얕음에의 강요

이중용 건축편집자

잡지든 컴퓨터나 폰 화면이든, 건물 사진을 준비해보라. 그런 다음, 그 사진에 들어갈 캡션을 직접 작성해보라. (캡션caption은 설명문구explanatory text를 말한다.) 이제, 캡션과 사진을 비교해보라. 단적으로, 당신이 작성한 그 캡션이 바로 당신이 그 사진을 통해 ‘읽은’ 것이다.

잘 읽어낸 것 같은가? 혹은, 당신 옆자리의 그 사람은 만족스럽게 읽었는가? 제대로 생각해내지 못 했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 테스트가 당신의 밥줄과 관련된 것도 아닐 뿐더러, 심지어 그 장면을 왜 찍었는지 이유라도 있을 사진가나 더 나아가 사진 속 건물을 왜 그렇게 디자인했는지 당위라도 있을 건축가조차 쓸 말이 없을 수도 있다. 물론 사진가나 건축가의 문제도 아니다. 캡션 작업이 형식적이거나 요식행위일 경우에 한에서만 개인의 기량이 중요해 보일 뿐, 그것을 본격적인 작업으로 이해할 때라면 관련자들이 중지를 모아 무엇을 보여주고 어떻게 설명할지를 함께 정하고 공유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야 방향도 더 정확해지고, 장면도 더 정확해지고, 설명도 더 정확해지고, 무엇을 했는지(작업의 정체)와 무엇을 해야 하는지(작업자의 비전)도 더 명료해진다. 다양한 관심과 기술로 분화된 전문성을 연결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고 어느 한 분야의 우세한 시각이 만들어내는 결과물에 의존할수록, 개인기의 시대에 천재가 유독 도드라지는 것처럼 우리는 0.000…01% 천재성의 출현을 기대하고 또 아주 가끔씩은 즐길 수도 있겠지만, 그로 인해 99.999…99%의 평범함을 견뎌야 하는 대부분의 나날들과 종국에는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것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이는 자기 분야에 대한 공감-상실의 위기 또한 맛봐야 할 것을 어느 정도는 짐작할 수 있다. 어찌 됐든,

그것이 바로 지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미지는 쏟아지고 있고, 과거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새로운 정보들을 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식의 가치나 인간성의 발전이 그에 비례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것 말이다. 우리가 더 수다스러워지고 있다는 증거를 찾기는 쉬운 반면, 더 똑똑해지고 있다는 증거를 찾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럼에도 여전히 건물과 건축가가 건축-지식의 근원처럼 다뤄지는 듯한 분위기가 있고, 핵심적인 건축 담론의 중심에 대체로 건축가가 있었던 과거 모델을 당연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건축인들은 오늘도 쏟아지는 건물 사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부지런히 종잇장을 넘기고, 마우스를 클릭하고, 스크린을 터치한다. 그 과정에서 구체적인 지식이 쌓이지 않고 환호나 호기심, 무심함, 실망 혹은 냉소 같은 감각/감정과 관련된 반응 수준에 머문다는 점을 지적하는 얘기도 더러 듣곤 하지만, 달리 생각해 보면 그 역시 오늘날의 상황에 맞물려 장착된 매우 합리적인 과정으로 이해해 볼 여지도 있다. 거의 2시간 단위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업데이트하는 《아크데일리》의 경우, 소화해야 하는 프로젝트만 해도 일일 12개, 한달 360개, 일년 4,320개가 된다. (2008년 3월 10일 개설 이후 지금까지 소개된 프로젝트 숫자는 49,000여 개에 이른다.) 그뿐인가. 개인 미디어로 매일 같이 쏟아지는 무수히 많은 단편적인 이미지들까지 고려하면, 터치 스크린과 엄지 외에 무엇으로 이러한 정보들을 감당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잡담 외에, 개인이 진지하게 이 상황의 전체를 포착하고 정리할 가능성이 있기는 할까?

이 글의 앞 부분에서 캡션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가정해 보긴 했지만, 건축 분야에서 접하는 1차 정보에 대한 개인의 판단이 직관의 범위를 넘어서기 어려운 것은 이제 구조적인 문제일 수밖에 없다. 그러니 개인과 건축 정보의 우연한 마주침이 논리적이지 않다 하더라도 그러한 상황에 대해 채점표부터 꺼내는 것 역시 논리적인 반응일 수 없으며, 이러한 상황을 살피지 않고 누군가 ‘우연히’ 아는 것을 누군가 ‘우연히’ 모르는 것 위에 두며 전문성이나 성실함에 대한 격차의 근거로 다루는 것 또한 무신경하고 비생산적인 일이 될 것이다.

흔히들 그런 것을 ‘깊이에의 강요’라는 표현으로 빗대곤 했다. 그리고 우리는 이미 무겁고 어려운 생각들에 그러한 딱지를 붙이면서 점점 더 빠르게 소비하고 적용할 수 있는 가벼운 생각들로 환경을 구성하고 있다. 많은 정보들 안에서 각자도생해야 하는 현실에서는 현재 구성된 자기 자신의 생각에 기반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감(각)’이 좋은 방편이 되지만, 그것이 타인의 공감과 욕망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지언정 공통의 사회 이해이자 다음 세계를 위한 보편 의식 혹은 윤리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낮다는 점 ㅡ 그것은 공론의 영역이 작동하는 한에서 도모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ㅡ 에서, 건축을 통한 우리 세대의 공적 역할이 공회전할 수 밖에 없을 거라는 씁쓸한 가정 안에 머물게 한다. [개인]과 [종적 관계]라는 전제에서 가능했던 일을 반복하는 한, [사회]와 [횡적 관계]에서 가능한 일들은 그만큼 유예될 뿐이다. 최소한 그 정도, 개인의 책임과 역할을 사회의 그것으로 재배치시키고 작동시키기 위한 노력 정도를 내부에서 확보할 수 있어야 할 테지만, ‘얕음에의 강요’랄까, 어느덧 올라타고 있는 파도의 희열과 공포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된 서퍼들이 서핑에 열중하는 동안 남발되고 있는 ‘깊이에의 강요’ 딱지가 한결같이 두텁기만 하다.


  • 작성 : 2023.1.1.

카테고리

작성자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