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e-art photography
미술 사진은 사진가의 예술가적 비전에 따라 창조된 사진으로, 사진을 창의적 표현의 매체로 사용한다. 미술 사진의 목표는 아이디어, 메시지, 또는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는 특정 주제와 사건에 대한 다큐멘터리적인 시각 기록을 제공하고 사진가의 주관적인 의도보다는 객관적 현실을 문자 그대로 나타내는 보도 사진(포토저널리즘), 그리고 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광고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상업 사진과 대조를 이룬다.
Fine-art photography is photography created in line with the vision of the photographer as artist, using photography as a medium for creative expression. The goal of fine-art photography is to express an idea, a message, or an emotion. This stands in contrast to representational photography, such as photojournalism, which provides a documentary visual account of specific subjects and events, literally representing objective reality rather than the subjective intent of the photographer; and commercial photography, the primary focus of which is to advertise products or services.
역사
History
1940년대까지의 발명
Invention through 1940s
한 사진 역사가는 1851년에 주기도문을 묘사한 다게레오타입(은판사진술)을 전시한 “존 에드윈 메이올(1813-1901)이 ‘미술’ 또는 구성 사진의 초기 대표자”라고 주장했다. 미술 사진을 만들려는 성공적인 시도는 줄리아 마거릿 캐머런(1815-1879), 찰스 러트윗지 도지슨(1832-1898), 오스카 구스타브 레일랜더(1813-1875) 등 빅토리아 시대의 사진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F. 홀랜드 데이, 알프레드 스티글리츠, 에드워드 스타이켄이 사진을 미술로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스티글리츠는 이를 박물관 컬렉션에 도입한 것으로 유명하다.
One photography historian claimed that “the earliest exponent of ‘Fine Art’ or composition photography was John Edwin Mayall”, who exhibited daguerreotypes illustrating the Lord’s Prayer in 1851. Successful attempts to make fine art photography can be traced to Victorian era practitioners such as Julia Margaret Cameron, Charles Lutwidge Dodgson, and Oscar Gustave Rejlander and others. In the U.S. F. Holland Day, Alfred Stieglitz and Edward Steichen were instrumental in making photography a fine art, and Stieglitz was especially notable in introducing it into museum collections.
1960년대까지만 해도 영국에서는 사진이 미술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 당시 사진미술협회를 설립한 S. D. 조하르(1901-1963)는 이렇게 말했다: “현재 사진은 일반적으로 공예 이상의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미국에서는 사진이 공식적으로 일부 기관에서 미술로 공개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사진은 갤러리와 전시회에서 예술로 전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 나라에는 이에 상응하는 인식이 없다. 런던 살롱은 회화적 사진을 전시하지만, 그것이 예술로 이해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작품이 미적 특성을 보여주는지 여부에 따라 ‘회화적 사진’으로 지정되는데, 이는 매우 모호한 용어다. 사진가 자신은 자신의 작품과 그 작품의 존엄성 및 미적 가치를 믿고, 그것이 공예가 아닌 예술로서 인정받도록 해야 한다.”
In the UK as recently as 1960, photography was not really recognised as a fine art. S. D. Jouhar said, when he formed the Photographic Fine Art Association at that time: “At the moment, photography is not generally recognized as anything more than a craft. In the USA photography has been openly accepted as Fine Art in certain official quarters. It is shown in galleries and exhibitions as an Art. There is not corresponding recognition in this country. The London Salon shows pictorial photography, but it is not generally understood as an art. Whether a work shows aesthetic qualities or not it is designated ‘Pictorial Photography’ which is a very ambiguous term. The photographer himself must have confidence in his work and in its dignity and aesthetic value, to force recognition as an Art rather than a Craft”.
1970년대 후반까지 누드, 초상화, (앤설 애덤스로 대표되는) 자연 풍경과 같은 여러 장르가 지배적이었다. 1970년대와 80년대의 돌파구를 만든 ‘스타’ 예술가들인 샐리 맨(1951-), 로버트 메이플소프(1946-1989), 로버트 파버(1944-), 신디 셔먼(1954-) 등은 여전히 이러한 장르에 크게 의존하고 있지만, 그것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다른 이들은 스냅샷 미학 접근 방식을 탐구했다.
Until the late 1970s several genres predominated, such as nudes, portraits, and natural landscapes (exemplified by Ansel Adams). Breakthrough ‘star’ artists in the 1970s and 80s, such as Sally Mann, Robert Mapplethorpe, Robert Farber and Cindy Sherman, still relied heavily on such genres, although seeing them with fresh eyes. Others investigated a snapshot aesthetic approach.
1970년대 중반, 요제프 H. 노이만(1953-)은 ‘케모그램’을 개발했는데, 이는 사진 인화 과정과 사진 용지 위에 그리는 회화 작업이 결합된 결과물이다. 컴퓨터의 보급과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 사용 이전에는 확대 과정 후 원본 이미지가 변경되는 방식인 케모그램 제작 과정이 아날로그 후반 제작의 초기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디지털 후반 제작 작업과 달리, 각 케모그램은 고유한 작품으로 존재한다.
In the mid-1970s Josef H. Neumann developed chemograms, which are products of both photographic processing and painting on photographic paper. Before the spread of computers and the use of image processing software the process of creating chemograms can be considered an early form of analog post-production, in which the original image is altered after the enlarging process. Unlike works of digital post-production each chemogram is a unique piece.
애퍼처 재단과 현대미술관(MoMA) 같은 미국의 기관들은 사진을 미술의 최전선에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1940년 현대미술관이 사진 부서를 설립하고 버몬트 뉴홀(1908-1993)을 초대 큐레이터로 임명한 것은 사진이 예술로서의 지위를 인정받았다는 제도적 확인으로 자주 언급된다.
American organizations, such as the Aperture Foundation and the Museum of Modern Art(MoMA), have done much to keep photography at the forefront of the fine arts. MoMA’s establishment of a department of photography in 1940 and appointment of Beaumont Newhall as its first curator are often cited as institutional confirmation of photography’s status as an art.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1950s to present day
이제는 이미 주어진 것을 “발견”하기를 바라는 대신, 연출과 조명을 세심하게신경 쓰는 경향이 있다. 그레고리 크루드슨(1962-)과 제프 월(1946-) 같은 사진가들은 연출된 사진의 퀄리티로 주목받고 있다. 게다가, 디지털 사진의 새로운 기술적 경향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을 포함하는 풀 스펙트럼 사진에서 세심한 필터 선택을 통해 새로운 예술적 비전을 열어가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There is now a trend toward a careful staging and lighting of the picture, rather than hoping to “discover” it ready-made. Photographers such as Gregory Crewdson, and Jeff Wall are noted for the quality of their staged pictures. Additionally, new technological trends in digital photography have opened a new direction in full spectrum photography, where careful filtering choices across the ultraviolet, visible and infrared lead to new artistic visions.
1980년경부터 인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진가의 아트 프린트를 정교하게 인쇄된 한정판 책으로 재현하는 것은 이제 수집가들의 큰 관심을 끄는 분야가 되었다. 이는 이러한 책들이 대개 제작비가 높고, 소량으로 인쇄되며, 제한된 시장 때문에 거의 재판되지 않기 때문이다. 개별 사진가의 사진집에 대한 수집가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As printing technologies have improved since around 1980, a photographer’s art prints reproduced in a finely-printed limited-edition book have now become an area of strong interest to collectors. This is because books usually have high production values, a short print run, and their limited market means they are almost never reprinted. The collector’s market in photography books by individual photographers is developing rapidly.
「아트 마켓 트렌드 2004」에 따르면, 2004년에 경매장에서 7,000점의 사진이 판매되었으며,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사진은 연평균 7.6%의 가격 상승을 기록했다. 약 80%가 미국에서 판매되었지만, 경매 판매는 전체 개인 판매의 일부에 불과하다.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예술 사진가들이 엄격하게 한정된 에디션으로 고품질의 아카이브(보존용) 프린트를 제작하는 컬렉터 시장이 번성하고 있다. 회화의 프린트와 함께 대중에게 미술 사진을 판매하려는 온라인 예술 소매업체들의 시도는 엇갈린 결과를 보였는데, 앤설 애덤스 같은 전통적인 주요 사진가들의 판매만 호조를 보였다.
According to Art Market Trends 2004 7,000 photographs were sold in auction rooms in 2004, and photographs averaged a 7.6 percent annual price rise from 1994 and 2004. Around 80 percent were sold in the United States, although auction sales only record a fraction of total private sales. There is now a thriving collectors’ market for which the most sought-after art photographers will produce high quality archival prints in strictly limited editions. Attempts by online art retailers to sell fine photography to the general public alongside prints of paintings have had mixed results, with strong sales coming only from the traditional major photographers such as Ansel Adams.
조작, 필터링, 해상도 변경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운동” 외에도, 일부 미술 작가들은 “자연 조명”을 포함한 “자연주의적”를 그 자체의 가치로 추구하기도 한다. 때때로 게르하르트 리히터(1932-)의 경우처럼, 예술 작품이 사진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그 위에 유화로 덧칠하거나, 이미지 자체를 넘어 정치적 혹은 역사적 의미를 담기도 한다. “사진적으로 투영된 회화”의 존재는 이제 전통적으로 절대적이었던 회화와 사진의 경계를 흐리게 하고 있다.
In addition to the “digital movement” towards manipulation, filtering, or resolution changes, some fine artists deliberately seek a “naturalistic”, including “natural lighting” as a value in itself. Sometimes the art work as in the case of Gerhard Richter consists of a photographic image that has been subsequently painted over with oil paints and/or contains some political or historical significance beyond the image itself. The existence of “photographically-projected painting” now blurs the line between painting and photography which traditionally was absolute.
프레이밍 및 프린트 사이즈
Framing and print size
195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갤러리 전시를 위해 사진을 액자에 넣는 것은 대체로 저속하고 가식적인 행위로 여겨졌다. 사진 인화물은 보통 블록보드나 플라이우드에 단순히 붙이거나, 암실에서 흰 테두리를 추가한 후 모서리를 핀으로 고정해 전시판에 걸었다. 따라서 인화물은 유리 반사가 방해되지 않은 상태로 전시되었다. 스타이켄의 유명한 〈인간가족〉 전시에서도 사진들은 액자 없이 패널에 붙여 전시되었다. 심지어 1966년 빌 브란트(1904-1983)의 모마 전시에서도 사진은 액자 없이 얇은 합판에 단순히 붙여진 형태로 전시되었다. 1950년대 중반부터 2000년경까지 대부분의 갤러리 전시에서는 유리 뒤에 사진 인화물을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2000년경부터 현대 갤러리 인화물을 다시 한 번 판넬 위에 유리 없이 전시하는 방향으로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났다. 게다가, 20세기 내내, 인화물의 크기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Until the mid-1950s it was widely considered vulgar and pretentious to frame a photograph for a gallery exhibition. Prints were usually simply pasted onto blockboard or plywood, or given a white border in the darkroom and then pinned at the corners onto display boards. Prints were thus shown without any glass reflections obscuring them. Steichen’s famous The Family of Man exhibition was unframed, the pictures pasted to panels. Even as late as 1966 Bill Brandt’s MoMA show was unframed, with simple prints pasted to thin plywood. From the mid-1950s to about 2000 most gallery exhibitions had prints behind glass. Since about 2000 there has been a noticeable move toward once again showing contemporary gallery prints on boards and without glass. In addition, throughout the twentieth century, there was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size of prints.
정치
Politics
미술 사진은 주로 예술가의 비전을 표현하기 위해 창작되지만, 부수적으로 특정한 대의를 발전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요세미티와 옐로스톤에서의 앤설 애덤스의 작품이 그 예이다. 애덤스는 20세기의 가장 널리 알려진 미술 사진가 중 한 명이며, 열정적인 환경보호 운동가이기도 했다. 그의 주된 초점은 사진을 예술로 만드는 것이었지만, 일부 그의 작품은 시에라 네바다의 아름다움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이 지역 보호를 위한 정치적 지지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다.
Fine art photography is created primarily as an expression of the artist’s vision, but as a byproduct it has also been important in advancing certain causes. The work of Ansel Adams in Yosemite and Yellowstone provides an example. Adams is one of the most widely recognized fine art photographers of the 20th century, and was an avid promoter of conservation. While his primary focus was on photography as art, some of his work raised public awareness of the beauty of the Sierra Nevada and helped to build political support for their protection.
이러한 사진은 나체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검열법과 표현의 자유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Such photography has also had effects in the area of censorship law and free expression, due to its concern with the nude body.
타 장르와 겹치는 부분
Overlap with other genres
미술 사진은 다른 여러 사진 장르와 겹칠 수 있지만, 특히 패션 사진 및 보도 사진과 겹치는 부분은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fine art photography may overlap with many other genres of photography, the overlaps with fashion photography and photojournalism merit special attention.
1996년, 특히 패션의 영역에서 “최근 상업적 삽화 사진과 미술 사진 사이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미술 사진과 패션 사진이 오버랩된다는 증거는 강연, 전시회, 아트 바젤 마이애미 비치와 같은 무역 박람회, 그리고 책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n 1996 it was stated that there had been a “recent blurring of lines between commercial illustrative photography and fine art photography,” especially in the area of fashion. Evidence for the overlap of fine art photography and fashion photography includes lectures, exhibitions, trade fairs such as Art Basel Miami Beach, and books.
보도 사진과 미술 사진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뉴스 사진가들이 예술 사진 및 회화와 관계를 맺기 시작하면서” 오버랩되기 시작했다. 1974년, 국제사진센터가 개관되었으며, “인도주의적 보도 사진”과 “예술 사진”을 모두 강조했다. 1987년까지, “잡지와 신문을 위한 임무로 촬영된 사진들이 이제 정기적으로 – 액자에 담겨 – 박물관과 갤러리의 벽에 다시 등장했다.”
Photojournalism and fine art photography overlapped beginning in the “late 1960s and 1970s, when… news photographers struck up liaisons with art photography and painting”. In 1974 the International Center of Photography opened, with emphases on both “humanitarian photojournalism” and “art photography”. By 1987, “pictures that were taken on assignments for magazines and newspapers now regularly reappear[ed] – in frames – on the walls of museums and galleries”.
‘스냅챗’ 같은 스마트폰 앱은 미술 사진 촬영에 사용되기도 한다.
Smartphone apps such as Snapchat sometimes are used for fine-art photography.
타 분야 아티스트의 태도
Attitudes of artists in other fields
예술가들과 작가들의 반응은 사진이 미술로 인식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 저명한 화가들은 이 매체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다:
The reactions of artists and writers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perceptions of photography as fine art. Prominent painters have asserted their interest in the medium:
나는 항상 사진에 매우 관심이 많았다. 나는 그림보다 훨씬 더 많은 사진을 봤다. 왜냐하면 사진의 현실은 현실 그 자체보다 더 강렬하기 때문이다.
— 프랜시스 베이컨
I have always been very interested in photography. I have looked at far more photographs than I have paintings. Because their reality is stronger than reality itself.
— Francis Bacon
유명한 작가들 역시 마찬가지로 사진의 예술적 잠재력에 주목했다:
Noted authors, similarly, have responded to the artistic potential of photography:
…카파는 카메라가 차가운 기계 장치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의심할 여지 없이 증명한 것 같다. 펜처럼, 카메라를 사용하는 사람만큼이나 훌륭하다. 카메라는 정신적, 심적 확장이 될 수 있다…
—존 스타인벡
…it does seem to me that Capa has proved beyond all doubt that the camera need not be a cold mechanical device. Like the pen, it is as good as the man who uses it. It can be the extension of mind and heart…
— John Steinbeck
정의 목록
List of definitions
여기 “예술 사진”, “예술적 사진”, “미술 사진”과 관련된 용어들의 정의 목록이 있다.
Here is a list of definitions of the related terms “art photography”, “artistic photography”, and “fine art photography”.
참고도서에서
In reference books
참고도서에서 찾을 수 있는 정의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Among the definitions that can be found in reference books are:
- “예술 사진”: “미술로서 이루어진 사진 – 즉, 예술가의 인식과 감정을 표현하고 그것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수행된다”.
- “미술 사진”: “상업적 의뢰에 대한 반응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판매나 전시를 위해 제작된 사진”.
- “미술 사진”: “사진가의 창의적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이미지를 제작하는 것. … 예술 사진과 동의어”.
- “예술 사진”: 정의는 “규정하기 힘들다”, 그러나 “사진가들이 그것을 언급할 때, 그들은 《아메리칸 포토》, 《파퓰러 포토그래피》, 《프린트》 같은 잡지에서 보거나 살롱과 전시회에서 본 사진을 염두에 둔다. 예술 (또는 예술적인) 사진은 판매 가능하다.”
- “예술적 사진”: “자주 사용되지만 다소 모호한 용어. 그 기저를 이루는 생각은 주어진 사진의 제작자가 단순히 주제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 이상을 목표로 했으며, 개인적인 인상을 전달하려고 시도했다는 것이다.”
- “미술 사진”: 또한 “장식 사진”, 또는 “포토 데코르”라고도 불리며, 이는 “벽면 예술로 사용할 수 있는 큰 사진을 판매하는 것을 포함한다”.
- “Art photography”: “Photography that is done as a fine art – that is, done to express the artist’s perceptions and emotions and to share them with others”.
- “Fine art photography”: “A picture that is produced for sale or display rather than one that is produced in response to a commercial commission”.
- “Fine art photography”: “The production of images to fulfill the creative vision of a photographer. … Synonymous with art photography”.
- “Art photography”: A definition “is elusive,” but “when photographers refer to it, they have in mind the photographs seen in magazines such as American Photo, Popular Photography, and Print, and in salons and exhibitions. Art (or artful) photography is salable.”.
- “Artistic photography”: “A frequently used but somewhat vague term. The idea underlying it is that the producer of a given picture has aimed at something more than a merely realistic rendering of the subject, and has attempted to convey a personal impression”.
- “Fine art photography”: Also called “decor photography,” or “photo decor,” this “involves selling large photos… that can be used as wall art”.
학술논문에서
In scholarly articles
학술논문에서 찾을 수 있는 정의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Among the definitions that can be found in scholarly articles are:
- 1961년, S. D. 조하르는 사진미술협회를 창립했으며, 그는 그 협회의 의장이었다. 미술에 대한 그들의 정의는 “자신의 마음과 상상력이 자유롭지만 능숙하게 발휘되는 사진 과정을 통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를 창조하는 것”이었다.
- 1974년에 크리스토퍼슨의 두 연구에서는 “미술 사진가”를 “특히 ‘예술’로서 사진을 창조하고 배포하는 사람들”로 정의했다.
- 1986년 슈워츠의 민속학적 및 역사적 연구에서는 “미술 사진”을 직접적으로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 클럽 사진”과 비교했다. 이 연구는 미술 사진이 그림과 같은 “다른 매체와 연관이 있다”고 밝혔으며, (그들의 전임자들이 이룩한 동일한 업적에 대한 열망”이 아닌) “자신들만의 역사와 전통에 부응한다”, “자신만의 어휘를 가지고 있다”, “아이디어를 전달한다”(예: “형식에 대한 관심이 주제에 대한 관심보다 우선한다”); “혁신적이다”; “개인적이다”; “하나의 라이프스타일이다”; 그리고 “상업 세계에 참여한다”고 결론지었다.
- In 1961, S. D. Jouhar founded the Photographic Fine Art Association, and he was its chairman. Their definition of Fine Art was “Creating images that evoke emotion by a photographic process in which one’s mind and imagination are freely but competently exercised.”
- Two studies by Christopherson in 1974 defined “fine art photographers” as “those persons who create and distribute photographs specifically as ‘art.’”
- A 1986 ethnographic and historical study by Schwartz did not directly define “fine art photography” but did compare it with “camera club photography”. It found that fine art photography “is tied to other media” such as painting; “responds to its own history and traditions” (as opposed to “aspir[ing] to the same achievements made by their predecessors”); “has its own vocabulary”; “conveys ideas” (e.g., “concern with form supersedes concern with subject matter”); “is innovative”; “is personal”; “is a lifestyle”; and “participates in the world of commerce.”
웹에서
On the World Wide Web
월드 와이드 웹에서 찾을 수 있는 정의는 다음과 같다:
Among the definitions that can be found on the World Wide Web are:
- 미국 의회 도서관 주제명 표목에서는 “예술 사진”을 “예술의 사진”으로, “예술적 사진”(즉, “사진, 예술적”)을 “미학 이론을 포함한, 미술로서의 사진”으로 사용한다.
- 아트 & 아키텍처 시소러스(예술 및 건축 유의어 사전)에서는 “미술 사진”(선호되는 용어) 또는 “예술 사진” 또는 “예술적 사진”이 “1890년경부터 20세기 초까지 영국과 미국에서 다양한 미학적 접근 방식을 촉진한 운동이다. 역사적으로, 이는 과학적, 상업적, 보도적 목적과 구별되는 미학적 의도를 가진 모든 사진에 때때로 적용되어 왔다; 이러한 의미로 ‘사진’을 사용한다.”고 명시한다.
- 사진가들의 정적 웹 페이지에서 “미술 사진”에 대한 정의는 “카메라로 창조된 미술의 하위 범주”에서부터 “작가가 살아있는 동안 지속될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한정된 수량으로 제작된 사진”까지 다양하다.
- 한정된 재생산에 관한 개념에 대해, 프랑스 법제도에서는 미술 사진이 예술 작품으로 간주되는 것에 대해 매우 정확한 법적 정의가 있다. 세법에 따르면 “작가가 직접 찍고, 그 또는 그의 통제에 의해 인쇄되며, 모든 크기와 마운팅을 포함하여 최대 30부까지 서명 및 번호가 매겨진 사진은 예술작품으로 간주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 The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use “art photography” as “photography of art,” and “artistic photography” (i.e., “Photography, artistic”) as “photography as a fine art, including aesthetic theory”.
- The Art & Architecture Thesaurus states that “fine art photography” (preferred term) or “art photography” or “artistic photography” is “the movement in England and the United States, from around 1890 into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promoted various aesthetic approaches. Historically, has sometimes been applied to any photography whose intention is aesthetic, as distinguished from scientific, commercial, or journalistic; for this meaning, use ‘photography’”.
- Definitions of “fine art photography” on photographers’ static Web pages vary from “the subset of fine art that is created with a camera” to “limited-reproduction photography, using materials and techniques that will outlive the artist”.
- On the concept of limited-reproduction, in the French legal system, there is a very precise legal definition regarding fine art photography being considered as an artwork. The tax code states they, “are considered as artworks the photographs taken by the artist, printed by him/herself or under his/her control, signed and numbered in maximum thirty copies, including all sizes and mountings.”
- 출처 : 「Fine-art photography」, Wikipedia(en), 2024.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