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나우트 하우스

Table of contents

온타리오 주 마컴의 2층 규모 ‘스나우트 하우스’. via Wikimedia Commons
인디애나주 Schererville의 ‘스나우트 하우스’의 정면. via Wikimedia Commons
‘스나우트 하우스’가 있는 지역의 후면 모습. via Wikimedia Commons

스나우트 하우스는 거리에 면한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는 돌출된 차고가 있는 집이다. 이 설계는 단독 주택, 연립 및 기타 다가구 건축물을 포함하여 많은 스타일의 주택에 적용된다.


건축적 특징

이러한 디자인은 좁은 부지(폭이 10.6m 정도로 좁은 경우도 있음)에 각 측면 경계선으로부터 최소 1.5m의 이격 거리를 두어 폭 7.5m의 주택을 짓는 방식으로, 보통 수입의 가구도 감당할 수 있는 가격으로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미국과 캐나다에서 사용되었다. 전형적으로 폭이 최대 6m 이상인 2대 주차용 차고를 추가하고, 뒷마당 진입로가 없는 경우, 차고가 건물 전면에서 두드러지는 모습이 된다.

이 디자인은 기존 개발 방식과 대조될 수 있다. 기존 방식에서는 단독 차고가 대지의 뒤쪽 모서리에 배치되며, 일반적으로 원래 건축 후에 추가로 지어진다. 또한, 차고는 대지 경계선에 맞닿아(제로 로트 라인) 건설되며, 주택이 대지 중앙이 아니라 한쪽으로 치우쳐 배치되기 때문에 접근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이러한 배치는 많은 지역의 조닝 코드에 포함된 셋백(이격 거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집 전면에서 셋백시켜 한쪽에 붙은 1대용 차고를 짓는 것인데, 대지 경계선 간격을 두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더 내화성이 강한 건축과 특별 개발 허가가 필요하다. 계획 단위 개발(PUD)에 투자가 이루어지는 경우, 여러 가구의 차량 보관을 한데 모아서 방해가 되지 않는 곳에 배치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불편함과 보안 저하로 인해 구매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1. snout: 코, 주둥이, 돌출부 ↩︎

카테고리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