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프리 바와


제프리 바와. via Wikimedia Commons

제프리 바와(데샤마냐 제프리 매닝 바와; 영국왕립건축가협회 펠로우; 1919–2003)는 스리랑카의 건축가였다. 종종 트로피컬 모더니즘 운동의 선구자로 불리는 그는, 당대 가장 영향력 있는 아시아 건축가 중 한 명이었다.


초년기

제프리 바와는 1919년 7월 23일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태어났으며, 부분적으로 유럽 혈통인 스리랑카 변호사 벤자민 바와 소령과 스리랑카 신할라 족, 독일, 스코틀랜드 혈통이 섞인 시민인 베르타 마리안 슈레이더 여사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형 베비스는 조경가가 되었다.


교육

바와는 콜롬보의 로열 칼리지에서 교육 받은 후, 1938년 케임브리지의 세인트 캐서린스 칼리지에서 영어와 법학을 공부하며 BA(영문학 학사)를 취득했고, 이후 런던의 미들 템플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1944년에 법정 변호사가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실론으로 돌아온 바와는 콜롬보의 한 로펌에서 일했다. 그러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 법조계를 떠났으며, 1946년에는 2년간의 여행을 떠나 극동, 미국 전역을 거쳐 유럽에 도착했고, 한때 이탈리아에 정착할 뻔하기도 했다. 28세가 될 때까지 그는 인생의 3분의 1을 스리랑카 밖에서 보냈다. 이탈리아에서 그는 빌라를 구입해 정착할 계획이었으나, 이루어지지 않았고, 1948년까지 결국 다시 스리랑카로 돌아왔다.

바와는 콜롬보와 갈 사이의 섬 남서 해안에 위치한 루누강가에서 버려진 고무 농장을 사서, 열대의 황무지를 이탈리아식 정원으로 만들 계획을 세웠다. 그렇지만, 그는 곧 자신의 기술적 지식이 부족하여 자신의 아이디어가 실현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1951년, 그는 콜롬보의 건축 사무소 에드워즈, 리드 & 베그의 유일한 생존 파트너였던 H. H. 리드 밑에서 도제(견습생)으로 일하게 되었다.

1952년, 리드가 세상을 떠났지만 바와는 여전히 건축가의 꿈을 꿈꾸며 영국으로 돌아갔다. 그는 케임브리지에서 1년을 보낸 후 런던의 AA에 입학하여 1956년 건축학 디플로마를 취득했고, 이듬해에는RIBA(영국왕립건축가협회)의 준회원이 되었다. 1957년, 38세가 된 그는 정식 건축가 자격을 갖추고 스리랑카로 돌아와 남은 리드의 업무를 이어받았다.


건축 분야 경력

실론으로 돌아온 그는 1958년 콜롬보의 에드워즈, 리드 & 베그의 파트너가 되었다. 1959년에는 덴마크 출신 건축가 울릭 플레스너(1930-2016)가 합류했으며, 두 사람은 함께 많은 건축물을 설계했다.

바와는 식민지 시대 건축과 전통 실론 건축, 그리고 그 안에서 물의 역할에 영향을 받았지만, 지역주의 개념 그리고 부지에 미리 정해진 형태를 강요하는 방식을 거부했다.

플레스너는 1967년에 섬을 떠났다. 바와는 1960년에 스리랑카 건축가 협회 준회원이 되었다. 이후 에나 드 실바(1922-2015), 바바라 산소니(1928-2022), 라키 세나나야케(1937-2021)를 포함한 뜻 맞는 예술가 및 디자이너 무리와의 긴밀한 교류를 통해 토착 재료와 공예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겨났고, 이는 탈식민지 시대 문화 르네상스로 이어졌다. 1979년에는 J. R. 자야와르데네(1906-1996) 대통령이 바와에게 코테에 있는 스리랑카의 새 국회 건물 설계를 의뢰했다. 이 프로젝트는 일본 건설 회사인 미쓰이의 도움을 받아 1982년에 완공되었다.


이후의 삶과 죽음

1982년, 바와는 건축, 미술, 환경 연구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해 제프리 바와 트러스트를 설립했다. 1990년대 초, 바와는 연이은 뇌졸중을 겪으며 건강이 악화되었다.

바와는 2003년 5월 27일, 8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루누강가의 시나몬 언덕에 있는 제프리 바와의 마지막 안식처. via Wikimedia Commons

영향력

제프리 바와는 이후 세대의 스리랑카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지만, 그의 유산은 아시아와 전 세계에서도 받아들여졌다.


작업 목록

바와의 작업은 주로 스리랑카에서 이루어졌지만, 다른 여러 나라에서도 진행되었다: 그는 인도에서 9개, 인도네시아에서 3개, 모리셔스에서 2개, 그리고 피지와 싱가포르에서 각각 1개씩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그의 작업에는 주택, 호텔, 학교, 클럽, 사무실, 정부 청사 등이 있으며, 특히 스리랑카 국회 건물이 대표적이다. 오늘날, 콜롬보의 파라다이스 로드에 위치한 갤러리 카페는 바와의 이전 사무실 건물에 자리하고 있다.

스리랑카 남부 갈레 지구에 위치한 해얀 휴양 도시인 벤토타에 위치한 바와의 시골 저택, 〈루누강가〉(신할라어로 ‘소금 강’을 뜻함), 1948-1998. via Wikimedia Commons
〈힐튼 콜롬보〉, 1965. via Wikimedia Commons
〈그랜드 오리엔탈 호텔〉 리노베이션, 1966. via Wikimedia Commons
〈시마 말라카〉, 스리랑카 콜롬보에 있는 불교 사원, 1976-1978. via Wikimedia Commons
〈스리랑카 의회 건물〉, 1979-1982. via Wikimedia Commons
〈루후나 대학교〉, 1980-1988. via Wikimedia Commons
〈헤리턴스 칸달라마〉, 세계 최초의 LEED 인증 친환경 호텔, 1991-1994. via Wikimedia Commons
〈아난타라 칼루타라 리조트〉, 바와의 디자인으로 2016년 완공. via Wikimedia Commons

수상 및 펠로우십

  • 팬 퍼시픽 표창장, 미국건축가협회 하와이 지부, 1967
  • 회장, 스리랑카 건축가협회, 1969
  • 취임 골드 메달, 스리랑카 건축가협회 실버 주빌리 축하 행사, 1982
  • 스리 자야와르데네푸라 코테의 신축 국회 건물에 대해 “현지 토속 건축 전통의 뛰어난 건축 설계”로 헤리티지 어워드 표창, 태평양 지역 여행 협회. 1983
  • 펠로우, 영국왕립건축가협회
  • 명예 펠로우, 미국건축가협회, 1983
  • 스리랑카 대통령 취임 기념 포상 명단에서 비드야 조티(과학의 빛) 칭호 수여, 1985
  • MIT(미국 보스턴)에서 아가 칸 건축 프로그램 티칭 펠로우십, 1986
  • 스리랑카 대통령 서훈자 명단에서 데샤만야(국가의 자부심) 칭호 수여, 1993
  • 남아시아 건축상을 통합한 그레이트 마스터스 어워드, 1996
  • 올해의 건축가상, 인도, 1996
  • 아시안 이노베이션 어워드, 동상 – 《파 이스트 이코노믹 리뷰》 건축 부문, 1998
  • 건축 분야에서의 평생 업적과 기여를 인정받아 아가 칸 건축상 위원장상 수상, 2001
  • 루후나 대학교 (명예) 이학박사 수여, 2002


카테고리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