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ffrey Bawa

제프리 바와(데샤마냐 제프리 매닝 바와; 영국왕립건축가협회 펠로우; 1919–2003)는 스리랑카의 건축가였다. 종종 트로피컬 모더니즘 운동의 선구자로 불리는 그는, 당대 가장 영향력 있는 아시아 건축가 중 한 명이었다.
Deshamanya Geoffrey Manning Bawa, FRIBA (23 July 1919 – 27 May 2003) was a Sri Lankan architect. Often referred to as the leader of the Tropical Modernist movement, he was among the most influential Asian architects of his generation.
초년기
Early life
제프리 바와는 1919년 7월 23일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태어났으며, 부분적으로 유럽 혈통인 스리랑카 변호사 벤자민 바와 소령과 스리랑카 신할라 족, 독일, 스코틀랜드 혈통이 섞인 시민인 베르타 마리안 슈레이더 여사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형 베비스는 조경가가 되었다.
Geoffrey Bawa was born in Colombo on 23 July 1919, the younger of the two sons of Major Benjamin Bawa, a Sri Lankan lawyer who was partly of European parentage, and Bertha Marianne née Schrader, a Burgher of mixed Sinhalese, German and Scottish descent. His older brother, Bevis, became a landscape architect.
교육
Education
바와는 콜롬보의 로열 칼리지에서 교육 받은 후, 1938년 케임브리지의 세인트 캐서린스 칼리지에서 영어와 법학을 공부하며 BA(영문학 학사)를 취득했고, 이후 런던의 미들 템플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1944년에 법정 변호사가 되었다.
Bawa was educated at Royal College, Colombo after which he studied English and Law in 1938 at St Catharine’s College, Cambridge, gaining a BA (English Literature Tripos) and went on to study law at Middle Temple, London, becoming a barrister in 1944.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실론으로 돌아온 바와는 콜롬보의 한 로펌에서 일했다. 그러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 법조계를 떠났으며, 1946년에는 2년간의 여행을 떠나 극동, 미국 전역을 거쳐 유럽에 도착했고, 한때 이탈리아에 정착할 뻔하기도 했다. 28세가 될 때까지 그는 인생의 3분의 1을 스리랑카 밖에서 보냈다. 이탈리아에서 그는 빌라를 구입해 정착할 계획이었으나, 이루어지지 않았고, 1948년까지 결국 다시 스리랑카로 돌아왔다.
Returning to Ceylon after World War II, he worked for a Colombo law firm. After the death of his mother, he left the profession and soon left in 1946 to travel for two years, going to the Far East, across the United States, and finally to Europe and almost settling in Italy. By the time he was 28 years old, he had spent a third of his life away from Sri Lanka. During his time in Italy, he planned to buy a villa and settle down, but that did not happen, and by 1948 he had returned to Sri Lanka.
바와는 콜롬보와 갈 사이의 섬 남서 해안에 위치한 루누강가에서 버려진 고무 농장을 사서, 열대의 황무지를 이탈리아식 정원으로 만들 계획을 세웠다. 그렇지만, 그는 곧 자신의 기술적 지식이 부족하여 자신의 아이디어가 실현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1951년, 그는 콜롬보의 건축 사무소 에드워즈, 리드 & 베그의 유일한 생존 파트너였던 H. H. 리드 밑에서 도제(견습생)으로 일하게 되었다.
Bawa bought an abandoned rubber estate on the south-west coast of the island between Colombo and Galle at Lunuganga, planning to create an Italian garden from a tropical wilderness. However, he soon found that his ideas were compromised by his lack of technical knowledge. In 1951, he was apprenticed to H. H. Reid, the sole surviving partner of the Colombo architectural practice Edwards, Reid and Begg.
1952년, 리드가 세상을 떠났지만 바와는 여전히 건축가의 꿈을 꿈꾸며 영국으로 돌아갔다. 그는 케임브리지에서 1년을 보낸 후 런던의 AA에 입학하여 1956년 건축학 디플로마를 취득했고, 이듬해에는RIBA(영국왕립건축가협회)의 준회원이 되었다. 1957년, 38세가 된 그는 정식 건축가 자격을 갖추고 스리랑카로 돌아와 남은 리드의 업무를 이어받았다.
In 1952 Reid died, but Bawa still aspired to a career in architecture, so he returned to England. After spending a year at Cambridge, he enrolled as a student at the Architectural Association in London, where he earned a Diploma in Architecture by 1956 and in the following year he became an Associate of the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 In 1957, at the age of 38 he returned to Sri Lanka as a qualified architect to take over what was left of Reid’s practice.
건축 분야 경력
Career in architecture
실론으로 돌아온 그는 1958년 콜롬보의 에드워즈, 리드 & 베그의 파트너가 되었다. 1959년에는 덴마크 출신 건축가 울릭 플레스너(1930-2016)가 합류했으며, 두 사람은 함께 많은 건축물을 설계했다.
Returning to Ceylon, he became a partner of Messrs. Edwards, Reid and Begg, Colombo in 1958. In 1959, Danish architect Ulrik Plesner joined the firm, and the two designed many buildings together.
바와는 식민지 시대 건축과 전통 실론 건축, 그리고 그 안에서 물의 역할에 영향을 받았지만, 지역주의 개념 그리고 부지에 미리 정해진 형태를 강요하는 방식을 거부했다.
Bawa was influenced by colonial and traditional Ceylonese architecture, and the role of water in it, but rejected both the idea of regionalism and the imposition of preconceived forms onto a site.
플레스너는 1967년에 섬을 떠났다. 바와는 1960년에 스리랑카 건축가 협회 준회원이 되었다. 이후 에나 드 실바(1922-2015), 바바라 산소니(1928-2022), 라키 세나나야케(1937-2021)를 포함한 뜻 맞는 예술가 및 디자이너 무리와의 긴밀한 교류를 통해 토착 재료와 공예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겨났고, 이는 탈식민지 시대 문화 르네상스로 이어졌다. 1979년에는 J. R. 자야와르데네(1906-1996) 대통령이 바와에게 코테에 있는 스리랑카의 새 국회 건물 설계를 의뢰했다. 이 프로젝트는 일본 건설 회사인 미쓰이의 도움을 받아 1982년에 완공되었다.
Plesner left the island in 1967. Bawa became an Associate of the Sri Lanka Institute of Architects in 1960. An ensuing close association with a coterie of like-minded artists and designers, including Ena de Silva, Barbara Sansoni and Laki Senanayake, produced a new awareness of indigenous materials and crafts, leading to a post-colonial renaissance of culture. In 1979, President J. R. Jayewardene invited Bawa to design Sri Lanka’s new Parliament building at Kotte. The project was completed in 1982 with the help of a firm of Japanese contractors, Mitsui.
이후의 삶과 죽음
Later life and death
1982년, 바와는 건축, 미술, 환경 연구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해 제프리 바와 트러스트를 설립했다. 1990년대 초, 바와는 연이은 뇌졸중을 겪으며 건강이 악화되었다.
In 1982, Bawa established the Geoffrey Bawa Trust with the aim of furthering the fields of architecture, fine arts and environmental studies. In the early 1990s, Bawa suffered a series of strokes that left him ill.
바와는 2003년 5월 27일, 8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Bawa died on 27 May 2003 at the age of 83.

영향력
Influence
제프리 바와는 이후 세대의 스리랑카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지만, 그의 유산은 아시아와 전 세계에서도 받아들여졌다.
Geoffrey Bawa influenced a generation of architects in Sri Lanka after him, but his legacy was also embraced in Asia and around the world.
작업 목록
List of works
바와의 작업은 주로 스리랑카에서 이루어졌지만, 다른 여러 나라에서도 진행되었다: 그는 인도에서 9개, 인도네시아에서 3개, 모리셔스에서 2개, 그리고 피지와 싱가포르에서 각각 1개씩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그의 작업에는 주택, 호텔, 학교, 클럽, 사무실, 정부 청사 등이 있으며, 특히 스리랑카 국회 건물이 대표적이다. 오늘날, 콜롬보의 파라다이스 로드에 위치한 갤러리 카페는 바와의 이전 사무실 건물에 자리하고 있다.
Bawa’s work was mainly in Sri Lanka, but included several other countries as well: nine times in India, three times in Indonesia, twice in Mauritius and once in Fiji, and Singapore. His works include houses, hotels, schools, clubs, offices and government buildings, most notably the Sri Lankan Parliament Building. Today, the Gallery Café on Paradise Road in Colombo is located in Bawa’s former office building.








수상 및 펠로우십
Awards and fellowships
- 팬 퍼시픽 표창장, 미국건축가협회 하와이 지부, 1967
- 회장, 스리랑카 건축가협회, 1969
- 취임 골드 메달, 스리랑카 건축가협회 실버 주빌리 축하 행사, 1982
- 스리 자야와르데네푸라 코테의 신축 국회 건물에 대해 “현지 토속 건축 전통의 뛰어난 건축 설계”로 헤리티지 어워드 표창, 태평양 지역 여행 협회. 1983
- 펠로우, 영국왕립건축가협회
- 명예 펠로우, 미국건축가협회, 1983
- 스리랑카 대통령 취임 기념 포상 명단에서 비드야 조티(과학의 빛) 칭호 수여, 1985
- MIT(미국 보스턴)에서 아가 칸 건축 프로그램 티칭 펠로우십, 1986
- 스리랑카 대통령 서훈자 명단에서 데샤만야(국가의 자부심) 칭호 수여, 1993
- 남아시아 건축상을 통합한 그레이트 마스터스 어워드, 1996
- 올해의 건축가상, 인도, 1996
- 아시안 이노베이션 어워드, 동상 – 《파 이스트 이코노믹 리뷰》 건축 부문, 1998
- 건축 분야에서의 평생 업적과 기여를 인정받아 아가 칸 건축상 위원장상 수상, 2001
- 루후나 대학교 (명예) 이학박사 수여, 2002
- Pan Pacific Citation, Hawaii Chapter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1967)
- President, Sri Lanka Institute of Architects (1969)
- Inaugural Gold Medal at the Silver Jubilee Celebration of the Sri Lanka Institute of Architects (1982)
- Heritage Award of Recognition, for “Outstanding Architectural Design in the Tradition of Local Vernacular Architecture”, for the new Parliamentary Complex at Sri Jayawardenepura Kotte from the Pacific Area Travel Association. (1983)
- Fellow of the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
- Elected Honorary Fellow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1983)
- Conferred title of Vidya Jothi (Light of Science) in the Inaugural Honours List of the President of Sri Lanka (1985)
- Teaching Fellowship at the Aga Khan Programme for Architecture, at MIT, Boston, USA (1986)
- Conferred title Deshamanya (Pride of the Nation) in the Honours List of the President Sri Lanka (1993)
- The Grate Master’s Award 1996 incorporating South Asian Architecture Award (1996)
- The Architect of the Year Award, India (1996)
- Asian Innovations Award, Bronze Award – Architecture, Far Eastern Economic Review (1998)
- The Chairman’s Award of the Aga Khan Award for Architecture in recognition of a lifetime’s achievement in and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architecture (2001)
- Awarded Doctor of Science (Honoris Causa), University of Ruhuna (14 September 2002)
- 출처 : 「Geoffrey Bawa」, Wikipedia(en), 2025.2.13.
- 제프리 바와 공식 웹사이트 : geoffreyb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