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nacular photography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라는 용어는 여러 관련 의미로 사용된다. 각각은 어떤 식으로든 예술(파인-아트) 사진의 일반적인 개념과 대비되는 의미를 갖는다.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는 또한 파운드 포토그래피 및 아마추어 사진과 구별된다. 이 용어는 학자들과 큐레이터들 사이에서 유래했지만,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The term vernacular photography is used in several related senses. Each is in one way or another meant to contrast with received notions of fine-art photography. Vernacular photography is also distinct from both found photography and amateur photography. The term originated among academics and curators, but has moved into wider usage.
용어의 역사와 용법
History and usage of the term
버내큘러 포토그래피에 관한 현재의 생각은 1964년 초, 1962년부터 1991년까지 뉴욕현대미술관의 사진 디렉터였던 존 샤르코브스키(1925-2007)에 의해 예견되었다. 샤르코브스키는 자신의 책 『사진가의 눈』에서 전통적인 순수-예술 사진의 범주와 함께 그가 “기능 사진”이라고 부르는 것을 인정할 것을 제안했는데, 그의 요점은 모든 사진이 그가 추구했던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었다. 샤르코브스키의 책과 그 기반이 된 전시회에는 평범한 스냅샷, 잡지 사진, 스튜디오 인물 사진, 익명의 전문가에 의한 전문 다큐멘터리 작업이 포함되었다.
Current thinking about vernacular photography was anticipated as early as 1964 by John Szarkowski, director of photography at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from 1962 until 1991. In his book The Photographer’s Eye, Szarkowski proposed to recognize what he called “functional photography” alongside the traditional category of fine-art photography; his point was that all photography could possess the merits he sought. Examples in Szarkowski’s book and the exhibition it was based on included ordinary snapshots, magazine photos, studio portraiture, and specialized documentary work by anonymous professionals.
현재의 관심의 물결은 2000년, 미술사학자이자 큐레이터인 제프리 배천(1956-)의 “중요한” 에세이인 “버내큘러 포토그래피”에서 시작되었다. 배천은 “사진의 역사로부터 항상 배제되어 온 것, 즉 1839년에서 지금까지 평범한 사람들이 만들거나 구입한(또는 때때로 구입한 후 다시 만든) 평범한 사진, 주로 가정과 마음 속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지만 박물관이나 학계에서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사진”을 가리키는 용어로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를 사용했다. 배천은 다게레오타입, 암브로타입(유리판 사진), 스냅샷, 스냅샷 앨범, “교회 단체의 파노라마, 웨딩 사진, 집에서 기르는 개의 공식 초상화” 등 의도적인 예술과 특정 전문가의 작업을 포함하여 일반인이 만들거나 일반인을 위해 만든 광범위한 사진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이러한 예들에 더해, 인도의 금박 알부민 프린트부터, 미국의 채색 및 프레임 틴타입, 멕시코의 포토에스쿨투라, 나이지리아의 이베지 이미지 등과 같은 동등하게 소외된 수많은 토착 장르와 관습들도 추가될 수 있다.”
The current wave of interest began in 2000, with a “seminal” essay, “Vernacular Photographies”, by the art historian and curator Geoffrey Batchen. Batchen used the term vernacular photography to refer to “what has always been excluded from photography’s history: ordinary photographs, the ones made or bought (or sometimes bought and then made over) by everyday folk from 1839 until now, the photographs that preoccupy the home and the heart but rarely the museum or the academy.” Batchen had in mind a wide range of photographies made by or for ordinary people, including intentional art and the work of certain professionals: daguerreotypes, ambrotypes, snapshots and snapshot albums, “panoramas of church groups, wedding pictures, formal portraits of the family dog. . . . To these examples could be added a multitude of equally neglected indigenous genres and practices, from gilt Indian albumen prints, to American painted and framed tintypes, to Mexican fotoescultura, to Nigerian ibeji images.”
모마(현대미술관)는 현재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를 순수-예술 사진 및 전문 사진과 구분하면서, 특히 스냅샷을 주목하고 있다: 모마는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를 “아마추어 사진가들이 일상과 피사체를 일반적으로 스냅샷의 형태로 촬영한 사진”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용어는 일상 사진과 순수 예술 사진을 구분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애클랜드 뮤지엄(채플 힐에 있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은 버내큘러한 사진을 “일반적으로 예술가가 아닌 것으로 추정되는 개인이 개인적인 즐거움을 위해 찍은 일상적인 피사체의 스냅샷을 포함하여 다양한 이유로 만든 사진”으로 정의한다.
The Museum of Modern Art currently distinguishes vernacular photography from both fine-art photography and professional photography, singling out snapshots in particular: it defines vernacular photography as “[i]mages by amateur photographers of everyday life and subjects, commonly in the form of snapshots. The term is often used to distinguish everyday photography from fine art photography.” Similarly, the Ackland Art Museum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defines vernacular photographs as “those that are made by individuals, typically presumed to be non-artists, for a wide variety of reasons, including snapshots of everyday subjects taken for personal pleasure.”
모마는 해당 웹사이트의 다른 곳에 있는 두 번째 정의를 통해, “상업, 과학, 법의학, 정부, 개인 등 광범위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비예술 사진”을 포함하도록 버내큘러 포토그래피의 범위를 확장한다. 시카고미술관도 이에 동의하며,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를 “기념품 엽서, 정부 아카이브, 경찰 사건 파일, 핀업 포스터, 네트워킹 웹 사이트, 그리고 잡지, 신문 또는 가족 앨범의 페이지를 위해 만들어진 수많은 평범하고 실용적인 사진”으로 정의한다.
In a second definition elsewhere on its website, the Museum of Modern Art broadens vernacular photography to include all manner of non-art photographs made “for a huge range of purposes, including commercial, scientific, forensic, governmental, and personal.”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agrees, referring to vernacular photography as “those countless ordinary and utilitarian pictures made for souvenir postcards, government archives, police case files, pin-up posters, networking Web sites, and the pages of magazines, newspapers, or family albums.”
이 모든 용법은 배천이 했던 근본적인 사진 재료에 대한 재검토를 광범위하게 이어간다. 버내큘러 뮤직과 버내큘러 아키텍처 등 관련 용어와 마찬가지로, 모든 해석에서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는 최근까지 “뮤지엄 또는 아카데미”에서 무시되었던 형식에 주목할 뿐만 아니라 사진이 원래 만들어진 사회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적어도 비평적 및 큐레이터적 사용에서 이 용어는 발견자의 시선에 가장 중점을 두었던 이전의 “파운드 포토그래피”를 대체한다. “파운드 포토”는 예술가들에 의해 미학적으로 재맥락화되거나 재해석된 것이었다. 반면에, 현재의 “버내큘러 사진”은 맥락에서 벗어나거나 재해석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경우 미학적 가치를 주장하지 않고 단순히 사회사 또는 사진사에서 간과된 측면을 기록할 뿐이다.
All the usages broadly carry on Batchen’s rethinking of the underlying photographic material. Like the related terms vernacular music and vernacular architecture, “vernacular photography” under all interpretations not only directs attention to forms that until recently have been ignored by “the museum or the academy,” but also puts the focus on the social contexts in which the photos were originally made. At least in critical and curatorial use, the term largely supersedes the earlier “found photography,” which was most concerned with the eye of the finder. “Found photos” were aesthetic recontextualizations or reinterpretations by artists. By contrast, the current “vernacular photos” are not being taken out of context or reinterpreted, and in most cases they claim no aesthetic value; they simply document some presumably overlooked aspect of social or photo history.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는 아마추어 사진과도 구별되어야 한다.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는 일반적으로 예술 범주 밖에 위치하지만(경계선은 다를 수 있지만), “아마추어 사진”은 “프로페셔널 사진”과 대조된다: “아마추어 사진은 단순히 다른 일을 하면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Vernacular photography is also to be distinguished from amateur photography. While vernacular photography is generally situated outside received art categories (though where the lines are drawn may vary), “amateur photography” contrasts with “professional photography”: “[A]mateur [photography] simply means that you make your living doing something else”.
뮤지엄에서의 버내큘러 포토그래피
Vernacular photography in museums
미국의 박물관에서는 1998년 이래로 스냅샷을 전시해 왔다. 스냅샷과 관련 장르들은 이제 일반적으로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로 불리며 논의되고 있다.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exhibiting snapshots since 1998. Snapshots and related genres are now commonly billed and discussed as vernacular photography.
미국인 수집가, 피터 J. 코헨은 현재 미국 박물관에서 버내큘러 포토그래피 분야를 주도하고 있다. 주요 뮤지엄 전시는 아직 미국 외 지역에서는 개최되지 않았다.
The American collector Peter J. Cohen currently dominates vernacular photography in U.S. museums. Major museum exhibitions have not yet been mounted outside the United States.
주요 뮤지엄 전시
Major museum exhibitions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를 강조한 뮤지엄 전시는 다음과 같다:
Museum exhibitions highlighting vernacular photography have included:
- 1998: SF모마에서 열린 “스냅샷: 일상 생활의 사진”전
- 2000: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열린 “다른 사진들: 토마스 발터 컬렉션의 버내큘러 사진”전
- 2007: 국립미술관에서 열린 “미국 스냅샷의 예술, 1888-1987: 로버트 E. 잭슨의 컬렉션으로부터”전
- 2015–2016: 보스턴 미술관에서 열린 “미완성 이야기: 피터 J. 코헨 컬렉션의 스냅샷”전
- 2017: 포틀랜드 미술관에서 열린 “재현하기: 아프리칸 아메리칸의, 에 의한, 을 위한 버내큘러 사진”전
- 2019: 세인트루이스 미술관에서 열린 “일상의 시학: 아마추어 사진, 1890-1970”전
- 2019–2020: 애클랜드 미술관에서 열린 “분실물 보관소: 버내큘러 사진을 위한 이야기”
- 1998: “Snapshots: The Photography of Everyday Life” at the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 2000: “Other Pictures: Vernacular Photographs from the Thomas Walther Collection”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 2007: “The Art of the American Snapshot, 1888–1978: From the Collection of Robert E. Jackson” at the National Gallery of Art
- 2015–2016: “Unfinished Stories: Snapshots from the Peter J. Cohen Collection” at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 2017: “Representing: Vernacular Photographs of, by, and for African Americans” at the Portland Art Museum
- 2019: “Poetics of the Everyday: Amateur Photography, 1890–1970” at the Saint Louis Art Museum
- 2019–2020: “Lost and Found: Stories for Vernacular Photographs” at the Ackland Art Museum
- 출처 : 「Vernacular photography」, Wikipedia(en), 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