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ing typology

빌딩 타이폴로지(건물 유형학)는 건물의 본질적인 특징에 따라 건물을 분류하고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건축 담론에서, 유형학적 분류는 건물 기능(용도), 건물 형태, 또는 건축 양식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기능적 유형학은 주택, 병원, 학교, 쇼핑센터 등과 같이 건물을 기능별 그룹으로 묶는다. 형태적 유형학은 건물의 모양, 규모, 대지 배치 등에 따라 건물을 그룹화한다. (형태적 건물 유형학은 때때로 모폴로지(형태론)라고도 불린다.) 마지막으로, 양식적 유형학은 미술사에서 차용하여 도리스식, 이오니아식, 코린트식(고전 양식의 하위 유형), 바로크, 로코코, 고딕, 미술 공예, 인터내셔널, 포스트모던 등과 같이 표현적 특징에 따라 건물 유형을 식별한다.
Building typology refers to building and documenting buildings according to their essential characteristics. In architectural discourse, typological classification tends to focus on building function (use), building form, or architectural style. A functional typology collects buildings into groups such as houses, hospitals, schools, shopping centers, etc. A formal typology groups buildings according to their shape, scale, and site placement, etc. (Formal building typology is also sometimes referred to as morphology (gk. morph).) Lastly, a stylistic typology borrows from art history and identifies building types by their expressive traits, e.g. Doric, Ionic, Corinthian (subtypes of classical), baroque, rococo, gothic, arts and crafts, international, post-modern, etc.
이 세 가지 유형학적 관행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각각의 기능 유형은 많은 형태 유형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주거라는 기능 유형은 고층 타워, 단독 주택, 듀플렉스(두 세대용 건물), 타운하우스와 같은 형태적 범주로 나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 양식 특성이 형태적 건물 유형에는 불필요한 것으로 여겨지기는 하지만, 양식 특성을 발생시키는 (정치적, 경제적, 기술적) 조건이 특정 형태가 표현될 수 있게 하거나 장려하기 때문에, 양식과 형태는 서로 관련이 있다. 이 세 가지 경우 모두에서 유형학은 개별적이고 우연적인 특성과는 별개로, 개념적으로 동등한 기반 위에서 건물의 본질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틀을 제공한다.
The three typological practices are interlinked. Namely, each functional type consists of many formal types. For example, the residential functional type may be split into formal categories such as the high rise tower, single family home, duplex, or townhouse. Similarly, while certain stylistic traits may be considered superfluous to a formal building type, style and form are nonetheless related since the conditions (political, economic, technological) that give rise to stylistic traits also enable or encourage certain forms to be expressed. In all three cases the typology serves a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essential qualities of buildings on conceptually equal footing, apart from their individual, contingent characteristics.
기능적 유형학
Functional Typology
양식적 유형학
Stylistic Typology
형태적 유형학
Formal Typology
역사
History
자율적인 건물 유형은 부분적으로는 과학적 발견의 전조였던 일반적인 계몽주의 시대의 분류 선호에서 비롯되었다. 처음에, 유형은 다양하게 복제될 수 있는 이상적인 모델로 의도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유형’은 흔히 사용되던 형태로, 예를 들어 바실리카 유형이 로마의 포룸(광장)에서 초기 교회 양식(성 베드로 대성당), 그리고 19세기 기차역 등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시간이 지나면서 전혀 다른 용도의 새로운 건물에 맞게 변형되어 적용되었다. 이들 형태들이 매우 유사하고 서로 파생되었다는 사실은 유형학을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유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므로 역사 또는 문화적 연속성을 전달할 수 있다. 건물 유형을 형태적 구성으로 보는 개념은 J.N.L. 뒤랑(1760-1834)에 의해 강화되었는데, 그는 두 가지 중요한 저서를 발전시켰으며, 그 중 하나가 역사적 건물의 평면, 입면, 단면을 동일한 축척으로 재현한 크고 아름다운 책인 『파라렐』(1799)이었다. 그는 건물을 형태적 유형으로 분류하여 기본적인 유사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했다. 뒤랑은 이어지는 두 번째 책에서 건축의 고전적 요소인 기둥, 벽 등을 조작하고 재구성하여 새롭고, 부상하는 용도에 맞게 조작하고 재구성했다. 건축 언어로서, 뒤랑의 시스템은 유형의 본질적인 특징 중 하나, 즉 완전히 제약이 없는 것도 아니고 지나치게 규정된 것도 아닌 디자인 방식을 보여주었다.
Autonomous building types arose partly from the general Enlightenment predilection for categorization, a prelude to scientific discovery. At first types were intended as ideal models, which could be variously copied. In this sense types were commonly used forms (a basilica, for example), adapted over time in new buildings with quite different uses: from Roman fora to early church forms (St. Peter’s Basilica), to 19th century train stations. The fact that these forms are very similar and are derived from each other is an important way of understanding typology: types are evolved over time and therefore can convey a sense of history or cultural continuity. The idea of building types as formal configurations was enhanced by J.N.L. Durand, who developed two important works: the Parallele (1799), a huge, handsome book that reproduced plans, elevations and sections of historic buildings at the same scale. He categorized them by formal types, so that their basic similarities could be recognized. Durand followed up with a second book that manipulated and reconfigured the classical elements of architecture—columns, walls, etc.—to adapt them to new, emerging uses. Durand’s system, a language of architecture, demonstrated on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ypes: a way of designing that was neither entirely free of constraint nor overly prescribed.
형태적 빌딩 타입 문서화
Documenting a Formal Building Type
형태적 건물 유형을 기록하는 것은 그 유형을 뚜렷하게 만드는 최소한의 특징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다른 유형학적 과정과 유사하다. 형태적 유형학에서 건물 유형은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모양, 대지 배치, 스케일로 구별되지만, 특정 건축 양식, 기술, 연대, 지리적 위치 또는 용도로는 구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타운하우스에 대한 피상적인 형태 분석은 다음과 같은 “최소 필수 형태 특징”을 식별할 것이다. 인접한 건물과 벽을 공유하지 않는 단독 주택과 대조적으로, 타운하우스 또는 연립 주택은 (코너 필지를 제외하고) 이웃과 양쪽 벽을 공유한다. 전 세계적으로 이 형태 유형의 많은 변형이 발견되지만, 각각은 현지 환경의 산물(색상, 재료, 높이, 창문 배치 등)임에도 불구하고, 개별 유닛이 나란히 배치되고, 2층에서 5층 사이이며, 깊은 대지에 좁은 전면을 가지고, 거리에서 최소한으로 후퇴한 별도의 출입구를 통해 접근한다는 특성을 공유한다.
Documenting a formal building type is similar to any typological process insofar as the aim is to identify the minimum number of characteristics which make that type distinct. In a formal typology, building types are usually distinguished by their basic shape, site placement, and scale, but not by their specific architectural style, technology, chronology, geographical location or use. For example, a cursory formal analysis of the townhouse will identify the following “minimum essential formal characteristics.” In contrast with single family homes that share no walls with adjacent buildings, the townhouse, or rowhouse, shares both party walls (save the corner lot) with its neighbors. While many variations of this formal type are found around the world, each the product of their local environment (color, material, height, fenestration, etc), they nonetheless share the qualities that individual units are placed side-by-side, between two and five stories, with narrow fronts on deep lots, accessed via separate entrances that are setback minimally from the street.
이러한 절차는 대부분의 건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는 가든 아파트, 타운하우스, 고층 주택 같은 여러 주거 유형이 존재한다. 이들 각 유형은 많은 하위 유형을 가질 수 있다. 할렘의 브라운스톤은 브루클린의 연립 주택과 다르다. 그리고 많은 도시의 모퉁이 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형 저택들은 – 비록 모두 “단독주택” 유형에 속하더라도 – 그 사이에 지어진 소형 주택들과는 뚜렷이 구별된다. 누구나 특정 장소에서의 일반적인 건물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건축 및 도시 디자이너는 건물을 측정하고, 건축 시기를 기록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유형의 유사한 변화를 기록하고, 도시 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위치를 식별함으로써 유형을 보다 철저하게 문서화한다.
This procedure can be applied to most buildings. For example, several residential types exist in the US, such as garden apartments, townhouses, and high-rise housing. Each of these may have many subtypes. The brownstones in Harlem are different from the rowhouses in Brooklyn. And the large mansions commonly found on corner lots in many cities are distinct from the smaller houses that were built later in between them, even though both are types of “single family home.” Anyone can identify types simply by observing the common buildings in a place. Architectural and urban designers document types more thoroughly by measuring them, dating them, noting similar changes to the type that arise over time, and identifying their recurring locations in the city.
역사에 적용
Application to History
역사학자, 인류학자, 건축사학자들은 도시의 다른 특성들, 예를 들어 사건, 정치적 통제, 또는 경제적 변화를 이해하는 열쇠로서 유형 기록을 활용한다. 이론에 따르면, 한 유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는 것은 도시의 조건이 변화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징후다. 앤 무동(1945-)은 미국 캘리포니아 알라모 스퀘어 인근 지역의 유형 변화를 기록하여 일종의 건축적, 문화적, 경제적 역사를 설명한다. 그녀는 또한 블록, 필지, 가로망 패턴을 유형학적 연속성의 핵심으로 식별한다. 이 방법을 사용한 여러 연구에서 중국 상점 주택, 상하이의 스쿠먼(石庫門) 주택, 영국의 테라스 하우스, 프랑스의 안뜰 건물, 그리고 많은 더운 기후에서 발견되는 아트리움 주택과 같은 중요한 건물 유형을 식별했다. 아트리움 유형은 모스크, 쇼핑몰, 그리고 일부 호텔에서도 중요하다.
Historians, anthropologists, and architectural historians use the documentation of type as a key to other characteristics in a city, for example, events, political control, or economic changes. As theory tells us, when a type evolves over some time, this is an indication that conditions in the city have changed. Anne Moudon documents changes in the types of an Alamo Square neighborhood to tell a kind architectural, cultural and economic history. She also identifies the block, lot and street pattern as key to typological continuity. Multiple studies using this method have identified important building types, for example Chinese shophouses, Shanghai’s Shikumen housing, terrace housing in Great Britain, Courtyard buildings in France, and the atrium houses found in many hot climates. Atrium types are also important for mosques, shopping malls, and some hotels.
빌딩 디자인에 적용
Application to Building Design
건물 유형은 건축가에게 설계를 시작하는 출발점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사무실 건물 같은 일반적인 건물 유형이 필요한 경우 그 형태를 재발명할 필요가 없다. 대부분의 건축가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반적인 건물 유형에 대한 감각을 발전시킨다. 건축가는 대부분의 유형을 결정하는 대략적인 치수, 부피, 대지 배치, 내부 동선을 알고 있다. 이러한 감각은 건축가들이 재료, 방향, 구조, 특정 치수, 입구 등과 같이 설계 문제에서 독특한 부분이 무엇인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사베리오 무라토리(1910-1973)에 의해 시작된 이탈리아의 한 학파는 도시의 연속성을 제공하는 유형학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이 건축가들은 최신 건물들이 역사적 양식을 모방하지 않으면서도 많은 유형학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도록 권장되는 현대 건축에서, 유형의 역할을 인식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Building types are critical to architects because they are a starting point for designing. One need not reinvent the form if a common building type, say an office building, is wanted. Most architects develop a sense of common building types over time, even without acknowledging their importance. Architects know the approximate dimensions, bulk, site placement, and internal circulation that dictates most types. This allows them to work quickly to determine the parts of the design problem which are unique: material, orientation, structure, specific dimensions, entrance, and so on. One school of thought in Italy, started by Saverio Muratori,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ypology in providing continuity in the city. These architects have been influential in recognizing the role of type for modern architecture, where the newest buildings are encouraged to actively assimilate many typological characteristics, without imitating historical styles.
“패턴 랭귀지”
“A Pattern Language”
형태적 유형 분류의 독특한 예는 크리스토퍼 알렉산더(1936-2022)가 개발한 ‘패턴 랭귀지’다. 알렉산더는 유형별로 완전한 건물을 분류하는 데 초점을 맞추지 않고, 대신 건물을 구성 요소로 분해한 다음, 그 구성 요소를 본질적인 특성, 즉 그가 “패턴”이라고 부르는 것에 따라 분류한다.
A unique example of formal typological classification is A Pattern Language developed by Christopher Alexander. While Alexander does not focus on classifying complete buildings by type, he instead breaks down buildings into their components and then classifies those components by their essential qualities, which he calls “patterns.”
어반 디자인에 적용
Application to Urban Design
공통 유형은 도시의 빌딩 블록이다. 대개, 동네 도로와 필지는 공통 유형이 지어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는 오늘날의 교외 주택 단지에서 흔히 나타나지만, 역사적으로도 흔한 패턴이었다. 이러한 유형, 도로, 필지의 조합을 도시 조직 또는 계획 단위라고 한다. 도시를 연구할 때, 디자이너는 공통된 조직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연결하거나 모방하거나 역사적 유물로 인식할 수 있다. 미국의 도시 이론가 및 실무자 운동인 ‘뉴 어바니즘’은 건물 유형학을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장소를 정의하는 핵심 요소로 파악했다. 기존 동네를 보존하거나 새로운 동네를 건설하려는 노력 속에서, 건물 유형은 다시 한번 도시의 구성 요소가 되며, 형태기반코드 같이 법률로 성문화될 수도 있다.
Common types are the building blocks of the city. Usually, a neighborhood streets and lots are laid out so that the common type can be built there. This occurs today in suburban subdivisions, but it has been a pattern in history, as well. This combination of types, streets and lots is called an urban tissue, or a plan unit. When studying a city, a designer identifies the common tissue patterns in place and may decide to link to them, imitate them, or otherwise recognize them as an historical artifact. A movement of urban theorists and practitioners in the US, New Urbanism, has identified building typology as a key to defining more user-friendly places. In trying to preserve neighborhoods or building new ones, building types once again become the building blocks of the city, and may be codified in law as form-based codes.
- 출처 : 「Building typology」, Wikipedia(en), 2025.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