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emics
프로시믹스(근접학)는 인간의 공간 사용 그리고 인구 밀도가 행동,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프로시믹스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연구의 여러 하위 범주 중 하나로, 여기에는 촉각학(촉각), 동작학(신체 움직임), 음성학(준언어), 시간개념학(시간의 구조)가 포함된다.
Proxemics is the study of human use of space and the effects that population density has on behavior,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 Proxemics is one among several subcategories in the study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cluding haptics (touch), kinesics (body movement), vocalics (paralanguage), and chronemics (structure of time).
1963년 이 용어를 만든 문화 인류학자 에드워드 홀(1914-2009)은 프록시믹스를 “문화의 특수한 정교함으로서 인간의 공간 사용에 관한 상호 관련된 관찰과 이론”으로 정의했다. 프록시믹스에 관한 그의 기초 작업인 『숨겨진 차원』에서 홀은 프록시믹스 행동(공간의 사용)이 대인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다. 홀에 따르면, 프록시믹스 연구는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집과 건물에서 공간의 조직, 궁극적으로는 마을의 배치”를 평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 프록시믹스는 관찰을 통해 드러나며 문화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 대인 의사소통의 숨겨진 요소로 남아 있다.
Edward T. Hall, the cultural anthropologist who coined the term in 1963, defined proxemics as “the interrelated observations and theories of humans’ use of space as a specialized elaboration of culture”. In his foundational work on proxemics, The Hidden Dimension, Hall emphasized the impact of proxemic behavior (the use of space)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Hall, the study of proxemics is valuable in evaluating not only the way people interact with others in daily life, but also “the organization of space in [their] houses and buildings, and ultimately the layout of [their] towns”. Proxemics remains a hidden component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at is uncovered through observation and strongly influenced by culture.
인간의 거리
Human distances
사람을 둘러싼 거리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친밀한 거리와 개체 거리 내의 공간은 ‘개인 공간’이라고 불린다. 사회적 거리 내에 있지만 개인적 거리를 벗어난 공간은 ‘사회 공간’이라고 하며, 공적인 거리 내의 공간은 ‘공적 공간’이라고 한다.
The distance surrounding a person forms a space. The space within intimate distance and personal distance is called personal space. The space within social distance and out of personal distance is called social space, and the space within public distance is called public space.
개인 공간은 개인이 심리적으로 자신만의 영역으로 여기는 영역 환경을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개인 공간을 소중히 여기며, 그 공간이 침범당했을 때 불편함, 분노, 또는 불안을 느낀다. 누군가가 개인 공간에 들어오도록 허용하거나 다른 사람의 개인 공간에 들어가는 것은 그들 간의 관계를 인식하는 지표가 됩니다. 친밀한 구역(intimate zone)은 가까운 친구, 연인, 아이들, 그리고 가까운 가족 구성원들에게 할당된다. 또 다른 구역은 친구들과 대화하거나 동료들과 이야기하거나 그룹 토론을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인 구역은 낯선 사람들, 새로 형성된 그룹, 그리고 새로운 지인들을 위해 사용된다. 네 번째 구역은 연설, 강의, 그리고 극장과 같은 활동을 위해 사용되며, 본질적으로, 공적 거리는 더 큰 청중을 위한 범위로 간주됩니다.
Personal space is the region surrounding a person which they regard as psychologically theirs. Most people value their personal space and feel discomfort, anger, or anxiety when their personal space is encroached. Permitting a person to enter personal space and entering somebody else’s personal space are indicators of perception of those people’s relationship. An intimate zone is reserved for close friends, lovers, children and close family members. Another zone is used for conversations with friends, to chat with associates, and in group discussions. A further zone is reserved for strangers, newly formed groups, and new acquaintances. A fourth zone is used for speeches, lectures, and theater; essentially, public distance is that range reserved for larger audiences.
타인의 개인 공간에 들어가는 것은 일반적으로 친밀함이나 가까운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현대 사회, 특히 붐비는 도시 지역에서는 개인 공간을 유지하기가 어려운데, 예를 들어, 혼잡한 기차, 엘리베이터, 거리에서는 개인 공간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신체적 근접을 심리적으로 불편하고 불쾌하게 느끼지만, 이것이 현대 생활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런 비개인적이고 붐비는 상황에서는 눈을 마주치는 것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아무리 붐비는 곳이라도 개인 공간을 지키는 것은 중요하며, 특히 마찰도착증이나 손으로 더듬는 것과 같은 친밀하거나 성적인 접촉은 절대 용납될 수 없다.
Entering somebody’s personal space is normally an indication of familiarity and sometimes intimacy. However, in modern society, especially in crowded urban communities, it can be difficult to maintain personal space, for example when in a crowded train, elevator or street. Many people find such physical proximity to be psychologically disturbing and uncomfortable, though it is accepted as a fact of modern life. In an impersonal, crowded situation, eye contact tends to be avoided. Even in a crowded place, preserving personal space is important, and intimate and sexual contact, such as frotteurism and groping, is unacceptable physical contact.
한 개인의 개인 공간은 그들이 어디를 가든 항상 함께한다. 그것은 가장 침해받지 않는 형태의 영역이다. 홀에 따르면, 신체 간격과 자세는 사람의 목소리 음색과 높이의 미묘한 변화와 같은 감각적 변동이나 변화에 대한 부지불식간의 반응이다. 사회적 거리, 친밀한 거리, 개인적 거리는 아래에 나열된 구분에 따라 물리적 거리와 신뢰할 수 있는 상관관계를 가진다. 홀은 이러한 측정값을 인간 행동에 정확히 적용될 엄격한 지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거리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문화적 차이나 다른 환경적 요인에 따라 그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체계로 제안한 것이다.
A person’s personal space is carried with them everywhere they go. It is the most inviolate form of territory. Body spacing and posture, according to Hall, are unintentional reactions to sensory fluctuations or shifts, such as subtle changes in the sound and pitch of a person’s voice. Social distance between people is reliably correlated with physical distance, as are intimate and personal distance, according to the delineations below. Hall did not mean for these measurements to be strict guidelines that translate precisely to human behavior, but rather a system for gauging the effect of distance on communication and how the effect varies between culture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대인 관계 거리
Interpersonal distance
홀은 인간의 대인 간 거리(사람들 간의 상대적 거리)를 네 가지 뚜렷한 영역으로 설명했다:
Hall described the interpersonal distances of humans (the relative distances between people) in four distinct zones:
- 친밀한 거리 : 포옹, 터치, 속삭임
- 개인적 거리 : 친한 친구나 가족 간 상호작용
- 근거리 단계 – 1.5~2.5ft (0.46~0.76m)
- 원거리 단계 – 2.5~4ft (0.76~1.22m)
- 사회적 거리 : 지인 간 상호작용
- 근거리 단계 – 4~7ft (1.2~2.1m)
- 원거리 단계 – 7~12ft (2.1~3.7m)
- 공적 거리 : 공개연설
- Intimate distance for embracing, touching or whispering
- Personal distance for interactions among good friends or family
- Close phase – 1.5 to 2.5 feet (0.46 to 0.76 m)
- Far phase – 2.5 to 4 feet (0.76 to 1.22 m)
- Social distance for interactions among acquaintances
- Close phase – 4 to 7 feet (1.2 to 2.1 m)
- Far phase – 7 to 12 feet (2.1 to 3.7 m)
- Public distance used for public speaking
- Close phase – 12 to 25 feet (3.7 to 7.6 m)
- Far phase – 25 feet (7.6 m) or more.
수직적 거리
Vertical
위에서 언급된 거리는 수평적 거리다.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에서 수직적 거리도 존재한다. 그렇지만, 이 경우, 수직적 거리는 종종 관계에서의 지배 또는 종속의 정도를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른 사람을 올려다보거나 내려다보는 것은 높은 사람이 더 높은 지위를 주장하는 것과 더불어 많은 경우 문자 그대로 해석될 수 있다.
The distances mentioned above are horizontal distance. There is also vertical distance that communicates something between people. In this case, however, vertical distance is often understood to convey the degree of dominance or sub-ordinance in a relationship. Looking up at or down on another person can be taken literally in many cases, with the higher person asserting greater status.
교사, 특히 어린아이들과 함께 일하는 교사들은 학생들과 같은 수직면에 있을 때 학생들이 더 편안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직적 거리에 대한 이해는 교사와 학생 간의 의사소통을 개선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반면에, (엄격한) 규율을 강조하는 사람은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다루기 어려운 학생에 대해 심리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Teachers, and especially those who work with small children, should realize that students will interact more comfortably with a teacher when they are in same vertical plane. Used in this way, an understanding of vertical distance can become a tool for improved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a disciplinarian might put this information to use in order to gain psychological advantage over an unruly student.
설명
Explanations
생물측정학
Biometrics
홀은 생물측정학(생체인식) 개념을 사용하여 사람들이 공간에서 연결되는 방식을 분류하고 설명하며 탐구했다. 이러한 위치의 변화는 아래에 나열된 다양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Hall used biometric concepts to categorize, explain, and explore the ways people connect in space. These variations in positioning are impacted by a variety of nonverbal communicative factors, listed below.
- 운동 감각 요인: 이 범주는 참가자들이 서로 얼마나 가까이 접촉하고 있는지, 즉 완전히 신체 접촉 거리 밖에 있는 상태부터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상태까지, 신체의 어느 부위가 접촉하고 있는지, 그리고 신체 부위의 위치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다룬다.
- 촉각 코드: 이 행동 범주는 참가자들이 서로를 어떻게 접촉하고 있는지를 다루며, 예를 들어 쓰다듬기, 붙잡기, 느끼기, 오랫동안 붙잡기, 특정 부위 만지기, 몸 밀착시키기, 돌발적인 스치기, 또는 전혀 접촉하지 않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 시각 코드: 이 범주는 참가자들 간의 눈맞춤 정도를 나타낸다. 눈을 마주치는 경우부터 전혀 눈을 마주치지 않는 경우까지 네 가지 하위 범주로 정의된다.
- 열 코드: 이 범주는 각 참가자가 다른 사람에게서 느끼는 체온의 정도를 나타낸다. 전도된 열을 감지한 경우, 방사된 열을 감지한 경우, 열이 감지될 수 있는 경우, 열이 전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등 네 가지 하위 범주로 규정된다.
- 후각 코드: 이 범주는 각 참가자가 다른 사람에게서 감지한 냄새의 종류와 정도를 다룬다.
- 음성 크기: 이 범주는 말할 때 사용되는 목소리의 세기를 다룬다. 일곱 가지 하위 범주가 정의되며, 이는 침묵, 매우 부드러운 목소리, 부드러운 목소리, 보통, 보통+ , 큰 목소리, 매우 큰 목소리로 나뉜다.
- Kinesthetic factors: This category deals with how closely the participants are to touching, from being completely outside of body-contact distance to being in physical contact, which parts of the body are in contact, and body part positioning.
- Haptic code: This behavioral category concerns how participants are touching one another, such as caressing, holding, feeling, prolonged holding, spot touching, pressing against, accidental brushing, or not touching at all.
- Visual code: This category denotes the amount of eye contact between participants. Four sub-categories are defined, ranging from eye-to-eye contact to no eye contact at all.
- Thermal code: This category denotes the amount of body heat that each participant perceives from another. Four sub-categories are defined: conducted heat detected, radiant heat detected, heat probably detected, and no detection of heat.
- Olfactory code: This category deals in the kind and degree of odor detected by each participant from the other.
- Voice loudness: This category deals in the vocal effort used in speech. Seven sub-categories are defined: silent, very soft, soft, normal, normal+, loud, and very loud.
신경심리학
Neuropsychology
홀의 연구가 인간 상호작용을 통해 근접성에서 공간적 변화를 보여주는 반면, 신경심리학 분야는 개인의 신체에 대한 “가까움”의 종류를 기준으로 개인 공간을 설명한다.
Whereas Hall’s work uses human interactions to demonstrate spatial variation in proxemics, the field of neuropsychology describes personal space in terms of the kinds of “nearness” to an individual body.
- 개인외적 공간: 개인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존재하는 공간.
- 주변 사람 공간: 개인의 팔다리가 닿을 수 있는 공간. 따라서 “팔 길이 내”에 있다는 것은 자신의 주변 개인 공간 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경피(피부를 통해 어떤 물질이나 자극이 전달되는) 공간: 우리의 몸 바로 밖에 있지만, 여전히 그것에 닿을 수 있을 것 같은 공간. 이 공간을 처리하는 데 있어 시각-촉각 인식 영역이 겹친다. 예를 들어, 개인은 깃털이 피부에 닿지 않는다고 보지만, 그것이 손 바로 위에서 떠 있을 때 여전히 간지러움의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바람이 불거나, 공기의 돌풍, 열의 흐름 등이 있다.
- Extrapersonal space: The space that occurs outside the reach of an individual.
- Peripersonal space: The space within reach of any limb of an individual. Thus, to be “within arm’s length” is to be within one’s peripersonal space.
- Pericutaneous space: The space just outside our bodies but which might be near to touching it. Visual-tactile perceptive fields overlap in processing this space. For example, an individual might see a feather as not touching their skin but still experience the sensation of being tickled when it hovers just above their hand. Other examples include the blowing of wind, gusts of air, and the passage of heat.
프레빅은 개인외적 공간을 초점-개인외적 공간, 행동-개인외적 공간, 그리고 환경-개인외적 공간으로 추가적으로 세분화한다. 초점-개인외적 공간은 우리의 시야 중심에 있는 측면의 측두-전두엽 경로에 위치하고, 망막의 중심 및 눈의 위치와 연결되고, 물체 탐색 및 인식에 관여한다. 행동-개인외적 공간은 안쪽의 측두-전두엽 경로에 위치하여, 전체 공간에 걸쳐 있으며, 머리-중심으로 지형적 공간에서의 방향 설정과 이동에 관여한다. 행동-개인외적 공간은 우리 세계의 “존재감”을 제공한다. 환경-개인외적 공간은 처음에 말초두정후두 시각 경로를 따라 흐른 후, 전정기관과 다른 신체 감각과 연결되어 지구에 고정된/중력 공간에서의 자세와 방향을 제어한다. 주변 사람과 여분 개인의 방치에 관한 수많은 연구들은 주변 사람 공간이 두정엽의 등쪽에 위치하고, 개인외적 공간은 측두엽의 복측에 위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Previc further subdivides extrapersonal space into focal-extrapersonal space, action-extrapersonal space, and ambient-extrapersonal space. Focal-extrapersonal space is located in the lateral temporo-frontal pathways at the center of our vision, is retinotopically centered and tied to the position of our eyes, and is involved in object search and recognition. Action-extrapersonal-space is located in the medial temporo-frontal pathways, spans the entire space, and is head-centered and involved in orientation and locomotion in topographical space. Action-extrapersonal space provides the “presence” of our world. Ambient-extrapersonal space initially courses through the peripheral parieto-occipital visual pathways before joining up with vestibular and other body senses to control posture and orientation in earth-fixed/gravitational space. Numerous studies involving peripersonal and extrapersonal neglect have shown that peripersonal space is located dorsally in the parietal lobe whereas extrapersonal space is housed ventrally in the temporal lobe.
편도체는 개인 공간 침해에 대한 강한 반응을 처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편도체가 손상된 사람들에게서 이러한 반응이 없고, 사람들이 물리적으로 가까워졌을 때 활성화되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연구는 편도체가 타인과의 근접성에 대한 정서적 반응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첫째, 편도체는 그러한 근접성에 의해 활성화되며, 둘째, SM-046(두려움을 느끼는 능력을 생리학적으로 감소시키는 특이한 유형의 뇌 손상) 환자와 같이 편도체가 양측 모두 완전히 손상된 사람들은 개인 공간 경계에 대한 감각이 부족하다.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우리 연구 결과는 편도체가 사람들 간의 최소 거리를 유지하도록 돕는 반발력을 매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우리의 결과는 편도체가 양측 모두 손상된 원숭이들이 다른 원숭이나 사람들과 더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는 현상과 일치하며, 우리는 이러한 효과가 개인 공간 침해에 대한 강한 정서적 반응의 부재에서 기인한다고 추정한다.”
The amygdala is suspected of processing people’s strong reactions to personal space violations since these are absent in those in which it is damaged and it is activated when people are physically close. Research links the amygdala with emotional reactions to proximity to other people. First, it is activated by such proximity, and second, in those with complete bilateral damage to their amygdala, such as patient S.M., lack a sense of personal space boundary. As the researchers have noted: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amygdala may mediate the repulsive force that helps to maintain a minimum distance between people. Further, ou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ose in monkeys with bilateral amygdala lesions, who stay within closer proximity to other monkeys or people, an effect we suggest arises from the absence of strong emotional responses to personal space violation.”
운동학
Kinematics
일부 정량적 이론은 구역 크기가 두 행위자의 잠재적 운동학과 서로 접촉을 일으키거나 피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 생성된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모델은 또한 구역의 크기와 모양이 행위자의 크기와 속도에 따라 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Some quantitative theories propose that the zone sizes are generated by the potential kinematics of the two agents, and their abilities to cause or avoid contact with one another. Such models also suggest that the zone sizes and shapes should change according to the sizes and speeds of the agents.
영역 내 공간 구성
Organization of space in territories
개인 공간이 한 사람을 둘러싼 즉각적인 공간을 설명하는 반면, 영역(테리토리)은 사람이 “소유권을 주장”하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프록시믹스(근접학) 이론에서는 인간의 영역을 네 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While personal space describes the immediate space surrounding a person, territory refers to the area which a person may “lay claim to” and defend against others. There are four forms of human territory in proxemic theory. They are:
- 공적 영역: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는 장소. 이러한 유형의 영역은 한 사람이 지속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렇지만,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공공 영역의 지역을 소유하게 될 수도 있다.
- 상호작용적 영역: 사람들이 비공식적으로 모이는 장소.
- 가정 영역: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개인 영역을 통제할 수 있는 장소.
- 신체 영역: 바로 우리를 둘러싼 공간.
- Public territory: a place where one may freely enter. This type of territory is rarely in the constant control of just one person. However, people might come to temporarily own areas of public territory.
- Interactional territory: a place where people congregate informally
- Home territory: a place where people continuously have control over their individual territory
- Body territory: the space immediately surrounding us
이러한 다양한 수준의 영역은 개인 공간과 관련된 요인들과 더불어 우리가 의사소통하고 적절한 행동에 대한 기대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These different levels of territory, in addition to factors involving personal space, suggest ways for us to communicate and produce expectations of appropriate behavior.
공간적 영역 외에도, 대화자 간의 상호작용 영역은 “소시오-페틀(사람들이 모여서 각자가 서로를 보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 소시오-퓨글(사람들이 모여서 각자가 서로로부터 어느 정도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열된) 축” 또는 “대화자 어깨 축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홀은 또한 두 사람 간의 자세 조합, 예를 들어 엎드려 누워 있는 자세, 앉아 있는 자세, 서 있는 자세 등을 연구했다.
In addition to spatial territories, the interpersonal territories between conversants can be determined by “socio-petal socio-fugal axis”, or the “angle formed by the axis of the conversants’ shoulders”. Hall has also studied combinations of postures between dyads (two people) including lying prone, sitting, or standing.
문화요인
Cultural factors
개인 공간은 문화적 차이와 개인적 선호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평균적으로 국가 간 선호도가 크게 다르다. 2017년 연구에 따르면, 낯선 사람과 관련된 개인 공간 선호는 루마니아, 헝가리,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20cm 이상인 반면, 아르헨티나, 페루, 우크라이나, 불가리아에서는 90cm 미만으로 나타났다.
Personal space is highly variable, due to cultural differences and personal preferences. On average, preferences vary significantly between countries. A 2017 study found that personal space preferences with respect to strangers ranged between more than 120 cm in Romania, Hungary and Saudi Arabia, and less than 90 cm in Argentina, Peru, Ukraine and Bulgaria.
미국의 문화적 관습은 독일, 스칸디나비아, 영국과 같은 북유럽 및 중유럽 지역의 관습과 상당한 유사성을 보인다. 인사 의식은 유럽과 미국에서 비슷하며, 대개 간단한 악수로 제한되는 최소한의 신체 접촉으로 이루어진다. 프록시믹스(근접학)에서의 주요 문화적 차이점은 미국 거주자들이 대화 상대와 자신 사이에 더 넓은 공간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대략 4ft[1.2m]로, 유럽의 2~3ft[0.6~0.9m]와 비교됨). 유럽의 문화사에서는 로마 시대 이후로 개인 공간과 공적 및 사적 공간의 경계에 변화가 있었다. 이 주제는 필리프 아리에스(1914-1984)와 조르주 뒤비(1919-1996)가 편집한 『사생활의 역사』(2001)에서 다뤄졌다. 반면,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개인 공간에 대한 기대치가 낮을 가능성이 높다. 인도나 일본의 주민들은 몽골 초원 지역의 주민들보다 집과 개인 공간 모두에서 더 좁은 개인 공간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개인 공간에 대한 서로 다른 기대는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The cultural practices of the United States show considerable similarities to those in northern and central European regions, such as Germany, Scandinavia, and the United Kingdom. Greeting rituals tend to be the same in Europe and in the United States, consisting of minimal body contact—often confined to a simple handshake. The main cultural difference in proxemics is that 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like to keep more open space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conversation partners (roughly 4 feet (1.2 m) compared to 2 to 3 feet (0.6–0.9 m) in Europe). European cultural history has seen a change in personal space since Roman times, along with the boundaries of public and private space. This topic has been explored in A History of Private Life (2001), under the general editorship of Philippe Ariès and Georges Duby. On the other hand, those living in densely populated places likely have lower expectations of personal space. Residents of India or Japan tend to have a smaller personal space than those in the Mongolian steppe, both in regard to home and individual spaces. Different expectations of personal space can lead to difficulties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홀은 서로 다른 문화 유형이 서로 다른 개인 공간 기준을 유지한다고 언급한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인식하면 문화 간 이해를 증진시키고, 대인 간 거리가 너무 멀거나(“쌀쌀한”) 또는 너무 가까워(“거슬리는”) 느껴지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
Hall notes that different culture types maintain different standards of personal space. Realizing and recognizing these cultural differences improves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helps eliminate discomfort people may feel if the interpersonal distance is too large (“stand-offish”) or too small (“intrusive”).
적응
Adaptation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공간 요구를 예외적으로 적용하거나 수정하기도 한다. 가족 관계, 연인, 우정, 친밀한 지인과 같이 신뢰와 개인적 이해가 높은 관계에서는 개인 공간이 수정될 수 있다. 개인 공간은 사회적 지위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부유한 사람일수록 더 넓은 개인 공간을 기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개인 공간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개인 공간을 사용하며, 개인 공간은 나이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나이가 들수록 개인 공간을 더 많이 사용한다).
People make exceptions to and modify their space requirements. A number of relationships may allow for personal space to be modified, including familial ties, romantic partners, friendships and close acquaintances, where there is a greater degree of trust and personal knowledge. Personal space is affected by a person’s position in society, with more affluent individuals expecting a larger personal space. Personal space also varies by gender and age. Males typically use more personal space than females, and personal space has a positive relation to age (people use more as they get older). Most people have a fully developed (adult) sense of personal space by age twelve.
일반적인 공간 요구가 충족될 수 없는 상황, 예를 들어 대중교통이나 엘리베이터에서는 개인 공간 요구가 그에 맞게 수정된다. 심리학자 로버트 소머(1929-2021)에 따르면, 개인 공간이 침해된 상황을 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는 비인간화(인간성 말살)이다. 그는 지하철에서 붐비는 사람들이 종종 자신의 개인 공간을 침범하는 사람들을 무생물로 상상한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방법은 행동이다: 대화하려는 사람이 상대방에게 말을 걸 때, 종종 한 사람이 대화 거리로 인식되는 공간에 들어가려 할 때 상대방은 뒤로 물러나 자신의 개인 공간을 회복하려고 할 수 있다.
Under circumstances where normal space requirements cannot be met, such as in public transit or elevators, personal space requirements are modifi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sychologist Robert Sommer, one method of dealing with violated personal space is dehumanization. He argues that on the subway, crowded people often imagine those intruding on their personal space as inanimate. Behavior is another method: a person attempting to talk to someone can often cause situations where one person steps forward to enter what they perceive as a conversational distance, and the person they are talking to can step back to restore their personal space.
응용
Applications
건축
Architecture
홀의 초기 프록시믹스(근접학) 연구는 건축 및 도시 계획 실무에 정보를 제공하고, 인간의 필요와 감정에 더 잘 맞는 생활 및 작업 공간을 설계하며, ‘행동 싱크’를 피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특히, 홀은 개인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충분한 개인 공간이 배분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이러한 필요가 문화마다 다르다는 점, 특히 대도시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이민 문화들 간의 차이를 강조했다.
Hall’s original work on proxemics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nforming architectural and urban planning practice, to design living and working spaces to better fit human needs and feelings, and to avoid behavioral sink. In particular, Hall emphasized the need for individuals to be allocated enough personal space for comfort, and the differences in these needs between cultures, especially the multiple, different, immigrant cultures found in large cities.
업무 심리학
Work psychology
프록시믹스(근접학) 이론은 종종 기술이 인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고려된다. 사람들이 가상으로 연결될 때 물리적 근접성은 이루어질 수 없지만, 인식된 근접성은 시도할 수 있으며, 여러 연구들은 이것이 가상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효과성에 중요한 지표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다양한 개인적 및 상황적 요인이 거리에 상관 없이 다른 사람과 얼마나 가깝게 느끼는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단순 노출 효과는 원래 사람들이 신체적으로 가장 자주 노출된 사람을 긍정적으로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개념이었다. 그렇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이 효과를 가상 커뮤니케이션으로 확장시켰다. 이 연구에 따르면 누군가가 다른 사람과 가상으로 더 많이 소통할수록 그 사람의 모습과 작업 공간을 더 잘 상상할 수 있게 되어, 개인적인 연결감이 촉진된다고 한다. 커뮤니케이션의 증가는 또한 공통된 기반이나 다른 사람과의 동일시감을 촉진시켜, 그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진다. 일부 연구는 공통된 기반을 달성하는 데 있어 공유된 물리적 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반면, 다른 연구들은 자주 소통함으로써 가상으로도 공통된 기반을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The theory of proxemics is often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technology on human relationships. While physical proximity cannot be achieved when people are connected virtually, perceived proximity can be attempted, and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it is a crucial indicator in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se studies suggest that various individual and situational factors influence how close we feel to another person, regardless of distance. The mere-exposure effect originally referred to the tendency of a person to positively favor those who they have been physically exposed to most often. However, recent research has extended this effect to virtual communication. This work suggests that the more someone communicates virtually with another person, the more he is able to envision that person’s appearance and workspace, therefore fostering a sense of personal connection. Increased communication has also been seen to foster common ground, or the feeling of identification with another, which leads to positive attributions about that person. Some studi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hared physical territory in achieving common ground, while others find that common ground can be achieved virtually, by communicating often.
커뮤니케이션, 심리학, 사회학 분야에서, 특히 조직행동의 범주에서 이루어진 많은 연구는 물리적 근접성이 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면 상호작용은 종종 조직이나 직장의 문화, 권위, 규범을 유지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물리적 근접성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사용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관한 방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직장 동료들 간의 물리적 근접성의 중요성은 종종 강조된다.
Much research in the fields of communication, psychology, and sociology, especially under the category of organizational behavior, has shown that physical proximity enhances peoples’ ability to work together. Face-to-face interaction is often used as a tool to maintain the culture, authority, and norms of an organization or workplace. An extensive body of research has been written about how proximity is affected by the use of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importance of physical proximity in co-workers is often emphasized.
영화
Cinema
프록시믹스(근접학)는 프레임 내에서 캐릭터(등장인물), 소품, 배경을 배치하여 시각적인 무게와 움직임을 창조하는, 영화 미장센의 필수 요소다. 이러한 맥락에서 프록시믹스를 고려하는 데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첫 번째는 캐릭터 프록시믹스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다룬다: ‘등장인물 사이에는 얼마나 많은 공간이 있는가?’, ‘서로 가까이 (또는 반대로 멀리) 있는 등장인물은 무엇을 암시하는가?’, ‘영화가 진행됨에 따라 거리가 변하는가?’, ‘이 거리는 영화의 다른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가?’ 또 다른 고려 사항은 카메라 프록시믹스로, 이는 단 하나의 질문에 답한다: ‘카메라는 등장인물이나 행동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카메라 프록시믹스 분석은 일반적으로 홀의 프록시믹스 패턴 체계를 사용하여 특정 장면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카메라 앵글과 관련되는데, 이때 롱 샷 또는 익스트림 롱 샷은 퍼블릭 프록시믹스, 풀 샷(때로는 피규어 샷, 컴플리트 뷰, 또는 미디엄 롱 샷이라고 불리기도 함)은 소셜 프록시믹스, 미디엄 샷은 퍼스널 프록시믹스, 그리고 클로즈업 또는 익스트림 클로즈업은 인티머시 프록시믹스가 된다.
Proxemics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cinematic mise-en-scène, the placement of characters, props and scenery within a frame, creating visual weight and movement. There are two aspects to the consideration of proxemics in this context, the first being character proxemics, which addresses such questions as: How much space is there between the characters?, What is suggested by characters who are close to (or, conversely, far away from) each other?, Do distances change as the film progresses? and, Do distances depend on the film’s other content? The other consideration is camera proxemics, which answers the single question: How far away is the camera from the characters/action? Analysis of camera proxemics typically relates Hall’s system of proxemic patterns to the camera angle used to create a specific shot, with the long shot or extreme long shot becoming the public proxemic, a full shot (sometimes called a figure shot, complete view, or medium long shot) becoming the social proxemic, the medium shot becoming the personal proxemic, and the close up or extreme close up becoming the intimate proxemic.
영화 분석가 루이스 자네티(1937-)는 일반적으로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거리(즉, 퍼블릭 프록시믹스)가 클수록 관객은 더 감정적으로 중립적인 상태를 유지하며, 반대로 카메라가 등장인물에 가까울수록 관객은 그 등장인물에 더 큰 감정적 애착을 느낀다고 주장했다. 또는 배우/감독 찰리 채플린(1889-1977)이 말했듯이: “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이다.”
Film analyst Louis Giannetti has maintained that, in general, the gre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subject (in other words, the public proxemic), the more emotionally neutral the audience remains, whereas the closer the camera is to a character, the greater the audience’s emotional attachment to that character. Or, as actor/director Charlie Chaplin put it: “Life is a tragedy when seen in close-up, but a comedy in long shot.”
교육
Education
적절한 프록시믹스 큐(신호)를 구현하는 것은 심리치료와 같은 모니터링되는 행동 상황에서 치료자에 대한 환자의 신뢰가 높아져 치료 성공률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적극적 경청). 교육 상황에서도 학생과 교육자 간의 실제 또는 인식된 거리를 줄임으로써 학생의 성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교육용 화상 회의의 경우, 프레임 각도 및 줌 조정과 같은 기술적 기법을 사용하여 인식된 거리가 조작된다). 연구에 따르면 프록시믹스 행동은 인구 내 낙인 찍힌 소수자들과 상호작용할 때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장애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 없는 사람들은 불편함을 느껴 만날 때 더 많은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다. 다른 사람들은 장애인이 더 많은 접촉, 음량, 또는 근접성을 필요로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Implementing appropriate proxemic cues has been shown to improve success in monitored behavioral situations like psychotherapy by increasing patient trust for the therapist (see active listening). Instructional situations have likewise seen increased success in student performance by lessening the actual or perceived distance between the student and the educator (perceived distance is manipulated in the case of instructional videoconferencing, using technological tricks such as angling the frame and adjusting the zoom). Studies have shown that proxemic behavior is also affected when dealing with stigmatized minorities within a population. For example, those who do not have experience dealing with disabled persons tend to create more distance during encounters because they are uncomfortable. Others may judge that the disabled person needs to have an increase of touch, volume, or proximity.
가상환경
Virtual environments
바일렌손, 블라스코비치, 빌, 루미스는 2001년에 실험을 실시하여, 아가일과 딘(1965)의 균형 이론이 제시한 상호 응시, 친밀함을 나타내는 비언어적 신호, 대인 간 거리 사이의 역관계에 대한 평형 이론의 추측을 테스트했다. 참가자들은 가상 인간 표현(즉, 임바디드 에이전트)이 서 있는 3D 가상 공간에 몰입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초점은 사람과 구체화된 에이전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묘한 비언어적 교류’에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에이전트를 단순한 애니메이션으로 취급하지 않았다는 것이 분명했다. 반대로, 가상 환경에서는 사람들이 3D 모델에 영향을 받아 인간형 표현의 개인 공간을 존중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실험 결과는 또한 여성이 에이전트의 시선 행동에 더 영향을 받으며, 남성보다 개인 공간을 더 많이 조정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그렇지만, 남성도 주관적으로 에이전트에게 시선 행동을 할당하며, 그들의 프록시믹스 행동은 이 인식을 반영한다. 또한, 남성과 여성 모두 에이전트가 상호 시선 행동을 보일 때, 그렇지 않을 때보다 프록시믹스 행동의 변동이 적음을 보여준다.
Bailenson, Blascovich, Beall, and Loomis conducted an experiment in 2001, testing Argyle and Dean’s (1965) equilibrium theory’s speculation of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mutual gaze, a nonverbal cue signaling intimacy, and interpersonal distance. Participants were immersed in a 3D virtual room in which a virtual human representation (that is, an embodied agent) stood.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subtle nonverbal exchanges that occur between a person and an embodied agent. Participants in the study clearly did not treat the agent as a mere animation. On the contrary, the results suggest that, in virtual environments, people were influenced by the 3D model and respected personal space of the humanoid representatio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also indicated that women are more affected by the gaze behaviors of the agent and adjust their personal space more accordingly than do men. However, men do subjectively assign gaze behavior to the agent, and their proxemic behavior reflects this perception. Furthermore, both men and women demonstrate less variance in their proxemic behavior when the agent displays mutual gaze behavior than when the agent does not.
다른 연구자들은 프록시믹스가 에이전트나 아바타의 행동 현실감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사람들은 비언어적 제스처를 암묵적 수준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개인 공간의 정도는 가상 환경에서 ‘사회적 존재감’과 현실감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측정하는 정확한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닉 이는 스탠포드 대학에서의 박사 논문에서 실제 세계의 프록시믹스 거리가 〈세컨드 라이프〉 같은 가상 세계에서도 적용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다른 연구들은 자세와 같은 암묵적인 행동 지표가 가상 환경에서 사용자의 존재감을 측정하는 신뢰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개인 공간은 몰입형 가상 환경에서 전형적인 평가 설문보다 사회적 존재감을 측정하는 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Other researchers have established that proxemics can be a valuable tool for measuring the behavioral realism of an agent or an avatar. People tend to perceive nonverbal gestures on an implicit level, and degree of personal space appears to be an accurate way to measure people’s perception of social presence and realism in virtual environments. Nick Yee in his PhD thesis at Stanford discovered that real world proxemic distances also were applied in the virtual world of Second Life. Other studies demonstrate that implicit behavioral measures such as body posture can be a reliable measure of the user’s sense of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Similarly, personal space may be a more reliable measure of social presence than a typical ratings survey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소셜 로보틱스
Social robotics
프록시믹스 존은 자율 로봇과 인간 간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도구로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자동차와 보행자 간의 상호작용에서 사용된다. 로봇 내비게이션은 종종 코스트맵(로봇에게 안전한 구역을 나타내는 맵)을 사용하여 제어되며, 이러한 모델은 이를 프록시믹스 존과 연결시킨다.
Proxemic zones have been proposed as tools to control interactions between autonomous robots and humans, such as between self-driving cars and pedestrians. Robot navigation is often controlled using costmaps which these models link to proxemic zones.
사이버불링
Cyberbullying
사이버불링은 가해자가 또래를 괴롭히기 위해 전자 매체를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이다. 청소년들은 텍스트 메시지나 컴퓨터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더 직설적인 대면 상호작용 대신 선호하는데, 이는 특히 여성과 관련된 공격적인 행동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는 “학교 규칙”과 같은 강제된 사회적 규범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온라인 불링(왕따)은 학교에서의 괴롭힘과 많은 공통점이 있다: 두 행동 모두 괴롭힘, 굴욕감, 놀림, 공격성을 포함한다. 사이버불링은 가해자가 익명으로 행동할 수 있고, 공격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일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도전 과제를 제시한다.
Cyberbullying is a communication phenomenon in which a bully utilizes electronic media in order to harass peers. Adolescents favor texting or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more directly combative face-to-face interactions because it takes advantage of evading imposed social norms such as “school rules”, which are likely to be especially repressive of aggression involving females. Online bullying has a lot in common with bullying in school: Both behaviors include harassment, humiliation, teasing, and aggression. Cyberbullying presents unique challenges in the sense that the perpetrator can attempt to be anonymous, and attacks can happen at any time of day or night.
사이버불링을 조장하는 주요 요인은 사이버불링 가해자가 온라인 익명성이라는 방패 뒤에 숨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소셜 미디어는 대면 사회적 공간을 가상 공간으로 확장시켜, 사이버불링 가해자가 피해자들을 마주할 압박감 없이 무엇이든 말할 수 있게 만든다.
The main factor that encourages cyberbullying is the fact that a cyberbully can hide behind the shield of online anonymity. In other words, social media magnifies the face-to-face social space into a virtual space where a cyberbully can say anything about the victims without the pressure of facing them.
사회적 거리두기
Social distancing
COVID-19 팬데믹 동안, 많은 국가에서 사람 간 최소 거리를 항상 유지하도록 하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거리는 전형적으로 일반적인 상호작용에서보다 대체로 더 컸으며, 프록시믹스는 대인 관계 신뢰 수준의 장기적인 변화를 포함하여 변화의 사회적 영향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any countries enforced social distancing, the requirement to maintain a minimum distance between people at all times. These distances were typically larger than in normal interactions, and proxemics may help to explain the social effects of the change, including long-term changes in levels of interpersonal trust.
팬데믹이 사람들을 포옹이나 악수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게 하고, 신뢰를 감소시키며, 더 거래적인 관계가 많아지는 등 장기적인 문화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사이콜로지 투데이》의 기사에서 저자 제인 애덤스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접촉할 때 행동하는 방식을 “경계 스타일”로 설명했다. 그녀는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에서 일어나는 변화 중 일부는 일시적인 것일 수 있지만, 다른 변화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andemic has made people adverse to hugs or handshakes, less trusting, and more transactional, as a long-term cultural change. In an article in Psychology Today, author Jane Adams discussed “boundary style” as the way people behave when they come in contact with others. “Some changes in how we interact with others may be temporary while others could be long-lasting,” she says.
- 출처 : 「Proxemics」, Wikipedia(en), 202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