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parlante
말하는 건축(프랑스어 발음 “아ㅎ시텍튀르 파ㅎ렁”)은 자신의 기능이나 정체성을 설명하는 건축이다. 이 문구는 원래 클로드 니콜라 르두(1736-1806)와 관련이 있으며, 혁명 시대의 파리에서 교육 받은 다른 건축가인 에티엔-루이 불레(1728-1799) 및 장-자크 르크(1757-1826)에게까지 확장되었다. 에밀 카우프만(1891-1953)은 1852년에 《마가쟁 피토레스크》를 위해 작성되었으며 「프랑스의 건축 연구」라는 제목의 르두 작업을 주제로 한 익명의 비판적 에세이에서 이 단어가 처음 사용된 것을 추적했다.
Architecture parlante (“speaking architecture”) is architecture that explains its own function or identity. The phrase was originally associated with Claude Nicolas Ledoux, and was extended to other Paris-trained architects of the Revolutionary period, Étienne-Louis Boullée, and Jean-Jacques Lequeu. Emil Kaufmann traced its first use to an anonymous critical essay with Ledoux’s work as the subject, written for Magasin pittoresque in 1852, and entitled “Etudes d’architecture en France”.
임시 오더
Nonce orders
보다 실용적인 적용에서, 신고전주의의 자극 아래 발명된 임시 오더는, 말하는 건축의 사례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콤포지트(합성) 오더를 기반으로 하고 주두의 디자인만 차이가 있는 몇 가지 오더들이 특정 경우의 영감 아래 발명되었지만, 다시 사용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임시어(그 자리에서만 쓰는 말)’에서 유추하여 “임시 오더”라고 할 수 있다.
Within more practical applications, nonce orders, invented under the impetus of Neoclassicism, have served as examples of architecture parlante. Several orders, usually simply based upon the Composite order and only varying in the design of the capitals, have been invented under the inspiration of specific occasions, but have not been used again. Thus, they may be termed “nonce orders” on the analogy of nonce words.
1762년, 제임스 애덤(1732-1794)은 문장(紋章)의 사자와 유니콘을 특징으로 하는 영국식 오더를 발명했다. 1789년, 조지 댄스(1741-1825)는 런던의 폴 몰에 있는 보이델 셰익스피어 갤러리를 위해 암모나이트 화석의 형태로 볼류트를 대체하는 이오니아식의 변종인 암모나이트 오더를 발명했다. 미국에서는, 워싱턴 DC에 있는 국회의사당 건물의 건축가인 벤자민 헨리 라트로브(1764-1820)가 일련의 미국 오더를 디자인했다. 가장 유명한 것은 국회의사당 건물의 베스티뷸(현관 [대기실])에서 주세페 프란조니에 의해 제작된 옥수숫대와 껍질로 대체한 오더다.
In 1762, James Adam invented a British order featuring the heraldic lion and unicorn. In 1789, George Dance invented the Ammonite order, a variant of Ionic substituting volutes in the form of fossil ammonites for Boydell Shakespeare Gallery in Pall Mall, London. In the United States, Benjamin Latrobe, the architect of the Capitol Building in Washington DC, designed a series of American orders. Most famous is the order substituting corncobs and their husks, which was executed by Giuseppe Franzoni and installed in a vestibule of the Capitol Building.
보자르
Beaux-Arts
다소 절제된 형태의 알레고리적 조각과 명문(銘文; 새겨진 글)으로 표현된 동일한 개념이 보자르 구조물의 특징 중 하나가 되었고, 그 결과 미국 공공 건축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 가지 좋은 사례는 워렌과 웨트모어 팀이 디자인한 맨해튼 44번가에 있는 1901 뉴욕 요트 클럽 건물이다. 이 건물의 전면 창문 세 개는 초기 네덜란드 선박의 선미를 본떠서 만들었고, 파사드에는 항해를 테마로 한 조각품들이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 같은 팀이 디자인한 1912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은 거대한 우화적 조각 그룹 형태의 스스로-설명하는 건축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구조에 내재된 모양, 표면, 계단, 아치, 경사로, 통로 등이 방문객이 건물에서 자신의 방향을 잡고 길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언어를 구성하는 독창적인 방식으로 디자인되었다.
The same concept, in the somewhat more restrained form of allegorical sculpture and inscriptions, became one of the hallmarks of Beaux-Arts structures, and thereby filtered through to American civic architecture. One fine example is the 1901 New York Yacht Club building on 44th Street in Manhattan, designed by the team of Warren and Wetmore. Its three front windows are patterned on the sterns of early Dutch ships, and the façade fairly drips with nautical-themed applied sculpture. The same team designed the 1912 Grand Central Terminal, which also contains self-explaining architectural elements in the form of the oversized allegorical sculpture group, and in the ingenious way that the shapes, surfaces, steps, arches, ramps and passageways inherent in the structure constitute a language that helps visitors orient themselves and find their way through the building.
같은 해, 맥킴, 미드 & 화이트는 헤로도토스(그리스 역사가, c.484~c.425 BC)에서 가져온 유명한 명문으로 팔리 우체국 빌딩을 디자인했다: “눈이 오나, 비가 오나, 뜨거우나, 어두우나, 집배원들은 맡겨진 배달업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한다.”
The same year, McKim, Mead & White designed the Farley Post Office Building with its famous inscription adapted from Herodotus: “Neither snow nor rain nor heat nor gloom of night stays these couriers from the swift completion of their appointed rounds.”
워싱턴 DC의 공공 건축은 가장 시적이고 가장 장황한 명문을 제공한다. 하버드 총장 찰스 윌리엄 엘리엇(1834~1926)이 명문 프로그램을 개발한 워싱턴 유니언 스테이션(1908)은 보자르 건축가 다니엘 번햄(1846~1912)이 디자인을 담당했다. 정문 위에는 이 찬가가 새겨져 있다: “불: 인간이 다양한 기후에서 살 수 있고, 많은 음식을 사용하고, 자연의 힘으로 자신의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가장 위대한 발견. 전기: 빛과 힘의 운반자, 시간과 공간을 삼키는 자, 육지와 바다에서 인간의 말을 전달하는 자, 그 자체로는 알 수 없는, 인간의 가장 위대한 종. 모든 것을 그의 발 아래 두었다.”
The civic architecture of Washington, D.C. provides some of the most poetic and most verbose inscriptions. Beaux-Arts architect Daniel Burnham is responsible for the Washington Union Station (1908), with its inscription program developed by Harvard president Charles William Eliot. It includes over the main entrance this paean: “Fire: greatest of discoveries, enabling man to live in various climates, use many foods, and compel the forces of nature to do his work. Electricity: carrier of light and power, devourer of time and space, bearer of human speech over land and sea, greatest servant of man, itself unknown. Thou hast put all things under his feet.”
신고전주의
Neo-Classical
1930년대에 (미국) 수도의 신고전주의 건물 붐의 일부였던 1932년 상무부 건물에는, 다음과 같은 극단적인 예가 있다: “우리 선조들을 인도한 영감은 무엇보다도 조국의 단결을 확보하도록 이끌었다. 우리는 피통치자의 동의에 의한 정부 및 미국의 정치 질서에 의지하며, 이는 개인의 이니셔티브(주도성)를 촉진하는 조직을 장려하는 국가 에너지의 모든 요소들을 하나로 묶는 애국적 이상의 표현이다. 이 건물 내에는 국민의 삶을 지탱하고, 문제를 명확히 하고, 자원을 조정하고, 시민의 책임을 줄이지 않으면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들이 설립된다. 그것들은 국민을 섬기면서 설립자의 목적과 미래의 가장 큰 희망인 국가의 청렴 및 복지에 대한 지방 행정을 통해 헌신하고 있다.”
The 1932 Commerce Department Building, part of the capital’s neo-Classical building boom in the 1930s, has this extreme example: “The inspiration that guided our forefathers led them to secure above all things the unity of our country. We rest upon government by consent of the governed and the political order of the United States as the expression of a patriotic ideal which welds together all the elements of our national energy promoting the organization that fosters individual initiative. Within this edifice are established agencies that have been created to buttress the life of the people, to clarify their problems and coordinate their resources, seeking to lighten burdens without lessen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citizen. In serving one and all they are dedicated to the purpose of the founders and to the highest hopes of the future with their local administration given to the integrity and welfare of the nation.”
그러한 명문 외에도, 미국에서 ‘말하는 건축’의 개념은 버트램 굿휴(1869~1924)가 디자인하고 도상학자 하틀리 버 알렉산더(1873~1939)가 명문을 새긴 네브라스카 주청사(1922)와 로스앤젤레스 공공 도서관(1925)에서 정점에 도달했을 것이다. 이 두 건물은 광범위한 건축 조각 프로그램인 타일 벽화, 채색 벽화, 장식용 설비 및 명문(굿휴는 조각가 리 로우리(1877~1963) 같은 일종의 멀티미디어 레퍼토리 아티스트 회사와 협력했다.)을 통해, 일련의 사회적 가치를 전달하고자 하는 의지가 특히 강해 보인다.
Beyond such inscriptions, in the United States the concept of architecture parlante likely reached its zenith in the Nebraska State Capitol (1922) and the Los Angeles Public Library (1925), both by architect Bertram Goodhue and both containing inscriptions by iconographer Hartley Burr Alexander. With their extensive architectural sculpture programs, tile murals, painted murals, ornamental fixtures and inscriptions (Goodhue worked with a sort of multimedia repertory company of artists, such as the sculptor Lee Lawrie), both of these buildings seem particularly eager to communicate a set of social values.
현대
Contemporary era
모더니즘의 출현으로, 어떠한 종류의 장식도 혐오했던 1940년경에 ‘말하는 건축’은 진지한 건축 어휘에서 제거되었으며, 더 브라운 더비 같은 상업적이고 토착적인 특이함 속에서만 발견되었다.
With the advent of Modernism, its formal rigor and its distaste for ornament of any kind, by 1940 or so architectural parlante was eliminated from the serious architectural vocabulary and found only in commercial and vernacular oddities such as The Brown Derby.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러한 아이디어의 부흥을 가져왔다. 런런에 있는 테리 파렐(1939-)의 계란컵 모양의 TV-am 본사와 파리에 있는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책 모양 타워가 그 예이다. 마이클 그레이브스(1934-2015)의 언빌트 프로젝트인, 파고-무어헤드 문화센터는 르두의 쇼에 있는 감독관 집의 부흥주의적 사례이기도 하다.
Postmodernism has seen a revival of these ideas. Terry Farrell’s eggcup-surmounted headquarters for TV-am in London and the book-shaped towers of the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in Paris, can be seen as examples. Michael Graves’s unbuilt project, Fargo-Moorhead Cultural Center, also is a revivalistic example of Ledoux’s Inspector’s House of Chaux.
로버트 벤투리(1925-2018)와 데니스 스콧 브라운(1931-)은 ‘빅 덕’과 관련하여 “제품 모양을 닮은 건물을 ‘덕(오리)’이라고 부른다’라고 말한다.
In the terminology of Robert Venturi and Denise Scott Brown, “any building that is shaped like its product is called a ‘duck’,” in reference to the Big Duck.
- 출처 : 「Architecture parlante」, Wikipedia(en), 20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