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of Singapore


싱가포르의 건축은 다양한 지역과 시대의 영향과 스타일을 보여준다. 이러한 건축은 식민지 시대의 절충주의적 스타일과 혼합된 형태부터 전 세계의 트렌드를 통합하는 현대 건축의 경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미적 및 기술적 측면 모두에서, 싱가포르 건축은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전통적인 식민지 시대와 대체로 현대적인 전쟁 후와 식민지 이후 시대로 나눌 수 있다.
The architecture of Singapore displays a range of influences and styles from different places and periods. These range from the eclectic styles and hybrid forms of the colonial period to the tendency of more contemporary architecture to incorporate trends from around the world. In both aesthetic and technological terms, Singapore architecture may be divided into the more traditional pre-World War II colonial period, and the largely modern post-war and post-colonial period.
싱가포르의 전통 건축에는 토착적인 말레이 주택, 현지 혼합 양식의 상점주택, 흑백 방갈로, 도시-국가의 민족적 및 종교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다양한 예배 장소 뿐만 아니라 유럽의 신고전주의, 고딕, 팔라디오, 르네상스 양식의 식민지 시대 공공 및 상업 건축물도 포함됩니다.
Traditional architecture in Singapore includes vernacular Malay houses, local hybrid shophouses and black and white bungalows, a range of places of worship reflecting the ethnic and religious diversity of the city-state as well as colonial civic and commercial architecture in European Neoclassical, gothic, palladian and renaissance styles.
싱가포르의 현대 건축은 과도기적 아르데코 양식과 철근콘크리트가 인기 있는 건축 자재로 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인터내셔널 스타일의 현대 건축은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특히 공공 주택 아파트 블록에서 인기를 끌었다. 1970년대에는 브루탈리즘 건축 양식도 인기가 있었다. 이러한 건축 양식들은 싱가포르 역사에서 대규모 도시 재개발과 건설 붐이 일었던 시기와 맞물려 있으며, 그 결과 현재 싱가포르 본토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건축 양식이 되었다. 이 시기의 건축학적으로 중요한 작업으로는 탄 청 시옹(1937-)이 설계한 〈펄 뱅크 아파트〉와 디자인 파트너십이 설계한 〈피플스 파크 콤플렉스〉 및 〈골든 마일 콤플렉스〉가 있다.
Modern architecture in Singapore began with the transitional Art Deco style and the arrival of reinforced concrete as a popular building material. International Style modern architecture was popular from the 1950s to the 1970s, especially in the public housing apartment blocks. The Brutalist style of architecture was also popular in the 1970s. These styles coincided with the great urban renewal and building boom periods in Singapore history, and consequently these are the most common architectural styles seen on the island. Some of the more architecturally significant works of this period include Pearl Bank Apartments by Tan Cheng Siong, and the People’s Park Complex and Golden Mile Complex by Design Partnership.
1980년대에는 ‘역사주의’와 해체주의 유행 모두에서 포스트모던 건축 실험이 나타났지만, 이 스타일은 그 표현 자체에서 상대적으로 절제되어 있었다. 또 다른 건축 트렌드는 싱가포르의 건축 유산에 대한 재발견으로, 이에 따라 활발한 보존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역사적 건축물을 복원하고 새로운 용도로 재활용하는 산업이 호황을 누렸다. 최근 사례로는 싱가포르 국립박물관이 있다.
Post-modern architecture experiments, in both the ‘historicist’ and deconstructivist modes made an appearance in the 1980s, though the style was relatively muted in its expression. Another architectural trend has been the rediscovery of Singapore’s architectural heritage, leading to an active conservation programme as well as a booming industry in the restoration of historic buildings, often adapting them to new uses. A recent example is the National Museum of Singapore.
지역적 혁신의 중요한 영역 중 하나는 싱가포르의 열대 기후에 적합한 현대 건축 양식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 기후적으로 민감한 건축 접근법은 토속적인 말레이 가옥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으며, 영국 식민지 시대 건축가들과 초기 민족주의 건축가들이 현대적 건축 기법을 활용하여 진정한 지역적 건축을 모색한 실험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80년대, 특히 1990년대 후반 이후로, 이러한 흐름은 ‘모던 트로피컬’ 아키텍처 또는 네오-트로피컬 아키텍처라 불리는 양식의 확산으로 이어졌다. 그것은 태양열을 받아들이고 가두는 현대식 유리 커튼월 대신에 풍부한 조경과 금속 또는 목재 루버를 활용한 세련된 차양과 결부된, 깨끗하고 단순한 직선의 모더니즘 형태로의 회귀를 포함한다. 이러한 건축적 노력은 지구온난화, 기후 변화,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는데, 특히 건물의 에어컨이 싱가포르 최대 전력 소비 요인 중 하나이며 대부분 화석 연료로 생산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An important area of local innovation has involved seeking to develop a form of modern architecture appropriate to Singapore’s tropical climate. This climatically sensitive approach to architecture traces its roots back to the vernacular Malay houses and through to experiments by British colonial architects and early local nationalist architects to devise an authentically local architecture using modern construction methods. In the 1980s and especially from the late 1990s, this has led to a proliferation of what might be called ‘modern tropical’ architecture, or neo-tropical architecture. It involves a return to clean and simple rectilinear modernist forms, coupled with an emphasis of lush landscaping and sleek sun-shading in the form of metal or wood louvres, instead of the modernist glass curtain wall, which admits and traps solar heat. These architectural efforts have taken on a new relevance and urgency due to concerns about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especially given that air conditioning in buildings is one of the largest consumers of electricity in Singapore, which is mostly generated by fossil fuels.
1990년대 후반부터, 다른 글로벌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싱가포르 정부는 싱가포르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하고 외국인 관광객, 숙련된 이민자, 투자 및 국제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도시의 ‘상징적인’ 랜드마크를 개발하는 정책을 의식적으로 추진했습니다. 이후 여러 랜드마크 프로젝트가 공개 또는 비공개 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통해 개발되었다. 여기에는 에스플러네이드 – 씨어터 온 더 베이 아트센터, 싱가포르 대법원, 싱가포르 국립도서관, 마리나 베이 샌즈 복합 리조트, 싱가포르 플라이어(대관람차) 등이 있다.
From the late 1990s, like many other global cities and aspiring global cities, the Singapore government consciously launched a drive to develop ‘iconic’ landmarks in the city to strengthen the Singapore brand identity as well as to attract foreign tourists, skilled immigrants, investments and buzz. Several such landmark projects have since been developed, sometimes through open or closed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s. These include the Esplanade – Theatres on the Bay arts centre, the Supreme Court of Singapore, the new National Library, Singapore, the Marina Bay Sands Integrated Resort and the Singapore Flyer.
식민지 시대 이전 건축
Pre-colonial architecture

1819년 영국이 정착지를 세우기 이전까지, 건축 양식은 주변 지역의 패턴을 따랐다. 토착 건축은 주로 말레이 전통에 따라 지어진 마을(또는 ‘캄퐁’) 가옥이었다. 말레이 캄퐁 가옥은 기둥 위에 지어져 지면(또는 위치에 따라 물) 위로 들어올려져 있다. 이 가옥은 열대성 견목인 첸갈로 만든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골격 구조 주위에 세워졌다. 메란티 같은 중간 경목은 바닥 판자, 지붕 서까래, 문과 창문 틀로 사용되었다. 지붕 자체는 야자수 잎을 겹겹이 엮은 초가지붕으로 만들어졌고, 벽은 대나무 조각이나 메란티 판자로 만들어졌다. 가옥의 기본적인 형태는 단순했지만, 가족의 필요와 재정적 여건에 따라 방을 추가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조각된 나무 처마 돌림, 스크린, 패널 같은 형태의 건축 장식은 매우 정교할 수 있었다.
Prior to the British establishment of a settlement in 1819, architecture followed the pattern of the surrounding region. Vernacular architecture was primarily village (or ‘kampong’) houses built in the Malay tradition. Malay kampong houses were built on stilts and raised above the ground (or water, depending on their location). The house was erected around a skeletal structure of tropical hardwood posts and beams, usually chengal. Medium hardwoods, like meranti, were used as floor boards, roof rafters and door and window frames. The roof itself was made of layers of palm frond thatch, while the walls were either made of woven bamboo strips or meranti planks. The basic form of the house was simple, but additional rooms could be add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nd wealth of the family. Likewise, the architectural ornament, in the form of carved wood fascia boards, screens and panels, could be quite elaborate.
이 주거용 농촌 건축 양식 외에도, 이 섬에 더 큰 규모의 건물이 지어졌을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유사한 고전 힌두교-불교 말레이 건축의 가까운 예로는 수마트라의 리아우 지방에 있는 무아라 타쿠스 사원이 있다. 싱가포르의 예와 마찬가지로, 그것은 테라스 뿐만 아니라 사암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포트 캐닝 힐의 돌 기초는 영국인들이 도착한 직후에 발견되었다. 비록 이후 파괴되어 제거되었지만, 이를 발견한 관리들은 힌두교나 불교 사원 및/또는 왕궁의 일부일 것으로 추측했다. 이들 건물의 상부 구조는 (기초에서 발견된 구멍으로 추측컨데) 목재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1819년에 기초가 발견되었을 때는 이미 오래 전에 사라진 뒤였다. 보석, 도자기, 동전, 새겨진 돌과 같은 일부 고고학적 조각들을 제외하고는, 식민지 이전 시대의 유물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오늘날에는 건물이나 심지어 유적조차 남아 있지 않다.
Apart from this domestic rural architecture, there is evidence that more substantial buildings may have been built on the island. A nearby example of similar classical Hindu-Buddhist Malay architecture is Candi Muara Takus in the Riau province of Sumatra. Like the Singapore example, it also featured the use of sandstone as well as terraces. Stone foundations on Fort Canning Hill were discovered by the British soon after they arrived. Although they have since been destroyed and removed, the officials who discovered them speculated they were part of Hindu or Buddhist temples and/or a royal palace. The superstructure of these buildings would have been timber (as suggested by holes found in the foundations). However, these had long since disappeared by the time the foundations were discovered in 1819. Apart from some archaeological fragments, like jewellery, porcelain, coins and an inscribed stone, there few material artefacts from the pre-colonial period, and no buildings or even ruins remaining today.
식민지 시기
Colonial period

싱가포르의 도시는 1822년 스탬퍼드 래플스 경(1781-1826)이 계획했으며, 그의 도시 배치인 싱가포르 래플스 플랜은 수년에 걸쳐 도시가 크게 확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대부분 남아 있다. 래플스는 관공서, 다양한 민족 커뮤니티, 종교 건물, 상업 및 교육 시설, 뿐만 아니라 식물원 등을 위한 구역을 지정했다. 래플스는 집의 크기, 거리의 폭, 사용될 재료까지 세세하게 도시를 계획했다. 도시에 대한 래플스의 규정은 건축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 중 일부는 상점주택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3층 높이 이상이어서는 안 되며, 의무적으로 5피트 길이를 확보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래플스 자신은 목재와 니파야자나무로 만든 말레이 스타일 주택(부킷 라랑간 또는 포트 캐닝 힐에 있는 래플스 하우스)을 선택했지만, 당시의 다른 유럽인들은 벽돌과 스터코로 된 유럽 스타일 건물을 선호했다. 초기 식민지 시대에 싱가포르에서 가장 유명한 건축가는 조지 드럼굴 콜먼(1795-1844)으로, 그는 초기 유럽 스타일 건물의 상당수를 담당했지만 잔존하는 것은 거의 없다. 남아 있는 것으로는 옛 국회의사당과 차임스에 있는 콜드웰 하우스가 있다.
The city of Singapore was planned by Sir Stamford Raffles in 1822, and his layout for the city, the Raffles Plan of Singapore, largely survives to this day, even if the city has expanded greatly through the years. Raffles specified the area for government offices, various ethnic communities, religious buildings, commerce and education, as well as a Botanic Garden. Raffles planned the city down to the size of the house, the widths of the streets, and the material to be used. Raffles’ regulations for the city also has some influence over the architecture, and some of their effects may still be seen in the shop houses; for example it is stipulated that they should not be over 3 stories high, and needed to have an obligatory five foot way. Raffles himself opted for a Malay style house made of wood and atap (Raffles House on Bukit Larangan or Fort Canning Hill, once called Government Hill), other Europeans of the period however preferred European style buildings of brick and stucco. Singapore’s most prominent architect in the early colonial era was George Drumgoole Coleman, who was responsible for many of these early European style buildings, few of which survived. Those that did include the old Parliament house and Caldwell House at CHIJMES.
19세기에는 싱가포르에서 두 가지 하이브리드 건물 유형이 발전했다. 다른 곳에서도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지만, 이들 건물 유형은 지역적으로 확산되기 전에 현지에서 상당한 적응과 수정을 거쳤다. 그 결과, 그것들은 싱가포르에서 가장 먼저 알려진 건축적 혁신이자 수출품으로 알려졌다. 이들 하이브리드 건물 유형은 상점주택과 흑백 방갈로였다.
In the 19th century, two hybrid building typologies evolved in Singapore. While their origins can be traced elsewhere, these building types underwent significant local adaptation and modification before spreading regionally. As a result, they are Singapore’s earliest known architectural innovations and exports. These hybrid building typologies were the shophouse and the black and white bungalow.
상점주택 (샵하우스)
Shophouse


구식 상점주택은 그 위에 한 층 이상의 거주용 숙박시설이 있는 상점이다. 이들 상점주택은 전형적으로 상점 문 앞에 지붕이 있는 통로인 이른바 ‘5피트 통로(카키리마)’가 있으며, 위층은 보행자를 자연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는 싱가포르에 대한 래플스 타운 플랜(1822)에서 “벽돌 또는 타일로 지어진 모든 주택은 거리의 각 측면에 연속적이고 개방된 통로로 사방에 열려 있는 일정한 깊이의 아케이드가 있는 공통된 유형의 전면을 가진다”고 규정한 결과다.
The old style shophouses are shops with one or more stories of living accommodation above it. These shophouses typically have a so-called five foot way which is a covered walkway located in front of the shop doors, with the upper floors shielding the pedestrians from the elements. This is a result of the Raffles Town Plan (1822) for Singapore with the stipulation that “all houses constructed of brick or tiles have a common type of front each having an arcade of a certain depth, open to all sides as a continuous and open passage on each side of the street”.
흑백 방갈로
Black and white bungalow
흑백 방갈로는 한때 부유층, 식민지 정부 관리 또는 영국군 구성원의 거주지였다. 이들 건물은 전형적으로 흰색으로 칠해진 벽, 그리고 검은색으로 칠해진 나무 또는 디테일링을 갖추고 있다.
The black and white bungalows were once the residences of the wealthy, colonial government officials or members of the British army. These buildings typically have whitewashed walls, and black painted wood or detailing.
전통적인 예배 장소
Traditional places of worship

식민지 시대의 또 다른 중요한 건물 중 하나는 예배 장소였다. 다종교 항구 도시로서 전 세계에서 온 이주민들이 모인 싱가포르에는 다양한 이민자 공동체가 함께 생활하고 일했다. 이들 그룹은 종종 함께 모여 자금을 모금하여 자신들의 예배 장소를 세웠으며, 여기에는 다양한 형태의 혼합식 중국 사찰, 힌두교 사원, 시크교 사원, 유대교 회당, 가톨릭, 개신교 및 정교회 교회뿐만 아니라 수니파와 시아파 모스크도 포함되었다.
Another prominent category of buildings in the colonial period were places of worship. As a multi-religious port-city, with migrants from all over the world, a variety of different immigrant communities lived and worked in Singapore. These groups often banded together to raise funds to erect their own places of worship, including a variety of syncretic Chinese temples, Hindu temples, Sikh temples, Jewish synagogues, Catholic, Protestant and Orthodox Christian Churches as well as Sunni and Shia mosques.
각 종교 전통의 다양한 종파와 교파에 헌정된 것 외에도, 이러한 건물은 종종 특정 민족이나 하위 집단을 위해 지어졌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의 무슬림 대부분은 말레이계이지만, 일부 모스크는 타밀 무슬림을 위해 남인도 스타일로 지어졌다. 마찬가지로, 몇몇 교회는 중국계 신도들을 위해 중국 특유의 스타일로 지어졌다.
Apart from being devoted to the various sects and denominations within each religious tradition, these buildings were often built to serve ethnic groups and sub-groups. For examples, while most Muslims in Singapore were and are Malay, some mosques were built in the South Indian style to serve Tamil Muslims. Likewise, several churches were built in a distinctly Chinese style, serving ethnic Chinese congregations.
싱가포르에서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예배 장소 중 일부는 싱가포르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선한 목자 성당, 아르메니아 교회, 세인트 앤드류 성당, 티안 혹 켕 사원, 리안 샨 솽린 수도원, 술탄 모스크, 스리 마리암만 사원, 자매 모스크, 텔록 아이어 중국 감리교회 등이있다.
Several of the oldest and most important places of worship in Singapore have been designated National Monuments of Singapore, and they include the Cathedral of the Good Shepherd, Armenian Church, St Andrew’s Cathedral, Thian Hock Keng Temple, Lian Shan Shuang Lin Monastery, Sultan Mosque, Sri Mariamman Temple, Jamae Mosque and Telok Ayer Chinese Methodist Church, amongst others.
공공 및 상업용 건물
Civic and commercial buildings
또 다른 중요한 역사적 건물 그룹은 식민지 정부에 의해 지어진 것들이다. 이것들은 종종 팔라디안, 르네상스, 신고전주의 양식 등 당시 유행하던 이런저런 유럽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 더 중요한 건물 중 일부에는 빅토리아 극장 및 콘서트 홀, 플러튼 빌딩, 구 대법원 건물, 싱가포르 시청, 싱가포르 국립박물관, 구 국회의사당, 구 힐스트리트 경찰서, 중앙 소방서, 구 래플스 기관 건물, 창이 감옥, 구 NCO 클럽 및 섬 주변의 수많은 학교, 우체국, 군부대, 경찰서 등이 있다.
Another important group of historic buildings were those built by the colonial government. These were often built in one or another European architectural style, which was in fashion at the time, such as the Palladian, Renaissance, or Neoclassical styles. Some of the more important buildings included the Victoria Theatre and Concert Hall, the Fullerton Building, old Supreme Court Building, City Hall, Singapore, National Museum of Singapore, old Parliament House, old Hill Street Police Station, Central Fire Station, old Raffles Institution buildings, Changi Prison, old NCO club and numerous other schools, post offices, military camps and police stations around the island.
유럽 기업뿐만 아니라 미션 스쿨 및 기타 시민 단체가 세운 주요 상업용 건물도 이러한 양식을 채택했는데, 래플스 호텔, 거룩한 아기 예수 수녀원(지금의 차임스), 구 성 요셉 기관, 구 타오난 학교 등이 그 예이다. 종종 양식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은 매우 절충적이었으며, 건설업자들은 다양한 유럽 및 일부 비유럽 출처의 다양한 양식 요소를 같은 건물에 결합시켰다. 1980년대 이후 싱가포르의 건축 유산에 대한 적극적인 보존 노력의 결과로, 많은 식민지 시대 건물이 여전히 도시에서 발견되고 있다.
Major commercial buildings, often erected by European businesses as well as mission schools and other civic groups, also adopted these styles, such as the Raffles Hotel, Convent of the Holy Infant Jesus (now CHIJMES), old St Joseph’s Institution and old Tao Nan School. Often the approach to matters of style was highly eclectic, and builders combined a variety of stylistic elements from various European, and some non-European, sources in the same building. Many colonial-era buildings are still found in the city, as a result of aggressive conservation efforts of Singapore’s built heritage since the 1980s.
아르데코 건축
Art Deco architecture
싱가포르에는 주로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지어진 아르데코 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다. 이 스타일은 특히 공장과 사무실 같은 상업용 건축물에 많이 사용되었다. 종종, 아르데코 스타일의 장식과 요소가 전형적인 상점주택이나 방갈로에 적용된 경우가 많았다. 다른 경우, 아르데코는 칼랑 공항(공공사업부), 포드 공장(에밀 브리제이), 캐세이 빌딩(프랭크 브루어), 아시아 보험 빌딩(응 켕 시앙) 등 새롭게 등장한 유형의 건물에 적용되기도 했다. 지역적 맥락에서 이 스타일의 특징은 건물 외관에 건물의 건립 날짜를 눈에 띄게 새기고, 창문 위에 태양을 가리는 장치로 돌출된 수평 핀을 사용하며, 깃대를 사용한다는 점 등이 있다. 이 스타일의 미적 요소와는 별개로, 이 아르데코 시대는 싱가포르에 철근콘크리트 같은 현대적 건설 기술이 도입된 시기이기도 했다.
Singapore has a wealth of Art Deco architecture, dating mainly from the 1920s and 1930s. The style was especially popular in commercial architecture, like factories and offices. Often, Art Deco style ornaments and elements were applied onto otherwise typical shophouses or bungalows. In other cases, Art Deco was applied to newly emergent types of buildings, like Kallang Airport (by the Public Works Department), the Ford Factory (by Emile Brizay), or the Cathay Building (by Frank Brewer) and the Asia Insurance Building (by Ng Keng Siang). Features of this style in the local context included a penchant for inscribing the date of the erection of the building prominently on its facade, the use of projecting horizontal fins as sun shading devices over windows and the use of flagpoles. Quite apart from the aesthetics of this style, the Art Deco period also marked the introduction of modern construction technologies like reinforced concrete in Singapore.
식민지 시대 이후 현대 건축
Post-colonial modern architecture
신고전주의와 아르데코 국면에 이어, 싱가포르 건축은 전쟁 이후 확실히 모더니즘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 전후의 긴축 경제는 장식이 배제된 깨끗하고 휑하고 단순한 모더니즘 형태와 표면의 활용을 촉진했다. 모더니즘 건축은 학교, 병원, 공장, 특히 공공 주택 같이 당시 건설되던 많은 ‘쿠키-커터’(일률적이고 진부하게 찍어내는) 또는 표준화된 디자인의 공공 건물에도 선호되었다.
Following the Neoclassical and Art Deco phases, Singaporean architecture moved in a decidedly modernist direction after the war. Post-war austerity encouraged the use of clean, stark and simple modernist forms and surfaces devoid of ornament. Modernist architecture was also preferred for the many ‘cookie-cutter’ or standardised design public buildings being built at the time, such as schools, clinics, factories and especially public housing.
공공 주택
Public housing
싱가포르의 공공 주택 건축은 1930년대 식민지 정부 기관인 싱가포르 개선 신탁(SIT)이 싱가포르의 어포더블 하우징(감당가능한 주택)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 프로그램을 시작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에, SIT는 중산층과 중하위층 아시아인을 위한 주택 건설에 중점을 두었다. 그들의 전쟁 전 노력의 가장 두드러진 예는 티옹바루 주택 단지로, 도시 외곽에 저층 4층짜리 아르데코 스타일의 아파트 블록, 상점, 시장 및 기타 편의 시설이 다수 건설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전쟁 후에도 계속되었고, 아르데코 스타일은 단순한 현대적 미학으로 바뀌었다. 비록 이 단지는 넓고 푸른 공용 공간과 매력적인 디자인의 블록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싱가포르의 주택 부족 규모에 비해 건설 속도는 느렸다.
Public housing architecture in Singapore dates back to the 1930s with the Singapore Improvement Trust (SIT), a colonial government agency, embarked on a building programme to address a shortage of affordable housing in Singapore. Initially, the SIT focussed on housing middle and lower-middle class Asians. The most prominent example of their pre-war efforts was the Tiong Bahru estate, where many low-rise, four-storey Art Deco style apartment blocks, shops, markets and other amenities were built on the city fringe. This programme continued after the war, with the Art Deco style exchanged for a simple modern aesthetic. Although the estate was popular and praised for spacious and green communal areas as well as attractively designed blocks, the rate of construction was slow in relation to the scale of the housing shortage in Singapore.
1959년 인민행동당이 집권한 후, 대표적 선거 공약 중 하나였던 대규모 공공주택 프로그램에 착수했다. 그것은 SIT를 주택개발위원회(HDB)로 대체했다. HDB는 공공 주택의 건설 속도를 높이는 데 필요한 법적 도구와 재원을 제공받았다. 건축학적으로, 이는 비교적 균일한 교외 풍경을 형성했으며, 수만 명의 사람들이 방 2~3개 작은 아파트에 사는 (영국을 본떠서 만든) 위성 신도시들이 끝없이 쌓인 슬래브 블록으로 건설되었다.
After the People’s Action Party came to power in 1959, it embarked on a massive public housing programme, which was one of its signature campaign promises. It replaced the SIT with the Housing and Development Board (HDB). The HDB was given the legal tools and financial resources needed to make great progress in speeding up the building of public housing. Architecturally, this resulted in a relatively homogenous suburban landscape, where satellite new towns (modelled after the British), were built with seemingly endless stacks of slab blocks housing tens of thousands of peoples in small two and three-bedroom flats.
마천루
Skyscrapers

197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이 도시는 현대 건축, 특히 브루탈리즘 스타일이 지배적이었다. 이는 싱가포르 랜드 타워, 테마섹 타워, DBS 빌딩, CPF 빌딩 등 관공서 및 정부 관련 기업이 입주하기 위해 지어진 많은 건물뿐만 아니라, I. M. 페이의 OCBC 센터 같은 오래된 상업용 고층 빌딩에서도 볼 수 있다. 국제 건축 트렌드의 변화로 인해 싱가포르에 일부 건축 스타일(특히 포스트모더니즘 양식)이 도입되기도 했다.
From the 1970s to late 1980s the city was dominated by modern architecture, particularly the Brutalist style. This is seen in some of the older commercial skyscrapers, such as the OCBC Centre by I. M. Pei, as well as many buildings built to house governmental offices and government-linked companies, including the Singapore Land Tower, Temasek Tower, DBS Building, and the CPF Building. Changing international architectural trends also introduced some architectural styles (particularly the postmodernist style) here.
싱가포르에서 가장 높은 건물 중에는 원 래플스 플레이스, 리퍼블릭 플라자, UOB 플라자의 트윈 타워가 있다. 2016년에는 가장 높은 건물인 탄종 파가르 센터가 지어졌다. 파야 레바르 공군 기지와 가깝기 때문에, 탄종 파가르 지역을 제외하고는 건물 높이가 280m 로 제한되었다. 싱가포르에서 가장 높은 주거용 건물은 마리나 베이 타워다.
Among the tallest buildings in Singapore are One Raffles Place, Republic Plaza, and the twin towers of UOB Plaza. In 2016, the tallest building Tanjong Pagar Centre was built. Due to the proximity to Paya Lebar Airbase, buildings were limited to a height of 280 metres, except for Tanjong Pagar area. The tallest residential building in Singapore is the Marina Bay Tower.
현대 건축
Contemporary architecture
21세기 들어, 싱가포르 건축은 포스트모더니즘과 하이테크 건축의 국제적인 건축 양식 운동을 수용했다. 또한, 싱가포르의 독특한 열대 기후와 밀집된 도시 조직을 고려하여 비판적 지역주의의 지역적 변형이 개발되었다.
In the 21st century, Singapore architecture has embraced international architectural stylistic movements from postmodernism and high-tech architecture. In addition, local variants of Critical regionalism have been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Singapore’s unique tropical climate and dense urban fabric.
독특한 구조
Distinctive structures


싱가포르에는 독특한 랜드마크 건물, 유일무이한 구조물, 흥미로운 특징과 명소를 만들기 위한 여러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개발의 대부분은 마리나 베이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마스터플랜에서의 한 가지 목표는 해안가에 국제적인 랜드마크로서 독특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다. 이들 개발에는 마리나 베이 샌즈, 아트사이언스 뮤지엄, 헬릭스 브리지, 가든스 바이 더 베이, 그리고 특히, 공연 예술 센터인 에스플러네이드 – 씨어터 온 더 베이가 포함되어 있다.
A number of projects were initiated to create distinctive landmark buildings, unique structures, as well as interesting features and attractions in Singapore. Many of these developments can be found in the Marina Bay area, where one objective in its master plan is to create a distinctive image for the waterfronts as international landmarks. These developments include Marina Bay Sands, ArtScience Museum, the Helix Bridge, Gardens by the Bay, and in particular, the show piece arts centre Esplanade – Theatres on the Bay.
리플렉션스 엣 케펠 베이, 더 인터레이스 같은 주거 단지, 그리고 서던 리지스 같은 공공 프로젝트도 있다.
Others include residential complexes, such as Reflections at Keppel Bay and The Interlace, and public projects, such as Southern Ridges.
비판적 지역주의
Critical regionalism
21세기 초 싱가포르 건축가들은 비판적 지역주의의 초기 지지자 중 하나였는데, 덥고 습한 열대 기후의 싱가포르에서 글로벌리즘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유리로 된 꾸밈없는 인터내셔널 스타일의 건물이 현지 기후나 문화적 맥락에 적합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케리 힐(1943-2018) 같은 건축가들은 모더니즘의 건축적 특성과 자연 환기가 가능한 열대 공간 그리고 아시아 문화 레퍼런스를 결합한 모던 트로피컬 건축 양식을 개척했다.
Architects in Singapore during the early 21st century were among the early proponents of Critical regionalism, as architects in Singapore’s hot and humid tropical climate realised that the glassy, unadorned International Style buildings being proliferated across the world by globalism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local climatic or cultural context. Architects such as Kerry Hill pioneered this form of modern tropical architecture, blending the architectural vernacular of Modernism with naturally-ventilated tropical spaces and Asian cultural references.
싱가포르의 신세대 건축가들은 개발 부지에 대지 면적보다 더 많은 공공 녹지 공간을 확보하는 ‘정원 속 도시’를 만들겠다는 싱가포르 정부의 야심에 따라 비판적 지역주의와 무성한 고층 녹지를 결합시켰다. 국제적인 수상 경력을 자랑하는 WOHA 아키텍츠 등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유형의 친환경 마천루 개발을 선도해 왔다.
The new generation of Singaporean architects have combined a local form of Critical regionalism with lush skyrise greenery, in line with the Singapore government’s ambitions to create a ‘City in a Garden’, where development sites commonly yield more public green space than the site area itself. Designers including international award-winning WOHA Architects have pioneered developing new types of green skyscrapers.

역사 보존
Historic preservation
도시재개발청은 싱가포르의 건축 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94개 보존 지역을 지정했다. 이 지역들은 싱가포르 전역에 걸쳐 독특하고 역사적인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7,091개 건물을 보호하고 있다. 디벨로퍼들은 역사적 건물의 원래 구조와 요소를 보존하기 위해 보존 지침을 고려해야 하며, 시대별 건축 양식이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The Urban Redevelopment Authority has designated 94 conservation areas that preserve the built heritage of Singapore. These areas protect 7,091 buildings across the city that showcase distinct and historic architecture. Developers must take conservation guidelines into account to retain historic buildings’ original structure and elements, ensuring period styles are maintained.
국립문화유산위원회는 70개 이상의 특정 건물과 랜드마크를 특별한 가치를 지닌 국가 기념물로 지정했으며, 그 중 상당수가 건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The National Heritage Board has designated more than 70 specific buildings and landmarks as national monuments for their special value, many for their architectural significance.
- 출처 : 「Architecture of Singapore」, Wikipedia(en), 2025.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