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Referential Architecture
비참조적 건축(넌-레퍼런셜 아키텍처)은 21세기의 건축이다. 비참조적 건축이 비참조적 세계에 대한 반응인 만큼 포스트모더니티의 건축과는 구별된다. 비참조적 건축은 고정된 의미의 이미지, 상징, 역사적 함축의 어휘로부터 자유롭다. 비참조적 건축의 건물은 그 자체에 기반을 두고 있다. ㅡ 건축 공간 및 형태와 같은 건축 고유의 특성과 거주자·방문객들에게 유발하는 공간의 경험에 기반한다. 비참조적 건축의 건물은 예를 들어 경제, 생태, 정치의 영역으로부터 가져온 유입 및 주제화 같은 건축 외적인 개념과 아이디어의 결과물이 아니기 때문에, 모더니즘 및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자들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Non-Referential Architecture is the architecture of the 21st century. It is distinct of the architecture of postmodernity in as much as Non-Referential Architecture is a response to a non-referential world. Non-Referential Architecture is liberated of a vocabulary of fixed semantic images, symbols, and historical connotations. Buildings of Non-Referential Architecture are based upon themselves – they are based on architecture-inherent qualities such as architectural space and form and the experience of space they cause in the inhabitants and visitors. Buildings of Non-Referential Architecture ar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ir precursors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because they are not the outcome of extra-architectural concepts and ideas, such as importations and thematizations, for example, taken from the realms of the economic, the ecological, or the political.
『Non-Referential Architecture』(2018)라는 책에서, 스위스 건축가 발레리오 올지아티(1958~)와 미국에서 활동하는 스위스 건축 이론가 마르쿠스 브라이트슈미트(1966~)는 다음과 같이 썼다: “비참조적 건축은 참조적 그릇 또는 외부의 어떤 상징으로 존재하는 건축이 아니다. 비참조적 건물은 그 자체로 의미 있고 (집단적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실체이며, 보통 말하는 그런, 건물이 과거에 공통의 사회적 이상을 대변했던 것 못지 않게 사회의 구현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book , Swiss architect Valerio Olgiati and USA-based Swiss architectural theoretician Markus Breitschmid write: “Non-referential architecture is not an architecture that subsists as a referential vessel or as a symbol of something outside itself. Non-referential buildings are entities that are themselves meaningful and sense-making and, as such, no less the embodiment of society than buildings were in the past when they were the bearers of common social ideals.”
비참조적 건축은 정치적 이념을 비롯한 기타 모든 종류의 이데올로기를 점점 더 거부하는 현대 사회의 흐름에 대한 반응이다. 이데올로기가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의 혁신인 반면, 비참조적 세계는 점점 이데올로기가 없거나 이데올로기적 방식으로 세계를 질서지우는 것을 거부한다. 발레리오 올지아티는 수년 간 비참조적 건축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해 왔다. 건축에서 ‘비참조적’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이탈리아 건축 저널 《도무스》에 게재된 올지아티와 브라이트슈미트 사이 인터뷰의 리프린트(중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4년에, 브라이트슈미트는 스위스 저널 《베르크, 바우엔 + 보넨》에 「건축은 건축으로부터 파생된다」라는 제목의 반론을 발표하여, 경제, 생태, 정치 같은 건축 외적인 것으로부터 건축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다른 이들의 주장에 대응했다. 건축가 크리스티안 케레즈(1962~)는 2016년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 출품한 작품에서 참조성의 한계를 탐구하고 “비참조적 공간”에 대해 이야기했다. 같은 해, 건축가 피터 아이젠만은 건축의 형태가 점점 더 “순수한 현실로” 축소되고 있는 만큼 건축은 한동안 “비참조적 ‘객관성’”을 향해 나아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Non-Referential Architecture is a response to a contemporary societal current that increasingly rejects ideologies of any kind, political and otherwise. While ideologies were the innovation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the non-referential world is increasingly devoid of ideologies or it rejects to order the world in ideological ways. Valerio Olgiati has worked on the possibilities of a Non-Referential Architecture for years. The first documented use of the term Non-Referential in architecture appears in a reprint of an interview between Olgiati and Breitschmid in the Italian architecture journal Domus. In 2014, Breitschmid publishes a rebuttal titled “Architektur leitet sich von Architektur ab” (Architecture is Derived from Architecture) in the Swiss journal Werk, Bauen + Wohnen, thereby responding to an architectural claim made by others that attempts to imbue meaning into architecture from the extra-architectural, such as the economic, ecological, political. Architect Christian Kerez investigated the limits of referentiality and speaks of “non-referential space” as a quality of his contribution for the Venice Biennale of Architecture in 2016. In the same year, architect Peter Eisenman points out that architecture has been moving toward a “non-referential ‘objectivity’” for some time, in as much as architectural form is increasingly reduced “to a pure reality.”
2018년, 올지아티와 브라이트슈미트는 2013년부터 준비해 온 건축 논문 『Non-Referential Architecture』를 출간했다. 그것은 21세기 초의 사회적 흐름을 분석하고, 이러한 흐름이 포스트모더니티 시대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건축에 대한 새로운 틀을 제안하고, 비참조적 건축을 위한 7가지 기본 원칙을 정의한다: 1) 공간 경험; 2) 하나됨; 3) 새로움; 4) 구성; 5) 모순(대립성); 6) 질서; 7) 센스메이킹(사람들이 집단적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프로세스).
In 2018, Olgiati and Breitschmid published the architectural treatise Non-Referential Architecture, a book that has been in the making since 2013. It analyses the societal currents of the early 21st century and argues that those currents are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epoch of postmodernity. The book proposes a new framework for architecture and defines the seven underlying principles for Non-Referential Architecture: 1) Experience of Space; 2) Oneness; 3) Newness; 4) Construction; 5) Contradiction; 6) Order; 7) Sensemaking.
비참조적 건축의 특징 중 하나는 각 건물이 그 자체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각 건물은 건축적 아이디어에 의해 관리되며 – 그리고 그 아이디어는 형태를 생성하고 센스메이킹(경험에 의미를 부여)을 해야 한다. 비참조적 건축은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 “비참조적 건축은 설명 또는 이야기-하기를 거부하고, 설득과 전파를 위한 연극적인 방식의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K. 마이클 헤이스(1952~)는 2018년 하버드 대학교 디자인 대학원에서 열린 〈인스크립션 : 스피치 이전의 아키텍처〉 전시회의 의도를 설명하면서, 오늘날의 건축이 “특정한 의미가 아니라 특정한 종류의 잠재성 ㅡ 실제 건축 프로젝트로 발전될 수 있는 비의미적 물성, 비참조적 구축 ㅡ 을 전제로 한다”라고 주장한다.
One of the hallmarks of Non-Referential Architecture is that each building exists for itself. Each building is governed by an architectural idea – and that idea has to be form-generative and sense-making. Non-Referential Architecture states: “Non-referential architecture denotes but it refuses to explain or narrate, and it leaves behind any vestiges of a theatrical mode of persuasion and propagation.” Describing the intent of the exhibition ‘Inscriptions: Architecture before Speech’, held at Harvard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Design in 2018, K. Michael Hays argues that today’s architecture presupposes “not a particular meaning, but a specific kind of potentiality — a non-semantic materiality, a non-referential construct that can be developed into an actual architectural project.”
- 출처 : 「Non-Referential Architecture」, Wikipedia(en), 202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