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ual architecture
맥락적 건축은 맥락주의(콘텍스트 이론)라고도 하며 건물이 지어지는 환경의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특성에 대응하여 구조물을 디자인하는 것을 지칭하는 건축 이론에서의 철학적 접근 방식이다. 맥락적 건축은 건조 환경에 (건물) 자신의 특성과 가치를 부여하는 것을 중시하는 모더니즘 건축과 대조된다.
Contextual architecture, also known as Contextualism is a philosophical approach in architectural theory that refers to the designing of a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literal and abstract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built. Contextual architecture contrasts modernist architecture, which value the imposition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values upon the built environment.
맥락적 건축은 보통 토착 건축, 지역 건축, 비판적 지역주의의 세 범주로 구분되며, 모두 보완 건축 운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Contextual architecture is usual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vernacular architecture, regional architecture, and critical regionalism all of which also inform the complementary architecture movement.
어원
Etymology
맥락주의라는 용어는 함께 엮다, 또는 결합하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콘텍세레’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는 1960년대에 미학자이자 철학자인 스티븐 C. 페퍼가 미술과 건축에 처음 적용했는데, 그는 원래 이 단어를 철학에 적용하기 위해 만들었다.
The term contextualism is derived from the Latin contexere, meaning to weave together or to join. The term was first applied to the arts and architecture by the aesthetician and philosopher Stephen C. Pepper in the 1960s, who originally coined the word as applied to philosophy.
역사
History
건축에서 맥락주의의 본질적인 아이디어는 이 용어가 만들어지기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다. 로마의 장소의 혼(게니우스 로키), 르네상스의 멋(데코름), 보자르(미술)의 티레 파르티 개념은 맥락주의에 대한 현대적 정의를 반영한다.
The essential ideas of Contextualism in architecture long preceded the term’s coinage. The Roman notion of genius loci, Renaissance decorum, and Beaux Arts tirer parti mirror modern definitions of contextualism.
1920년대에 발전한 게슈탈트 심리학은 독립적인 부분들이 어떻게 결합하여 일관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연구하여 이 철학에 대한 지적 토대를 제공했다. 건축에 적용된 맥락주의는 1960년대 건축가 콜린 로우가 보편성과 유토피아적 이상을 사이트에 투영하는 것을 가치 있게 여겼던 모더니즘 건축에 대한 반작용으로 처음 주장했다. 로우는 모더니즘 건축물이 주변 환경, 특히 도시의 역사적인 건물과 조화롭게 적응하지 못한다는 인식에 반발하면서, 건물 및 자연 환경의 주변 특징과 더불어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디자인된 건축을 옹호했다. 로우는 특히 사이트 주변 환경을 둘러싼 기존 특징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피겨-그라운드 다이어그램을 사용할 것을 주장했다.
The 1920s development of Gestalt psychology, which investigated the ways in which independent parts could be combined to make a cohesive result, provided the intellectual foundation for the philosophy. Contextualism as applied to architecture was first championed in the 1960s by architect Colin Rowe as a reaction to modernist architecture, which valued universality and the projection of utopian ideals onto sites. Pushing back against the perceived failure of modernist buildings to adapt cohesively with their environments – in particular with cities’ historic buildings, Rowe advocated for architecture that was designed with a focus on existing in continuity with the surrounding features of the built and natural environments. Rowe notably advocated for the use of figure-ground diagrams as a method of understanding the existing features surrounding a site’s surrounding environment.
맥락주의 철학은 20세기 후반에 도시 디자인, 특히 환경주의의 맥락에서 “맥락에-적절한 건축”을 강조했던, 뉴어버니즘 운동의 도래와 함께 다시 부흥을 경험했다.
Contextualist philosophy experienced a revival later in the 20th century with the advent of the New Urbanism movement, which stressed “context-appropriate architecture” in urban design,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ism.
비판
Criticism
특히 1980년대 이후 수십 년 동안 맥락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 및 인식된 체제 순응주의와의 연관성에 대한 비판에 직면했다. 건축적 실용주의자인 렘 콜하스의 “우라질 콘텍스트”라는 주장은 맥락주의에 반대하는 악명 높은 슬로건으로 사용되었다.
Contextualism, particularly in the decades following the 1980s, has faced criticism for its association with postmodernism and perceived conformism. Architectural pragmatist Rem Koolhaas’ assertion “fuck context” served as an infamous rallying cry against contextualism.
1988년, 건축가 필립 존슨과 마크 위글리는 모마(MoMA)에서 해체주의에 관한 전시회를 기획하면서 “맥락주의는 범속한 것에 대한 변명으로, 친숙한 것에 대한 바보 같은 독창성 없음에 대한 변명으로 사용되었다”라고 말하며 이 철학을 맹렬히 비난했다.
In 1988, while curating an exhibition on Deconstructivism at MoMA, architects Philip Johnson and Mark Wigley denounced the philosophy, stating “contextualism has been used as an excuse for mediocrity, for a dumb servility to the familiar.”
주목할 만한 사례
Notable examples
- 올림픽 양궁장, 바르셀로나, 카르메 피노스 & 엔릭 미라예스 (1992)
- 물의 사원, 아와지, 안도 다다오 (1991)
- 발레타 시티 게이트, 몰타, 렌조 피아노 (2015)
- 킨고 하우스, 헬싱외르, 요른 웃존 (1958)
- Olympic Archery Range, Barcelona, Carme Pinós and Enric Miralles (1992)
- Water (Honpuku) Temple, Awaji, (Japanese: **E1-. *ME), Tadao Ando (1991)
- City Gate (Valletta), Malta, Renzo Piano (2015)
- Kingo Houses, Helsingør, Jørn Utzon (1958)
- 출처 : 「Contextual architecture」, Wikipedia(en), 202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