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wellism
바웰리즘은 리처드 로저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현대 건축 양식이다. 그것은 르코르뷔지에와 안토니 가우디의 영향을 받은 일시적인 건축이자 경박한 스타일로 묘사된다. 이 양식은 덕트, 하수관, 승강기 등 건물을 위한 서비스를 외부에 배치하여 내부 공간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Bowellism is a modern architectural style heavily associated with Richard Rogers. It is described as a transient architectural and flippant style that was influenced by Le Corbusier and Antoni Gaudí. The style consists of services for the building, such as ducts, sewage pipes, and lifts, being located on the exterior to maximise space in the interior.
기원
Origin
이 양식은 1957년 하이위컴(영국 버킹엄셔주에 있는 도시)에 있는 가구제조업체 협회 건물을 위한 마이클 웹의 학생 프로젝트에서 비롯되었다. 웹은 1961년 강연에서 니콜라스 페브스너가 자신의 디자인에 대해 한 코멘트를 듣고 이 용어를 만들었다고 회상했다: “학교 내에 일부 불온한 경향이 있다; 나는 얼마 전 접시 위에 놓인 일련의 위장 또는 연골 조각으로 연결된 창자처럼 보이는 건물 디자인을 보았다.” 이러한 인사이드-아웃(안팎을 뒤집은) 스타일은 인체가 작동하는 방식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에 ‘바웰리즘’이라고 불렸다. 웹이 바웰리즘에 기반하여 제안한 구조물 중 하나는 (영국 런던의) 레스터 스퀘어를 위한 씬 센터였다. 이 개념은 유리 스킨을 지지하는 지오데식 구조였다.
The style originated with Michael Webb’s 1957 student project for a Furniture Manufacturers Association building in High Wycombe. Webb coined the term in response to a comment on his design by Sir Nikolaus Pevsner in a 1961 lecture, in which he recalled hearing the words: “within the schools there are some disturbing trends; I saw the other day a design for a building that looked like a series of stomachs sitting on a plate. Or bowels, connected by bits of gristle”. Thus this inside-out style was termed ‘Bowellism’ because of how it recalled the way the human body works. One of Webb’s proposed structures based on bowellism was the Sin Centre for Leicester Square. The concept was a geodesic structure that supports a glass skin.
일부 학자들은 가시적인 순환 ㅡ 건물의 골격화된 서비스뿐만 아니라 건물의 “혈류” 또는 움직이는 자동차와 군중이 꼭대기에서 메인 로비까지 계단식으로 내려오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이 모든 것이 건물의 지오데식 스킨을 통해 보인다. ㅡ 에 대한 새로운 건축적 매력을 위해 바웰리즘을 사용한 최초의 인물로 레이너 밴험을 꼽는다. 밴험은 또한 브루털리즘의 한 측면을 지칭하기 위해 “토폴로지(위상)”라는 용어를 도입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Some scholars cite Reyner Banham as the first to use bowellism for the new architectural fascination with visible circulation, one that focuses on a building’s skeletal services as well as its “bloodstream” or the moving cars and crowd, cascading down from the top to the main foyers – all visible through the structure’s geodesic skin. Banham is also credited for introducing the term “topological” to refer to an aspect of brutalism.
리처드 로저스와 렌조 피아노는 “바웰리즘의 광대한 운동”으로 묘사되는 파리 퐁피두 센터의 디자인으로 이 양식을 이어갔고, 전시를 충분히 감상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었다.
Richard Rogers and Renzo Piano continued the style with the design of the Pompidou Centre in Paris, described as a “vast exercise in Bowellism”, so the floor space of the interior could be maximised to fully appreciate the exhibitions.
사례
Examples
- 로저스와 렌조 피아노의 파리 퐁피두 센터 (1977)
- 로저스의 런던 로이드 빌딩 (1978)
- 얍 바케마의 로테르담 중앙 도서관 (1983)
- 런던의 채널 4 본사인 124 호스페리 로드 (1994)
- The Pompidou Centre in Paris (1977) by Rogers and Renzo Piano.
- The Lloyd’s building in London (1978) also by Rogers.
- The Central Library of Rotterdam (1983) by Jaap Bakema.
- The Channel 4 headquarters, 124 Horseferry Road, London.
갤러리
Gallery
- 출처 : 「Bowellism」, Wikipedia(en), 2022.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