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ified / signifier
기호학에서, 기의(記意; 시니피에; 의미)와 기표(記標; 시니피앙; 표현)는 기호(記號)를 구성하는 두 가지 주요 요소로, 기의는 기호가 나타내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하며 “내용의 차원”으로 알려져 있고, 기표는 기호의 관찰 가능한 측면 또는 “표현의 차원”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기호학의 두 창시자 중 한 명인 스위스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1857-1913)의 작업에서 처음 제안되었다.
In semiotics, signified and signifier (French: signifié and signifiant) are the two main components of a sign, where signified is what the sign represents or refers to, known as the “plane of content”, and signifier which is the “plane of expression” or the observable aspects of the sign itself. The idea was first proposed in the work of Swiss linguist Ferdinand de Saussure, one of the two founders of semiotics.
기호의 개념
Concept of signs
기호의 개념은 오랫동안 존재해 왔으며,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윌리엄 오컴, 프랜시스 베이컨 등 많은 고전 철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기호학’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어근 ‘sem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semeiotikos’(기호의 해석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렇지만,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페르디낭 드 소쉬르와 미국 철학자 찰스 샌더스 퍼스(1839-1914)가 이 용어를 더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The concept of signs has been around for a long time, having been studied by many classic philosophers such as Plato, Aristotle, Augustine, William of Ockham, and Francis Bacon, among others. The term semiotics derives from the Greek root seme, as in semeiotikos (an ‘interpreter of signs’). It was not until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however, that Saussure and American philosopher Charles Sanders Peirce brought the term into more common use.
소쉬르와 퍼스 모두 기호 개념에 크게 기여했지만, 각자가 기호를 연구하는 접근 방식은 달랐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소쉬르는 기호를 구성하는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기표와 기의라는 용어를 창안했다. 그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단어와 언어의 역사 및 발전보다는 의사소통 행위와 관련된 현재에 초점을 맞추며 이전의 언어 연구와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While both Saussure and Peirce contributed greatly to the concept of sign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each differed in their approach to the study. It was Saussure who created the terms signifier and signified in order to break down what a sign was. He diverged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language as he focused on the present in relation to the act of communication, rather than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words and language over time.
이러한 창시자들을 이어 많은 철학자와 언어학자들이 스스로를 기호학자로 정의하며 등장했다. 이들 기호학자들은 각자 고유한 관점을 가지고 기호 연구에 기여했다. 저명한 이탈리아 기호학자인 움베르토 에코(1932-2016)는 “기호가 진실을 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면, 거짓을 말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1976)는 결론에 도달했다. 포스트모더니즘 사회 이론가 장 보드리야르(1929-2007)는 하이퍼리얼리티에 대해 언급하며, 복제가 현실보다 더 현실적이 되고, 기표가 기의보다 더 중요해지는 현상을 설명했다. 프랑스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1915-1980)는 기호를 사용하여 단어에 문화적 의미가 부여된 ‘함축’과 단어의 문자적이거나 명시적인 의미인 ‘명시’의 개념을 설명했다. 그러나 소쉬르가 기호를 기의와 기표로 나누는 분석을 하지 않았다면, 이러한 기호학자들은 자신들의 개념을 정립할 기반을 갖지 못했을 것이다.
Succeeding these founders were numerous philosophers and linguists who defined themselves as semioticians. These semioticians have each brought their own concerns to the study of signs. Umberto Eco (1976), a distinguished Italian semiotician,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f signs can be used to tell the truth, they can also be used to lie.” Postmodernist social theorist Jean Baudrillard spoke of hyperreality, referring to a copy becoming more real than reality, the signifier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the signified. French semiotician Roland Barthes used signs to explain the concept of connotation—cultural meanings attached to words—and denotation—literal or explicit meanings of words. Without Saussure’s breakdown of signs into signified and signifier, however, these semioticians would not have had anything to base their concepts on.
기표와 기의의 관계
Relation between signifier and signified
소쉬르는 1916년 『일반언어학 강의』에서 기호를 두 가지 구성 요소로 나누었다: 기표(‘사운드-이미지’)와 기의(‘컨셉’). 소쉬르에게 기의와 기표는 순전히 심리적인 것이며, 실체가 아니라 형식에 해당한다.
Saussure, in his 1916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divides the sign into two distinct components: the signifier (‘sound-image’) and the signified (‘concept’). For Saussure, the signified and signifier are purely psychological: they are form rather than substance.
오늘날, 기표는 볼 수 있거나, 들을 수 있거나, 만질 수 있거나, 냄새 맡을 수 있거나, 맛볼 수 있는 개념적 물질적 형식으로 종종 해석된다; 그리고 기의는 개념적 이상적 형식으로 해석된다. 다시 말해, “현대의 해설자들은 기표를 기호가 취하는 형식으로, 기의를 기호가 참조하는 개념으로 설명하는 경향이 있다.” 기표와 기의 사이의 관계는 자의적인 관계로, “그들 간에는 논리적 연결이 없다.” 이는 “결코 완전히 자의적이지 않은” 상징과는 다르다. 기표와 기의가 분리될 수 없다는 개념은 소쉬르의 다이어그램에 의해 설명되며, 이 다이어그램은 두 구성 요소가 일치하여 기호를 생성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Today, the signifier is often interpreted as the conceptual material form, i.e. something which can be seen, heard, touched, smelled or tasted; and the signified as the conceptual ideal form. In other words, “contemporary commentators tend to describe the signifier as the form that the sign takes and the signified as the concept to which it ref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ifier and signified is an arbitrary relationship: “there is no 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m. This differs from a symbol, which is “never wholly arbitrary.” The idea that both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are inseparable is explained by Saussure’s diagram, which shows how both components coincide to create the sign.
기표와 기의가 서로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이해하려면, 기호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기표가 기의를 수반하는 유일한 이유는 관습적인 관계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즉, 기호를 구성하는 두 요소 간의 관계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만 기호를 이해할 수 있다. 소쉬르는 기호의 의미가 “체계 내에서 다른 단어들과의 관계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나무”라는 단어를 이해하려면 “관목”이라는 단어와 이 둘이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signifier and signified relate to each other, one must be able to interpret signs. “The only reason that the signifier does entail the signified is because there is a conventional relationship at play.” That is, a sign can only be understoo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mponents that make up the sign are agreed upon. Saussure argued that the meaning of a sign “depends on its relation to other words within the system;” for example, to understand an individual word such as “tree,” one must also understand the word “bush” and how the two relate to each other.
다른 기호들과의 이러한 차이가 바로 언어 공동체가 가능해지는 이유다. 그렇지만, 기표와 그 의미는 끊임없이 변화하며 “시대에 뒤떨어지게” 되기도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런 방식으로 우리는 모두 “기호에 많은 주의를 기울이는 실천적 기호학자”가 되며, 설령 우리가 그러한 기호를 이전에 들어본 적이 없더라도 마찬가지다. 더 나아가, 단어는 기호가 취하는 가장 익숙한 형태지만, 광고, 사물, 보디랭귀지, 음악 등 삶 속의 많은 것들을 상징한다. 따라서 기호와 기호를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는 —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 일상생활에 적용될 수 있고 실제로 적용되고 있다.
It is this difference from other signs that allows the possibility of a speech community. However, we need to remember that signifiers and their significance change all the time, becoming “dated.” It is in this way that we are all “practicing semioticians who pay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signs … even though we may never have heard them before.” Moreover, while words are the most familiar form signs take, they stand for many things within life, such as advertisement, objects, body language, music, and so on. Therefore, the use of signs, and the two components that make up a sign, can be and are—whether consciously or not—applied to everyday life.
심층 심리학 및 철학
Depth psychology and philosophy
라캉주의
Lacanianism
자크 라캉(1901-1981)은 자신의 저서와 세미나에서 기의와 기표 개념에 대한 공식을 제시하며, 특히 프로이트의 사상을 재구성하여 기의와 기표가 수행하는 역할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Jacques Lacan presented formulas for the ideas of the signified and the signifier in his texts and seminars, specifically repurposing Freud’s ideas to describe the roles that the signified and the signifier serve as follows:
기표(무의식: ‘타자의 담론’)와 기의 사이에는 억압의 ‘장벽’이 존재한다 […] 기표의 ‘사슬’은 ‘다른 고리로 만들어진 목걸이의 고리처럼 또 다른 목걸이를 형성하는 고리들’에 비유될 수 있다 […] ‘기표는 다른 기표를 위해 주체(환상-구성물)를 대표하는 것이다’.
—라캉, 의역
There is a ‘barrier’ of repression between Signifiers (the unconscious mind: ‘discourse of the Other’) and the signified […] a ‘chain’ of signifiers is analogous to the ‘rings of a necklace that is a ring in another necklace made of rings’ […] ‘The signifier is that which represents a subject (fantasy-construct) for another signifier’.
— Lacan, paraphrased
부유 기표
Floating signifier
레비-스트로스(1908-2009)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된 부유 기표 또는 공백 기표 개념은 이후 라캉 이론에서 특정한 참조 없이 실체와 연결되지 않은 기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재구성되었다. 이러한 기표들은 이 분리로 인해 “떠다니고” 또는 “비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슬라보예 지젝(1949-)은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1989)에서 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Originating in an idea from Lévi-Strauss, the concept of floating signifiers, or empty signifiers, has since been repurposed in Lacanian theory as the concept of signifiers that are not linked to tangible things by any specific reference for them, and are “floating” or “empty” because of this separation. Slavoj Žižek defines this in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as follows:
‘떠도는 기표들’의 무수한 수가 특정한 ‘결절점’(라캉의 ‘누빔점’)의 개입을 통해 통합된 영역으로 구조화되며, 이 점은 그것들을 ‘누빈다’ […] ‘경직된 지시자’는 기의의 환유적 미끄러짐을 멈추게 하여 이데올로기를 총체화한다 […] 이는 ‘기의 없는 기표’다.
[T]he multitude of ‘floating signifiers’ […] is structured into a unified fiel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a certain ‘nodal point’ (Lacanian point de capiton) which ‘quilts’ them [to] […] the ‘rigid designator’, which totalizes an ideology by bringing to a halt the metonymic sliding of its signified […] it is a signifier without the signified’.
기의
Signified
기의는 [번역 불가능한, 기표의 사슬이 추상화된 분위기적 환원 불가능성]이다; (기의로서 기표-사슬 사이의) 드러난 장벽은 장소를 통한 은유-억압-전이의 여정이다.
The signified is [an untranslatable, atmospheric irreducibility of the-chain-of-signifiers-abstracted]; the disclosed barrier (between the-chain-of-signifiers qua signified) is a metaphor-repression-transference journey through place.
분열분석
Schizoanalysis
질 들뢰즈(1925-1995)와 펠릭스 가타리(1930-1992)는 라캉의 이론을 따른 기의와 기표의 개념을 (그들의 정신분석 이론인) 분열분석에서 급진적으로 활용했다. 『천 개의 고원』(1980)에서, 그들의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개념을 확장하며, 그들은 주체화 과정과 주체성의 생성에서 기표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얼굴성”이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얼굴성에서의 “얼굴”은 “상호 연결된 기표들의 폭압적인 벽과 주체적 흡수의 감정적 블랙홀들을 결합하는 시스템”이다. 블랙홀은 흐름들이 반발하는 하얀 벽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는 기호들의 능동적인 파괴 또는 탈영토화이다. 주체의 얼굴이 발휘하는 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의미의 강렬한 초기 혼란을 일으키고나서도 끈질긴 의미 ‘거부’를 통해 계속해서 의미를 생성한다는 점이다.
In their theory of schizoanalysis, Gilles Deleuze and Félix Guattari made radical uses of the ideas of the signified and the signifier following Lacan. In A Thousand Plateaus, extending from their idea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they developed the idea of “faciality” to refer to the interplay of signifiers in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and the production of subjectivity. The “face” in faciality is a system that “brings together a despotic wall of interconnected signifiers and passional black holes of subjective absorption”. Black holes, fixed on white walls which antagonized flows bounce off of, are the active destruction, or deterritorialization, of signs. What makes the power exerted by the face of a subject possible is that, creating an intense initial confusion of meaning, it continues to signify through its persistent refusal to signify.
의미는 결코 그것이 기호와 중복을 새길 하얀 벽 없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주체화는 결코 그것이 의식, 열정, 그리고 중복을 머무르게 해 주는 블랙홀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기호학은 혼합되어 있으며 층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형태로 존재하므로, 그 교차점에 매우 특별한 메커니즘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이상하게도 그것은 얼굴이다: ‘하얀 벽/블랙 홀 시스템’이다. […] 시선은 얼굴성의 블랙홀인 시선 없는 눈에 비해 부차적인 것이다. 거울은 얼굴성의 하얀 벽에 비해 부차적인 것이다.
Significance is never without a white wall upon which it inscribes its signs and redundancies. Subjectification is never without a black hole in which it lodges its consciousness, passion, and redundancies. Since all semiotics are mixed and strata come at least in twos,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at a very special mechanism is situated at their intersection. Oddly enough, it is a face: the white wall/black hole system. […] The gaze is but secondary in relation to the gazeless eyes, to the black hole of faciality. The mirror is but secondary in relation to the white wall of faciality.
기의와 기표가 주체성에서 상호작용하는 이 급진적인 사용과 체계화는 라캉과 사르트르, 그리고 그들의 철학적 선행자들과 구별되는 점이 있다. 그것은 얼굴성의 억압적인 힘과 얼굴의 지배와의 해결을 넘어서, 들뢰즈와 가타리가 기표의 엄격한 규제와 기호의 파괴로서 얼굴을 보존하는 것에 대해 비판하며, “만약 인간에게 운명이 있다면, 그것은 얼굴을 피하고, 얼굴과 얼굴화를 해체하는 것”이라고 선언하는 점이다.
What distinguishes this radical use and systemization of the signified and the signifier as interplaying in subjectivity from Lacan and Sartre as well as their philosophical predecessors in general is that, beyond a resolution with the oppressive forces of faciality and the dominance of the face, Deleuze and Guattari reproach the preservation of the face as a system of a tight regulation of signifiers and destruction of signs, declaring that “if human beings have a destiny, it is rather to escape the face, to dismantle the face and facializations”.
- 출처 : 「Signified and signifier」, Wikipedia(en), 2024.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