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et photography
스트리트 포토그래피(거리 사진)은 공공장소에서 매개되지 않은 우연한 만남과 무작위적인 사건을 예술 또는 탐구 목적으로 촬영하는 사진이다. 일반적으로 신중한 구도와 타이밍을 통해 결정적이거나 가슴 아픈 순간을 포착하는 것이 목적이다.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는 포트레이트 포토그래피(인물 사진)이나 이벤트 포토그래피(행사 사진) 같은 다른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후자는 캔디드 포토그래피(자연스러운 모습 그대로 찍은 사진)와 광범위하게 겹친다.
Street photography is photography conducted for art or inquiry that features unmediated chance encounters and random incidents within public places. It usually has the aim of capturing images at a decisive or poignant moment by careful framing and timing. Street photography overlaps widely with candid photography, although the latter can also be used in other settings, such as portrait photography and event photography.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는 거리나 도시 환경이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직접 등장하지만, 스트리트 포토그래피에는 사람이 없을 수도 있고, 이미지에 사람의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사물이나 환경이 등장할 수도 있다.
Street photography does not necessitate the presence of a street or even the urban environment. Though people usually feature directly, street photography might be absent of people and can be of an object or environment where the image projects a decidedly human character in facsimile or aesthetic.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는 공공장소에서 사람들과 그들의 행동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 점에서 스트리트 포토그래퍼는 뉴스 가치가 있는 사건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공공장소에서 활동하는 소셜 다큐멘터리 포토그래퍼나 포토저널리스트와 유사하다. 이러한 사진작가의 이미지는 공공장소 내부 또는 공공장소에서 보이는 사람과 재산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종종 윤리적 문제와 개인정보 보호, 보안 및 재산 관련 법률을 준수해야 한다.
Street photography can focus on people and their behavior in public. In this respect, the street photographer is similar to social documentary photographers or photojournalists who also work in public places, but with the aim of capturing newsworthy events. Any of these photographers’ images may capture people and property visible within or from public places, which often entails navigating ethical issues and laws of privacy, security, and property.
스타일적으로나 주관적으로나 최고의(최종적인)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로 간주되는 대부분의 사진은 19세기 말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 공공장소에서 캔디드 포토그래피를 찍을 수 있는 휴대용 카메라가 등장한 시기에 만들어졌다.
Much of what is regarded, stylistically and subjectively, as definitive street photography was made in the era spanning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rough to the late 1970s, a period which saw the emergence of portable cameras that enabled candid photography in public places.
사진가는 도시의 지옥을 탐색하고, 뒤쫓고, 순례하는 고독한 산책자의 무장된 버전이다. 그는 도시를 관능적인 극단의 풍경으로 발견하는 관음적인 산책자이며, 보는 즐거움을 능숙하게 즐기고 공감의 감정을 아는 사람이다. 플라뇌르는 세상을 “그림 같은” 것으로 여긴다.
– 수전 손택, 1977
The photographer is an armed version of the solitary walker reconnoitering, stalking, cruising the urban inferno, the voyeuristic stroller who discovers the city as a landscape of voluptuous extremes. Adept of the joys of watching, connoisseur of empathy, the flâneur finds the world “picturesque”.
– Susan Sontag, 1977
역사
History
일상적인 공공 생활의 묘사는 선사 시대, 수메르, 이집트, 초기 불교 미술 시대부터 시작하여 세계 미술의 거의 모든 시대에서 하나의 장르를 형성했다. 거리의 삶을 다룬 예술은 도시 풍경의 일부이거나 지배적인 모티브로서 서양에서는 북부 르네상스, 바로크, 로코코, 낭만주의, 사실주의, 인상주의 및 후기 인상주의의 정경에 등장한다. 다른 미디어에서 오랫동안 확립된 유형이었기 때문에, 사진가들도 기술이 발달하자마자 이 주제를 추구하게 되었다.
Depictions of everyday public life form a genre in almost every period of world art, beginning in the pre-historic, Sumerian, Egyptian and early Buddhist art periods. Art dealing with the life of the street, whether within views of cityscapes, or as the dominant motif, appears in the West in the canon of the Northern Renaissance, Baroque, Rococo, of Romanticism, Realism, Impressionism and Post-Impressionism. With the type having been so long established in other media, it followed that photographers would also pursue the subject as soon as technology enabled them.
19세기 선구자
Nineteenth-century precursors
1838년 또는 1839년에 루이 자크 망데 다게르(1787-1851)가 파리의 탕플 대로에 있는 자신의 스튜디오 창문에서 찍은 한 쌍의 다게레오타입 사진 중 하나에 거리의 인물을 찍은 최초의 사진이 기록되었다. 한낮에 촬영한 두 번째 사진은 인적이 드문 거리를 보여주며, 다른 사진은 오전 8시에 촬영한 것으로 버몬트 뉴홀(1908-1993)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늘 사람과 마차로 붐비던 대로가 완전히 텅 비어 있었고, 그곳에는 오직 구두를 닦고 있는 한 사람만이 있었다. 그의 발은 당연히 한동안 고정되어 있어야 했는데, 한 발은 구두 닦이 상자 위에, 다른 한 발은 땅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그의 신발과 다리는 뚜렷하게 나타났지만, 그의 몸과 머리는 움직이고 있었기 때문에 보이지 않았다.”
In 1838 or 1839 the first photograph of figures in the street was recorded by Louis-Jacques-Mandé Daguerre in one of a pair of daguerreotype views taken from his studio window of the Boulevard du Temple in Paris. The second, made at the height of the day, shows an unpopulated stretch of street, while the other was taken at about 8:00 am, and as Beaumont Newhall reports, “The Boulevard, so constantly filled with a moving throng of pedestrians and carriages was perfectly solitary, except an individual who was having his boots brushed. His feet were compelled, of course, to be stationary for some time, one being on the box of the boot black, and the other on the ground. Consequently his boots and legs were well defined, but he is without body or head, because these were in motion.”
샤를 네그레(1820-1880)는 1851년 파리의 거리에서 움직이는 사람들을 촬영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정교함을 최초로 달성한 사진작가다. 스코틀랜드 출신의 사진작가 존 톰슨(1837-1921)은 저널리스트이자 사회 운동가인 아돌프 스미스(1846-1924)와 함께 1877년 2월부터 12개월에 걸쳐 『런던의 거리 생활』을 출간했다. 톰슨은 거리의 일상을 사진의 중요한 주제로 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Charles Nègre was the first photographer to attain the technical sophistication required to register people in movement on the street in Paris in 1851. Photographer John Thomson, a Scotsman working with journalist and social activist Adolphe Smith, published Street Life in London in twelve monthly installments starting in February 1877. Thomson played a key role in making everyday life on the streets a significant subject for the medium.
으젠 아제(1857-1927)가 선구자로 여겨지는 이유는 그가 이런 종류의 사진가 중 최초였기 때문이 아니라, 1920년대 후반 베레니스 애보트(1898-1991)가 그의 파리 거리 기록을 대중화한 덕분이다. 이는 애보트가 뉴욕시의 유사한 기록 작업을 시작하도록 영감을 준 결과였다. 파리가 발전함에 따라 앗제는 파리 거리를 사진의 가치 있는 피사체로 홍보하는 데 기여했다. 189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그는 주로 파리의 건축물, 계단, 정원, 창문 등을 촬영했다. 일부 노동자를 촬영하기도 했지만 그의 주된 관심사는 사람이 아니었다.
Eugene Atget is regarded as a progenitor, not because he was the first of his kind, but as a result of the popularisation in the late 1920s of his record of Parisian streets by Berenice Abbott, who was inspired to undertake a similar documentation of New York City. As the city developed, Atget helped to promote Parisian streets as a worthy subject for photography. From the 1890s to the 1920s he mainly photographed its architecture, stairs, gardens, and windows. He did photograph some workers, but people were not his main interest.
1925년에 처음 판매된 라이카는 35mm 필름을 사용하여 최초의 상업적 성공을 거둔 카메라였다. 컴팩트한 사이즈와 밝은 뷰파인더, 우수한 품질의 렌즈(1930년부터 판매된 라이카에서는 교체 가능)는 사진가들이 바쁜 거리를 이동하며 찰나의 순간을 포착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First sold in 1925, the Leica was the first commercially successful camera to use 35 mm film. Its compactness and bright viewfinder, matched to lenses of quality (changeable on Leicas sold from 1930) helped photographers move through busy streets and capture fleeting moments.
20세기 실무자
Twentieth-century practitioners
영국
United Kingdom
폴 마틴(1864-1944)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런던과 해변에서 삶을 기록하기 위해 사람들의 솔직한 모습을 담은 무위도식 사진을 찍은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마틴은 런던에서 위장(僞裝) 카메라를 사용한 것으로 기록된 최초의 사진가다.
Paul Martin is considered a pioneer, making candid unposed photographs of people in London and at the seaside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in order to record life. Martin is the first recorded photographer to do so in London with a disguised camera.
매스 옵저베이션(여론 조사)은 영국의 일상을 기록하고 1936년 에드워드 8세가 이혼녀 월리스 심슨과 결혼하기 위해 퇴위하고 조지 6세가 왕위를 계승한 것에 대한 ‘일반인(평균적인 사람)’들의 반응을 기록하기 위해 1937년에 설립된 사회 조사 기관이다. 험프리 스펜더(1910-2005)는 영국 북부 공업도시 볼튼의 거리에서 사진을 찍어 프로젝트의 출판물에 ‘요크타운’이라는 이름을 붙였고, 영화감독 험프리 제닝스(1907-1950)는 런던에서 영화 촬영을 병행하며 조사를 진행했다. 인류학자 톰 해리슨(1911-1976)은 볼턴에서, 시인 찰스 매지는 런던에서 대중 관찰을 주도했으며, 이들의 첫 번째 보고서는 『5월 12일: 1937년, 200명 이상의 관찰자들이 참여한 여론 조사 일일 설문 조사』라는 책으로 제작되었다.
Mass-Observation was a social research organisation founded in 1937 which aimed to record everyday life in Britain and to record the reactions of the ‘man-in-the-street’ to King Edward VIII’s abdication in 1936 to marry divorcée Wallis Simpson, and the succession of George VI. Humphrey Spender made photographs on the streets of the northern English industrial town of Bolton, identified for the project’s publications as “Yorktown”, while filmmaker Humphrey Jennings made a cinematic record in London for a parallel branch of investigation. The chief Mass-Observationists were anthropologist Tom Harrisson in Bolton and poet Charles Madge in London, and their first report was produced as the book “May the Twelfth: Mass-Observation Day-Surveys 1937 by over two hundred observers”.
프랑스
France
전후 프랑스 휴머니스트 스쿨 사진가들은 길거리나 비스트로(작은 식당)에서 피사체를 찾았다. 이들은 당시 유행하던 소형 카메라로 주로 흑백으로 작업하면서 작가 피에르 마크 올랜(1882-1970)이 “판타스티크 소샬 드 라 뤼”(거리의 사회적 환상)라고 불렀던 것을 발견했고, 그들의 이미지 제작 스타일은 특히 파리에서 평범한 유럽인들의 삶의 방식을 낭만적이고 시적으로 표현했다. 1946년부터 1957년까지 레 그루프 데즈 15(사진을 그 자체의 예술 형식으로 인정받고, 이를 통해 프랑스 사진 유산을 보존하는 단체)는 매년 이런 종류의 작품을 전시했다.
The post-war French Humanist School photographers found their subjects on the street or in the bistro. They worked primarily in black‐and‐white in available light with the popular small cameras of the day, discovering what the writer Pierre Mac Orlan (1882–1970) called the “fantastique social de la rue” (social fantastic of the street) and their style of image-making rendered romantic and poetic the way of life of ordinary European people, particularly in Paris. Between 1946 and 1957 Le Groupe des XV annually exhibited work of this kind.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는 에드워드 스타이켄(1879-1973)이 기획한 뉴욕현대미술관(MoMA)의 두 전시회 〈다섯 명의 프랑스 사진가; 브라사이, 카르티에-브레송, 도이노, 로니스, 이지스〉(1951~1952), 그리고 스트리트 포토그래피 개념을 국제적으로 수출한 〈전후 유럽 사진〉(1953)의 주요 콘텐츠를 구성했다. 스타이켄은 1955년 전 세계 가족에 대한 연민 어린 묘사로 유명한 전시 〈인간가족전〉을 위해 유럽과 미국의 휴머니즘 사진을 다수 참고했으며, 이 전시회는 전 세계를 순회하며 사진가들에게 일상 생활 묘사에 영감을 불어넣었다.
Street photography formed the major content of two exhibitions at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in New York curated by Edward Steichen, Five French Photographers: Brassai; Cartier-Bresson, Doisneau, Ronis, Izis in 1951 to 1952, and Post-war European Photography in 1953, which exported the concept of street photography internationally. Steichen drew on large numbers of European humanist and American humanistic photographs for his 1955 exhibition The Family of Man, proclaimed as a compassionate portrayal of a global family, which toured the world, inspiring photographers in the depiction of everyday life.
널리 알려진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의 『결정적 순간』(1952)은 “형식과 내용, 시각과 구도가 초월적인 전체로 합쳐지는 순간”, 즉 “결정적 순간”에 사진을 찍는다는 아이디어를 장려했다. 그의 책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미학에서 이러한 접근 방식 자체가 비주류로 간주되기 전까지 여러 세대의 사진가들이 공공장소에서 ‘캔디드 포토그래프’를 찍도록 영감을 주었다.
Henri Cartier-Bresson’s widely admired Images à la Sauvette (1952) (the English-language edition was titled The Decisive Moment) promoted the idea of taking a picture at what he termed the “decisive moment”; “when form and content, vision and composition merged into a transcendent whole”. His book inspired successive generations of photographers to make candid photographs in public places before this approach per se came to be considered déclassé in the aesthetics of postmodernism.
미국
America
워커 에번스(1903-1975)는 1938년부터 1941년까지 뉴욕 지하철에서 순수한 ‘기록 방식’의 사진을 찍기 위해 연작을 진행했다. 그는 특정 시간 동안 무심한 고정 기록 장치 앞에 무의식적으로 다가오는 사람들의 솔직한 초상 사진을 촬영했다. 이 기록 장치는 ‘숨겨진 카메라’로, 그의 코트 아래 감춰진 35mm 콘탁스로, 이 카메라는 ‘가슴에 고정되고 오른쪽 소매를 따라 내려온 긴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그의 작업은 동시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에반스가 자신의 프로젝트의 독창성과 피사체의 사생활에 대해 민감했기 때문이다. 이 작업은 1940년에 제임스 에이지(1909-1955)가 쓴 서문과 함께 1966년에 출판된 책 『Many Are Called』에 이르러서야 공개되었다. 이 작업은 1991-1992년 국립미술관에서 열린 〈워커 에번스 지하철 사진 및 기타 최근 수집품’으로 전시되었으며, 『워커 에번스: 지하철과 거리』라는 카탈로그와 함께 전시되었다.
Walker Evans worked from 1938 to 1941 on a series in the New York City Subway in order to practice a pure ‘record method’ of photography; candid portraits of people who would unconsciously come ‘into range before an impersonal fixed recording machine during a certain time period’. The recording machine was ‘a hidden camera’, a 35 mm Contax concealed beneath his coat, that was ‘strapped to the chest and connected to a long wire strung down the right sleeve’. However, his work had little contemporary impact as due to Evans’ sensitivities about the originality of his project and the privacy of his subjects, it was not published until 1966, in the book Many Are Called, with an introduction written by James Agee in 1940. The work was exhibited as Walker Evans Subway Photographs and Other Recent Acquisitions held at the National Gallery of Art, 1991–1992, accompanied by the catalogue Walker Evans: Subways and Streets.
당시 어린이 교사였던 헬렌 레빗(1913-2009)은 1938~39년에 에반스와 인연을 맺었다. 그녀는 당시 뉴욕의 어린이 거리 문화의 일부였던 일시적인 분필 그림과 그 그림을 그리는 어린이들을 기록했다. 1939년 7월, MoMA의 새로운 사진 섹션의 첫 전시에 레빗의 작업이 포함되었다. 1943년 낸시 뉴홀(1908-1974)은 그곳에서 첫 개인전 ‘헬렌 레빗: 아이들 사진’을 기획했다. 이 사진들은 1987년 『거리에서: 분필 그림과 메시지, 뉴욕 1938–1948』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Helen Levitt, then a teacher of young children, associated with Evans in 1938–39. She documented the transitory chalk drawings that were part of children’s street culture in New York at the time, as well as the children who made them. In July 1939, MoMA’s new photography section included Levitt’s work in its inaugural exhibition. In 1943, Nancy Newhall curated her first solo exhibition Helen Levitt: Photographs of Children there. The photographs were ultimately published in 1987 as In The Street: chalk drawings and messages, New York City 1938–1948.
미국에서 스트리트 포토그래피의 시작은 재즈의 시작과도 연결될 수 있는데, 둘 다 일상을 노골적으로 묘사하며 등장했다. 이러한 연관성은 뉴욕 사진 학교(뉴욕 학파와 혼동하지 말 것)의 작업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욕 사진 학교는 정식 기관은 아니었지만, 20세기 중반 뉴욕시에 기반을 둔 사진가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The beginnings of street photography in the United States can also be linked to those of jazz, both emerging as outspoken depictions of everyday life. This connection is visible in the work of the New York school of photography (not to be confused with the New York School). The New York school of photography was not a formal institution, but rather comprised groups of photographers in the mid-20th century based in New York City.
로버트 프랭크(1924-2019)의 1958년 책, 『미국인』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날것 그대로, 종종 초점이 맞지 않는 프랭크의 사진은 당시 주류 사진에 의문을 제기하며 “앙리 카르티에-브레송과 워커 에반스가 정한 모든 형식 규칙에 도전”했고 “《라이프》와 《타임즈》 같은 미국 잡지들의 건전한 회화주의와 진심 어린 포토저널리즘에 정면으로 도전했다”고 할 수 있다. 스위스에서 활동하던 초기에는 포토-에세이 형식이 형성되었지만 프랭크는 이를 거부했다: “저는 제 직관을 따르고 제 방식대로 하고 싶었고, 어떤 양보도 하지 않았으며, 《라이프》 (스타일의) 이야기를 만들고 싶지 않았다. “나는 내 직감을 따르고 내 방식대로 작업하고 싶었으며, 어떠한 타협도 하지 않고, 《라이프》 스타일의 스토리도 만들고 싶지 않았다.” 그는 심지어 카르티에-브레송의 작업조차도 주관성이 부족하다고 여겼다. “나는 항상 관점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며, 그의 사진에는 그런 점이 전혀 드러나지 않아 약간 실망스럽기도 했다.”
Robert Frank’s 1958 book, The Americans, was significant; raw and often out of focus, Frank’s images questioned mainstream photography of the time, “challenged all the formal rules laid down by Henri Cartier-Bresson and Walker Evans” and “flew in the face of the wholesome pictorialism and heartfelt photojournalism of American magazines like LIFE and Time”. Although the photo-essay format was formative in his early years in Switzerland, Frank rejected it: “I wanted to follow my own intuition and do it my way, and not make any concession – not make a Life story’. Even the work of Cartier-Bresson he regarded as insufficiently subjective: “I’ve always thought it was terribly important to have a point of view, and I was also sort of disappointed in him [Cartier-Bresson] that that was never in his pictures’.
따라서 프랭크의 작업은 존 샤르코브스키(1925-2007)가 강조한 대로 전후 미국 사진의 주관성을 전형적으로 나타낸다. “마이너 화이트(1908-1976)의 잡지 《애퍼처》와 로버트 프랭크의 책 『미국인』은 둘 다 세상에 대한 매우 개인적인 비전에 타협 없이 헌신했다는 점에서 그 시대의 새로운 작업을 대표했다.” 주관주의에 대한 그의 주장은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최근에는 패트리샤 베텔-베커가 전후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를 매우 남성적이며 남성 신체에 집중된 것으로 본 시각과, 릴리 코르부스 베즈너가 로버트 프랭크의 책을 사회적 행동주의보다 ‘개인적 비전’을 부정적으로 우선시한다고 주장하는 관점으로 이어졌다. 미국의 주류 사진가들은 프랭크의 작업을 맹렬히 거부했지만, 이 책은 이후 “사진의 본질, 사진의 말하고자 하는 것, 사진의 말하기 방식”을 바꾸어 놓았다. 이 책은 기존 스타일의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신예 사진가들에게 디딤돌이 되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사진 책으로 남아 있다”. 프랭크의 주제를 인정한 샤르코브스키는 1967년 다이안 아버스(1923-1971), 리 프리들랜더(1934-), 게리 위노그랜드(1928-1984)가 참여한 〈뉴 도큐멘트〉 전시나 1973년 마크 코헨(1974-)의 작품을 큐레이션하는 등 미국에서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를 더 널리 알리는 데 앞장섰다. 둘 다 뉴욕현대미술관(MoMA)에서 열렸다.
Frank’s work thus epitomises the subjectivity of postwar American photography, as John Szarkowski prominently argued; “Minor White’s magazine Aperture and Robert Frank’s book The Americans were characteristic of the new work of their time in the sense that they were both uncompromisingly committed to a highly personal vision of the world”. His claim for subjectivism is widely accepted, resulting more recently in Patricia Vettel-Becker’s perspective on postwar street photography as highly masculine and centred on the male body, and Lili Corbus Benzer positioning Robert Frank’s book as negatively prioritising ‘personal vision’ over social activism. Mainstream photographers in America fiercely rejected Frank’s work, but the book later “changed the nature of photography, what it could say and how it could say it”. It was a stepping stone for fresh photographers looking to break away from the restrictions of the old style and “remains perhaps the most influential photography book of the 20th century”. Szarkowski’s recognition of Frank’s subjectivity led him to promote more street photography in America, such as his curation of the 1967 New Documents exhibition featuring Diane Arbus, Lee Friedlander and Garry Winogrand or of Mark Cohen’s work in 1973. Both at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반의 개별 접근 방식
Individual approaches in the later twentieth and early twenty-first centuries
1960년대 게리 위노그랜드로부터 영감을 받은 리 프리들랜더와 조엘 메이어로위츠(1938-)는 뉴욕의 거리에서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필 쿰스는 2013년 《BBC 뉴스》에 기고한 글에서 “스트리트 포토그래피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눈에 띄는 몇 가지 이름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게리 위노그랜드”라고 말했고, 비평가 숀 오하간은 2014년 《가디언》에 “1960년대와 70년대에 그는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를 스타일뿐 아니라 태도로 정의했다. 그리고 그의 뉴욕 사진이 너무나 결정적이어서, 이후로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는 그의 그림자 속에서 계속해서 발전해왔다.”
Inspired by Frank, in the 1960s Garry Winogrand, Lee Friedlander and Joel Meyerowitz began photographing on the streets of New York. Phil Coomes, writing for BBC News in 2013, said “For those of us interested in street photography there are a few names that stand out and one of those is Garry Winogrand”; critic Sean O’Hagan, writing in The Guardian in 2014, said “In the 1960s and 70s, he defined street photography as an attitude as well as a style – and it has laboured in his shadow ever since, so definitive are his photographs of New York.”
1965년 미국에서 위노그랜드를 만나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를 접한 후 영국으로 돌아온 토니 레이-존스(1941-1972)는 휴가를 즐기거나 축제에 참가하는 영국인들의 초현실적인 모습에 눈을 돌렸다. 레이-존스의 고강도 대비를 가진 모노크롬 사진에서 드러나는 신랄한 코믹 분위기는, 그의 이른 사망 이전에 《크리에이티브 카메라》 잡지에 의해 대중화되었으며(그는 이 잡지에서 브라사이와 인터뷰를 진행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마틴 파르(1952-)가 과도하게 채색된 색상으로 그 스타일을 이어받아 탐구하고 있다.
Returning to the UK in 1965 from the US where he had met Winogrand and adopted street photography, Tony Ray-Jones turned a wry eye on often surreal groupings of British people on their holidays or participating in festivals. The acerbic comic vein of Ray-Jones’ high-contrast monochromes, which before his premature death were popularized by Creative Camera (for which he conducted an interview with Brassaï), is mined more recently by Martin Parr in hyper-saturated colour.
특징 및 차이점
Characteristics and Distinctions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는 여러 가지로 정의할 수 있는 방대한 장르지만, 반복할 수 없는 찰나의 순간을 즉흥적으로 포착하는 것이 특징이며, 종종 낯선 사람들의 일상적인 모습을 담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광각 렌즈(예: 35mm)로 촬영하며 주로 도시 환경을 배경으로 한다.
Street photography is a vast genre that can be defined in many ways, but it is often characterized by the spontaneous capturing of an unrepeatable, fleeting moment, often of the everyday going-ons of strangers. It is classically shot with wider angle lenses (e.g. 35mm) and usually features urban environments.
스트리트 포토그래피 vs. 다큐멘터리 포토그래피
Street photography versus documentary photography
스트리트 포토그래피와 다큐멘터리 포토그래피는 서로 겹치는 부분이 많으면서도 개별적인 특성이 뚜렷한 비슷한 장르의 사진이다.
Street photography and documentary photography are similar genres of photography that often overlap while having distinct individual qualities.
다큐멘터리 사진가는 일반적으로 역사에서 특정 사건을 기록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뚜렷하고 계획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다큐멘터리 접근 방식의 대부분은 저널리즘, 예술, 교육, 사회학, 역사의 측면을 포괄한다. 사회 조사에서 다큐멘터리 이미지는 종종 사회 변화를 유발하거나 그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반대로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는 본질적으로 반응적이며 무관심하고, 호기심이나 창의적 탐구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 이는 사회를 반영하는 상대적으로 중립적인 세계의 묘사를 가능하게 하며, “조작되지 않은” 상태로 보통 자신이 촬영되는 줄 모르는 피사체들을 담는다.
Documentary photographers typically have a defined, premeditated message and an intention to record particular events in history. The gamut of the documentary approach encompasses aspects of journalism, art, education, sociology and history. In social investigation, documentary images are often intended to provoke, or to highlight the need for, societal change. Conversely, street photography is reactive and disinterested by nature and motivated by curiosity or creative inquiry, allowing it to deliver a relatively neutral depiction of the world that mirrors society, “unmanipulated” and with usually unaware subjects.
캔디드 스트리트 포토그래피 vs. 스트리트 포트레이트
Candid street photography versus street portraits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는 일반적으로 포즈를 취하지 않고 솔직하게 촬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길거리에서 낯선 사람들과 교류하며 사진을 찍는 스트리트 포토그래퍼도 있다. 스트리트 포트레이트는 길거리에서 낯선 사람을 촬영하는 계획되지 않은 사진이지만, 피사체와의 상호작용이 있기 때문에 포즈를 취한 것으로 간주된다.
Street photography is generally seen as unposed and candid, but there are a few street photographers who interact with strangers on the streets and take their portraits. Street portraits are unplanned portraits taken of strangers while out doing street photography, however they are seen as posed because there is interaction with the subject.
법적 문제
Legal concerns
공공장소에서 ‘동의 없이’(즉, 정의상 ‘캔디드 포토그래피’) 예술적 목적으로 낯선 사람의 사진을 찍는 스트리트 포토그래퍼의 문제는 논란이 되어 왔다. 공공장소에서 사람과 장소를 촬영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를 보호하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합법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사진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는 개인 정보 보호에 관한 특정 법률이 있다.
The issue of street photographers taking photographs of strangers in public places without their consent (i.e. ‘candid photography’ by definition) for fine art purposes has been controversial. Photographing people and places in public is legal in most countries protecting freedom of expression and journalistic freedom. There are usually limits on how photos of people may be used and most countries have specific laws regarding people’s privacy.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는 파파라치, 명예훼손 또는 괴롭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과 충돌할 수 있으며, 미성년자를 촬영할 때는 특별법이 적용되기도 한다.
Street photography may also conflict with laws that were originally established to protect against paparazzi, defamation, or harassment and special laws will sometimes apply when taking pictures of minors.
캐나다
Canada
공공장소에서의 사진 촬영의 자유와 관련하여 퀘벡주는 영국을 따르고 있지만, 퀘벡주 법은 대부분의 경우 사진 속 피사체의 동의가 있을 경우에만 사진을 게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While the common-law provinces follow the United Kingdom, with respect to the freedom to take pictures in a public place, Quebec law provides that, in most circumstances, their publication can take place only with the consent of the subjects therein.
유럽 연합
European Union
모든 유럽연합 국가가 국내법에서 준수해야 하는 ‘유럽연합 인권법 1998’은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진 공개가 제한될 수 있다. 프라이버시 권리는 협약 제8조에 의해 보호된다. 사진의 맥락에서 이는 제10조 표현의 자유 권리와 상충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법원은 보통 권리를 균형 있게 조정하기 위해 공익을 비례성의 법적 기준을 통해 고려한다.
The European Union’s Human Rights Act 1998, which all EU countries have to uphold in their domestic law, establishes in a right to privacy. This can result in restrictions on the publication of photography. The right to privacy is protected by Article 8 of the convention. In the context of photography, it stands at odds to the Article 10 right of freedom of expression. As such, courts will usually consider the public interest in balancing the rights through the legal test of proportionality.
프랑스
France
프랑스에서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사진 촬영을 제한하고 있지만, 특정 상황에서 예술적 표현의 일환으로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를 촬영하는 것은 여전히 합법이다. 한 유명한 사례에서는 예술적 표현의 자유가 개인의 프라이버시 권리보다 우선했지만, 합법성 여부는 개별 사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While also limiting photography in order to protect privacy rights, street photography can still be legal in France when pursued as an art form under certain circumstances. While in one prominent case the freedom of artistic expression trumped the individual’s right to privacy, the legality will much depend on the individual case.
독일
Germany
독일은 공공장소에서 사진을 찍을 권리를 보호하는 동시에 “자신의 사진에 대한 권리”도 인정한다. 즉, 타인의 동의 없이 사진을 찍을 수는 있지만 사진 속 인물의 허락 없이 사진을 공개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이 법은 또한 명예훼손에 대해서도 특별히 보호한다.”
Germany protects the right to take photos in public, but also recognizes a “right to one’s own picture”. That means that even though pictures can often be taken without someones consent, they must not be published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person in the picture. The law also protects specifically against defamation”.
그렇지만, 자신의 사진에 대한 이러한 권리는 사진의 주요 초점이 아닌 사람(예: 방금 장면에 들어온 사람)이나 사진에서 알아볼 수 없는 사람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적인 인물(예: 정치인이나 유명인)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This right to one’s picture, however, does not extend to people who are not the main focus of the picture (e.g. who just wandered into a scene), or who are not even recognizable in the photo. It also does not usually extend to people who are public figures (e.g. politicians or celebrities).
사진이 예술로 간주되는 경우, 법원은 사진가의 예술적 표현의 자유도 고려하므로 “예술적인”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도 특정 경우에는 합법적으로 게시할 수 있다.
If a picture is considered art, the courts will also consider the photographer’s freedom of artistic expression; meaning that “artful” street photography can still be legally published in certain cases.
그리스
Greece
그리스에서는 스트리트 포토그래피의 제작, 게시 및 비상업적 판매는 사진 속 인물의 동의가 없어도 합법이다. 그리스에서는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출판하거나 미술 또는 편집 콘텐츠로서 라이선스 권리를 판매할 수 있는 권리가 그리스 헌법(제14조 및 기타 조항)과 언론의 자유법, 판례 및 법률에 의해 보호된다. 경찰을 촬영하고 사진을 게시하는 것도 합법이다.
Production, publication and non-commercial sale of street photography is legal in Greece, without the need to have the consent of the shown person or persons. In Greece the right to take photographs and publish them or sell licensing rights over them as fine art or editorial content is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 of Greece (Article 14 and other articles) and free speech laws as well as by case law and legal cases. Photographing the police and publishing the photographs is also legal.
그리스 스트리트 포토그래퍼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아테네 지하철 전역에서 사진 및 동영상 촬영도 허용된다.
Photography and video-taking is also permitted across the whole Athens Metro transport network, which is very popular among Greek street photographers.
헝가리
Hungary
헝가리에서는 2014년 3월 15일부터 사진에 등장하는 모든 사람의 동의 없이 사진을 찍는 것을 금지하는 새로운 민법에 따라, 누군가가 사진 촬영 장소로 들어오는 경우 사진을 찍는 사람은 기술적으로 법을 위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로써 동의에 관한 법률이 사진의 게시뿐만 아니라 사진 촬영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
In Hungary, from 15 March 2014 anyone taking photographs is technically breaking the law if someone wanders into shot, under a new civil code that outlaws taking pictures without the permission of everyone in the photograph. This expands the law on consent to include the taking of photographs, in addition to their publication.
일본
Japan
일본에서는 공공장소에서도 신원을 알 수 있는 사람의 사진을 촬영하거나 게시하려면 허가 또는 최소한 촬영 의사와 거부 의사가 없음을 표시해야 한다. ‘몰래 촬영'(카쿠시도리, 은밀한 촬영) ‘도둑 촬영'(도사츠, 허락을 받을 의사가 없는 촬영) 및 ‘빠른 촬영'(하야요리, 허락과 거부의 의사 표시가 있기 전 촬영)은 촬영 직후 피사체의 허락을 받지 않는 한 금지되어 있다. 사람은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권리(쇼조켄, 초상권)가 있다. 이 법은 촬영된 사진이나 촬영 행위가 어떤 의미에서든 수치스러운 경우 특히 엄격하다. 공공장소에서 촬영한 유명인의 사진이나 대중의 알 권리를 위해 등록된 뉴스 매체의 보도 사진의 경우 예외가 적용된다.
In Japan permission, or at least signification of intent to photo and the absence of refusal, is needed both for photography and for publication of photos of recognisable people even in public places. ‘Hidden photography’ (kakushidori hidden, surreptitious photography) ‘stolen photography’ (tōsatsu with no intention of getting permission) and “fast photography’ (hayayori before permission and refusal can be given) are forbidden unless in the former permission is obtained from the subject immediately after taking the photo. People have rights to their images (shōzōken, droit de image). The law is especially strict when that which is taken, or the taking, is in any sense shameful. Exception is made for photos of famous people in public places and news photography by registered news media outlets where favour is given to the public right to know.
남아프리카
South Africa
남아공에서는 공공장소에서 사람을 촬영하는 것이 합법이다. 사람들의 사진을 재생산하고 판매하는 것은 편집 목적이나 제한적인 공정 사용 상의 상업적 목적에 대해 합법적이다. 상업적 사용의 한계를 정의하는 판례는 존재하지 않는다. 민법에 따르면 광고 및 홍보 목적으로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사람의 사진을 사용하려면 당사자의 동의가 필요하다. 동물을 포함한 재산은 특별한 배려를 받지 못한다.
In South Africa, photographing people in public is legal. Reproducing and selling photographs of people is legal for editorial and limited fair use commercial purposes. There exists no case law to define what the limits on commercial use are. Civil law requires the consent of any identifiable persons for advertorial and promotional purposes. Property, including animals, do not enjoy any special consideration.
한국
South Korea
한국에서는 공공장소에서도 동의 없이 여성의 신체를 촬영하는 행위는 성폭력 범죄로 간주되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2017년 7월에는 이러한 사진을 촬영한 사람에 대해 화학적 거세를 허용하는 법 개정안이 발의되었다.
In South Korea, taking pictures of women without their consent, even in public, is considered to be criminal sexual assault, punishable by a fine of up to 10 million won and up to 5 years imprisonment. In July 2017 an amendment to the law was voted on in favour of allowing for chemical castration of people taking such photographs.
영국
United Kingdom
영국은 ‘인권법’에 따라 국내법을 제정하여 뉴스 미디어의 맥락에서 특정 사진의 공개를 제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어린이를 포함하여)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은 해당 인물의 동의 여부와 상관없이 합법이다.
The United Kingdom has enacted domestic law in accordance with the Human Rights Act, which limits the publication of certain photographs in the context of the news media. However, as a general rule, the taking of photographs of other people, including children, in a public place is legal, whether or not the person consents.
부동산 촬영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영국 법률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사유지를 촬영하는 것을 막을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허가를 받은 사유지에서의 사진 촬영 권리도 마찬가지로 제한이 없다. 그렇지만, 토지 소유주는 사진 촬영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등 원하는 조건을 부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범위한 원칙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으며, 출입 조건으로 사진 촬영이 제한되는 경우에도 위반 시 토지 소유주의 구제 수단은 일반적으로 사진 촬영자에게 건물에서 나가달라고 요청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카메라나 메모리 카드를 압수하거나 사진 삭제를 요구할 수 없다.
In terms of photographing property, in general under UK law one cannot prevent photography of private property from a public place, and in general the right to take photographs on private land upon which permission has been obtained is similarly unrestricted. However, landowners are permitted to impose any conditions they wish upon entry to a property, such as forbidding or restricting photography. There are however nuances to these broad principles, and even where photography is restricted as a condition of entry, the landowner’s remedies for a breach will usually be limited to asking the photographer to leave the premises. They cannot confiscate cameras or memory cards nor can they require photographs be deleted.
미국
United States
미국에서 언론의 자유 보호는 일반적으로 폭넓게 해석되며 사진을 포함한 예술 표현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는 개인정보 보호 청구권에서 제외된다.
In the US, the protection of free speech is generally interpreted widely, and encompasses art speech, including photography. As such, street photography is exempt from right to privacy claims.
예를 들어, 누센즈웨이그 대 디코시아 사건에서 사진은 수정헌법 제1조에 의해 언론의 자유와 예술로 보호되므로 (스트리트 포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를 촬영, 게시 및 판매하는 행위는 당사자의 동의가 없더라도 합법이라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그러나 뉴욕주 항소법원은 공소시효 만료만을 근거로 누센즈웨이그 판결을 지지했으며 언론의 자유와 수정헌법 1조에 대한 논쟁은 다루지 않았다.
For example, the case Nussenzweig v. DiCorcia established that taking, publishing and selling street photography (including street portraits) is legal, even without the consent of the person being portrayed, because photography is protected as free speech and art by the First Amendment. However, the Court of Appeals for the State of New York upheld the Nussenzweig decision solely on the basis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expiring and did not address the free speech and First Amendment arguments.
스트리트 포토그래피는 법원 판례에 의해 추가로 보호된다. 법원은 공공장소에서 개인이 사생활을 보호받을 권리가 없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리트 포토그래퍼를 상대로 취할 수 있는 법적 조치는 거의 없다.
Street photography is additionally protected by court precedent. As courts regularly uphold that individuals have no right to privacy in public places, there is little, if any, legal action that can be taken against a street photographer.
윤리적 문제
Ethical concerns
스트리트 포토그래피의 비동의적 특성은 사생활과 자율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Street photography’s nonconsensual nature can raise concerns about privacy and autonomy.
프라이버시
Privacy
프라이버시 침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권리가 원치 않는 침입으로 인해 침해되었을 때 발생하며, 여기에는 사적인 정보를 공개하는 것도 포함된다. 법원 판례에 따르면, 사람이 공공장소에 나갈 경우 합리적인 사생활 기대권을 상실할 수 있지만, 일부는 공공장소에서도 개인이 자신의 정보(예: 자신의 이미지)를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비판자들은 공공장소에 있는 모든 사람이 사진 촬영의 가능성을 받아들인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위험에 대한 가정은 의식적인 동의에 기반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사진이 세부 사항을 강조하는 능력을 가진 만큼 단순히 대중이 보는 것을 기록하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한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An invasion of privacy occurs when an individual’s right to privacy is infringed upon by unwelcome intrusion into their private life, including public disclosure of private information. While a person may lose their reasonable expectation of privacy when going out in public according to court precedent, some feel that individuals should be able to control their information (such as their image) even in public. These critics would contend that it cannot be said that every person in public accepts the possibility of being photographed because assumption of risk is based on conscious consent, and might also argue that a photograph’s ability to accentuate details means that it does more than just record what the public sees.
자율성
Autonomy
프라이버시 권리는 자신에 대한 표현을 보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스트리트 포토그래피에서 개인의 이미지를 동의 없이 사용하는 것은 최종 이미지에 대한 주체의 통제권을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스트리트 포토그래피가 자율성을 빼앗는 것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사진 사용에 대한 동의를 요청받지 않은 사람은 사진의 공개 여부나 공개 장소, 공개 방식에 대한 결정권을 갖지 못한다.
As the right to privacy can be seen as protecting representations of oneself and since nonconsensual use of an individual’s image in street photography denies the subject control of the final image, some view street photography as taking away autonomy. When a person is not asked for consent to use their picture, they do not get to decide whether or where the picture is published or how it is viewed.
- 출처 : 「Street photography」, Wikipedia(en),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