터 춤토어
- George Baird
- Nader El-Bizri
- Kenneth Frampton
- Marco Frascari
- Vittorio Gregotti
- Steven Holl
- David Leatherbarrow
- Daniel Libeskind
- Charles W. Moore
- Christian Norberg-Schulz
- Mohsen Mostafavi
- Juhani Pallasmaa
- Alberto Pérez-Gómez
- Steen Eiler Rasmussen
- Ernesto Nathan Rogers
- Joseph Rykwert
- Dalibor Vesely
- Peter Zumthor
- 출처 : 「Phenomenology (architecture)」, Wikipedia(en), 2025.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