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이론


자기이론은 자서전, 회고록, 비판 이론의 서사 형식을 결합하는 문학적 전통이다. 자기이론 작업에는 연구 조사가 섞인 저자의 삶에 대한 일인칭 서술이 포함된다. 자기이론 작업은 개인적인 경험 속에 담긴 정치와 역사를 해석하기 위해 철학, 문학 이론, 사회 구조, 과학, 문화에 대한 광범위한 질문을 끌어들일 수 있다.

이 용어는 폴 B. 프레시아도(1970-)의 2013년 저서 『테스토 정키』를 둘러싼 논의를 통해 대중화되었다.

로렌 푸르니에(1989-)는 자기이론이 페미니즘 맥락에서의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실천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푸르니에는 자기이론을 페미니스트 작가, 예술가, 학자들이 (학문 연구 전반에서 두드러지는 작가와 주제 사이의 거리감이나 작품 속 작가의 부재와 대조적으로,) 자신의 삶에서 정치적 질문을 제기하는 저항의 장소로 묘사한다. 랄프 클레어는 자기이론이 문학 운동인 오토픽션(자전 소설)과 인접해 있지만, 이론의 제도화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이자 저항의 형태라는 점에서 구별된다고 말한다.



카테고리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