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완 건축


보완 건축은 현대 건축의 한 흐름으로, 맥락에 대한 포괄적 이해에 뿌리를 둔 건축 실천을 장려하며 기존 환경의 특성을 지속하고 개선하거나 강조하는 방식으로 환경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완 건축의 필수적인 특징으로는 지속가능성, 이타주의, 맥락주의, 고유성(풍토성) 및 특정 지역 디자인 언어의 연속성이 포함된다.

‘Complement’라는 단어는 철자법 그리고 ‘완료’ 또는 ‘충족’과 관련된 의미에서 그 기원에 충실한 ‘complēre’(가득 채우다, 채우다)에서 비롯된 라틴어 ‘complementum’(콤플레멘툼)에서 유래했다.

보완 건축은 지역 패턴과 디자인 언어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이루어진다. 패턴 언어는 지역 문화와 자연 조건에 따라 오랜 시간에 걸쳐 개발된 실질적인 해결의 결과로, 지어진 형식과의 인간 상호 작용에 대한 다소 형식화된 규칙의 집합을 나타낸다. 건축에서 디자인 언어는 전통적으로 지역 재료 및 물리적 특성에서 발생하는 건물 및 기타 인공 구조물에 사용되는 기하학적(형식적) 및 재료 표준의 집합이다.

보완 건축은 비트루비우스 3원칙을 현대에 맞게 해석하여, 내구성(피르미타스)을 광범위한 지속 가능성 측면에, 유용성(유틸리타스)을 이타주의 및 사회에 대한 봉사에, 개별적 아름다움(베누스타스)을 더 넓은 맥락, 지역 정체성, 장소 정신과의 조화로 매핑한다.


건축에서의 연속성

역사적으로, 건물 환경은 단일한 혁명적 사건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진화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보완 건축은 오늘날을 위해 지속가능하고, 다층적이고, 미묘하고 , 맥락적이며, 환경적으로 적합한 해결책을 재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활기찬 도시 환경의 맥락에서 전통 기술의 체계적인 분석을 수반한다.


적용

사실상 20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거의 모든 전통적 지역(버내큘러) 건축과 정규 건축은 재료적·문화적 제약으로 인해 보완적 건축에 해당한다. 또한, 맥락적 건축, 토착 건축, 유기적 건축, 뉴어버니즘 같은 일부 현대 건축 운동에서 영감을 받은 많은 작업들도 여기에 속한다.

보완 건축 방법론은 밀집된 역사적 도시 구조에 현대적 개발이 침투되는 경우 특히 유용하다. 보완 디자인은 건축적 맥락을 존중하면서도 현대적 디자인 요소를 신중하게 도입한다.


비판적 관점

이 운동은 현대 건축가들이 (건물의 가치가 건축 전체에 있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혁신을 위해 자연이나 맥락과 대비되는 모더니즘이 편리하고 필연적으로 파괴적이라는 점을 무시하면서,) 도시보다는 건물을 건설하려는 경향을 거부한다. 신봉자들은 20세기에 장식적 요소와 전통적 형태를 포기한 것이 사회주의 진영에서는 새롭게 발견된 단순성, 연대, 희생의 표현으로 여겨졌으며, 자본주의 진영에서는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선택으로 간주되었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20세기 이전에 완공된 거의 모든 건물은 아름다웠다”는 것이고, 현대 및 미래 건축에서의 아름다움의 문제는 단순히 “오래된 습관을 회복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현대의 사례

via Wikimedia Commons
via Wikimedia Commons
via Wikimedia Commons
via Wikimedia Commons
via Wikimedia Commons
via Wikimedia Commons
via Wikimedia Commons


카테고리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