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ipped Classicism

스트립트 클래시시즘(헐벗은 고전주의; 또는 “스타브드 클래시시즘(빈약한 고전주의)” 또는 “그리시안 모던[고대 그리스 양식의 극단적 현대풍]”)은 주로 장식의 대부분 또는 전부가 제거된 20세기 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정부가 청사 건물을 디자인하는 동안 자주 자주 사용되었다. 그것은 전체주의 정권과 민주주의 정권 모두에 의해 채택되었다. 이 양식은 전통적인 장식 디테일링을 제거하면서 전체적인 매스와 스케일에서 “단순하지만 인지가능한” 고전주의를 수용한다. 건축의 오더는 형태와 구조에서 암시될 뿐이거나 간접적으로 연루되어 있다.
Stripped Classicism (or “Starved Classicism” or “Grecian Moderne”) is primarily a 20th-century classicist architectural style stripped of most or all ornamentation, frequently employed by governments while designing official buildings. It was adapted by both totalitarian and democratic regimes. The style embraces a “simplified but recognizable” classicism in its overall massing and scale while eliminating traditional decorative detailing. The orders of architecture are only hinted at or are indirectly implicated in the form and structure.
어원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스트립트 클래시시즘은 때때로 “스타브드 클래시시즘”과 구별되는데, 후자는 “규칙, 비례, 디테일, 기교에 대한 느낌이 거의 없고, 모든 활기와 기백이 부족하다.” 평소에는 “stripped”와 “starved”라는 용어가 구별 없이 사용된다.
Despite its etymological similarity, Stripped Classicism is sometimes distinguished from “Starved Classicism”, the latter “displaying little feeling for rules, proportions, details, and finesse, and lacking all verve and élan”. At other times the terms “stripped” and “starved” are used interchangeably.
스트립트 클래시시즘은 ‘정치적’ 모더니즘의 물질주의적 징후였다. 최근의 역사 기록은, 이 건축 양식 ㅡ 그리고 모더니즘 사상과의 관계 ㅡ 을 예술적 재주를 활용하여 미래를 지향하는 강력한 정치적 기풍을 지어진 형태로 표현한, 1920~1930년대에 발생한 정치적 프로젝트와 명시적으로 연결시켰다.
Stripped Classicism was a materialistic manifestation of ‘political’ modernism. Recent historiography has explicitly linked this architectural style – and its relationship with modernist thinking – to political projects arising in the 1920–1930s, which utilised artistic dexterity to articulate – in built form – a powerful political ethos orientated towards the future.
여타 작가들은 현대 세계의 무수한 가능성을 극찬한 이탈리아 미래파 같은 아방가르드 운동이 이 독특한 스타일(그리고 그것이 옹호한 미래주의)에 미친 영향을 읽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것은 프랑스-태생의 폴 필립 크레(1876~1945) 등에 의해 대중화되었으며, 나치 독일, 파시스트 이탈리아, 소비에트 유니온, 뉴딜 미국 등에서 사용되었다.
Other writers have noted the need to read the impact of avant-garde movements such as the Italian Futurists, who extolled the innumerable possibilities of the modern world, on this unique style (and the futurism it espoused). It was popularised by the French-born Paul Philippe Cret, among others, and employed in Nazi Germany, Fascist Italy, the Soviet Union and New Deal America.
설명 및 역사
Description and history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20세기 합리주의 건축의 일부를 형성하는 보다 철저한 스타일을 위해 예약되어 있지만, 에티엔 루이 불레(1728~1799), 클로드 니콜라 르두(1736_1806), 프리드리히 길리(1772~1800), 피터 스피스(1772~1831), 존 손 경(1753~1837),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1781~1841) 같은, 일부 진보적인 18세기 후반 및 19세기 초 신고전주의 건축가들의 작업에서 스트립트 클래시시즘의 특성이 구체화된다.
Though the term is usually reserved for the more thorough style that forms part of 20th-century rational architecture, characteristics of Stripped Classicism are embodied in works of some progressive late 18th- and early 19th-century neoclassical architects, such as Étienne-Louis Boullée, Claude Nicolas Ledoux, Friedrich Gilly, Peter Speeth, Sir John Soane and Karl Friedrich Schinkel.
세계대전 사이, 불필요한 것을 모두 빼고 골자만 남긴 고전주의는 전 세계의 많은 기념비적이고 제도적인 정부 건물의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정부는 이 건축 방식을 사용하여 현대화하는 세계에 대한 이상적인 정치적 대응인, 모더니즘과 고전주의를 아울렀다. 부분적으로, 이 운동은 수작업의 고전적인 디테일에 드는 비용을 피함으로써 정부 사업에서 비용을 절감해야 하는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tween the World Wars, a stripped-down classicism became the de facto standard for many monumental and institutional governmental buildings all over the world. Governments used this architectural méthode to straddle modernism and classicism, an ideal political response to a modernizing world. In part, this movement was said to have origins in the need to save money in governmental works by eschewing the expense of hand-worked classical detail.
유럽에서, 1912년에 완공된 페터 베렌스 설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독일 대사관 같은 초기 사례들은 “미스 반데어로에 같은 하이 모더니스트들이 열망했던 고전적인 순수성의 모델을 확립했을 뿐만 아니라, 히틀러, 스탈린, 울브리히트의 건축가들과 아마도 1930년대 미국의 영국과 프랑스 관공서 건물들의 과도하고 절제된 고전주의의 모델을 확립했다.” 이 양식은 이후 독일과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정권뿐만 아니라 스탈린 정권 하의 소련에서도 지지자들을 찾았다. 뉘른베르크 외곽의 나치당 집회장 부지의 일부인 알베르트 슈페어(1905~1981)의 체펠린펠트 같은 독일의 가장 유명한 사례들은 기둥과 제단 같은 고전적인 요소들을 스포트라이트 같은 현대 기술과 함께 사용했다. 코모의 카사 델 파쇼 역시 이 운동과 맥락을 같이 한다. 소련에서는 지어지지 않은 소비에트 궁전에 대한 제안 중 일부 또한 이 양식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In Europe, examples as early as the Embassy of Germany, Saint Petersburg, designed by Peter Behrens and completed in 1912, “established models for the classical purity aspired to by high modernists like Mies van der Rohe but also for the oversized, Stripped Classicism of Hitler’s, Stalin’s and Ulbricht’s architects and perhaps of American, British and French official buildings in the 1930s as well”. The style later found adherents in the Fascist regimes of Germany and Italy as well as in the Soviet Union during Stalin’s regime. Albert Speer’s Zeppelinfeld and other parts of the Nazi party rally grounds complex outside Nuremberg were perhaps the most famous examples in Germany, using classical elements such as columns and altars alongside modern technology such as spotlights. The Casa del Fascio in Como has also been aligned with the movement. In the USSR some of the proposals for the unbuilt Palace of the Soviets also had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미국 건축가들 중에서는 폴 필립 크레의 작업이 이 양식을 잘 보여준다. 1928년에 지어진 그의 샤토티에리 미국 기념비는 초기 사례로 식별되었다. 이 양식과 관련된 그의 다른 작업으로는 워싱턴 D.C.에 있는 1933년 폴저 셰익스피어 도서관의 외관(튜더 리바이벌 양식의 도서관 내부는 제외), 1937년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의 메인 타워, 워싱턴 D.C.의 1937년 연방준비제도이사회 건물, 1939년 베데스다 해군 병원 타워 등이 있다.
Among American architects, the work of Paul Philippe Cret exemplifies the style. His Château-Thierry American Monument built in 1928 has been identified as an early example. Among his other works identified with the style are the exterior of the 1933 Folger Shakespeare Library in Washington, D.C. (though not the Tudor Revival library interior), the 1937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s Main Tower, the 1937 Federal Reserve Building in Washington, D.C. and the 1939 Bethesda Naval Hospital tower.
그것은 때때로 대공황 시대에 공공사업진흥국에서 건설한 건물들에서 아르데코 건축 또는 그 요소들과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관련된 스타일은 PWA 모던과 그레코 데코로 설명된다.
It is sometimes evident in buildings that were constructed by the Works Projects Administration during the Great Depression, albeit with a mix of Art Deco architecture or its elements. Related styles have been described as PWA Moderne and Greco Deco.
이 운동은 광범위하게 퍼져나갔으며, 국경을 초월했다. 스트립트 클래시시즘에서 적어도 주목할만한 실험을 한 건축가로는 존 제임스 버넷(1857~1938), 조르조 그라시(1935~), 레온 크리에(1946~), 알도 로시(1931~1997), 알베르트 슈페어, 로버트 A. M. 스턴(1939~), 파울 트루스트(1878~1934) 등이 있다.
The movement was widespread, and transcended national boundaries. Architects who at least notably experimented in Stripped Classicism included John James Burnet, Giorgio Grassi, Léon Krier, Aldo Rossi, Albert Speer, Robert A. M. Stern and Paul Troost.
전체주의 정권에서 인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양식은 미국 뉴딜 정책 시대를 포함하여 많은 영어권 민주주의 정부에서 채택되었다. 아무튼, 추정되는 “파시스트”적 기반은 주류 건축 사상으로의 수용을 저해했다. 이 양식을 선호했던 건축가들이 특정한 우파 정치 성향을 가졌다는 증거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돌프 히틀러와 베니토 무솔리니 둘 다 이 양식의 팬이었다. 반면에, 스트립트 클래시시즘은 이오시프 스탈린과 여러 지역 공산주의 정권에서도 선호했다.
Despite its popularity with totalitarian regimes, it has been adapted by many English-speaking democratic governments, including during the New Deal in the United States. In any event, presumed “fascist” underpinnings have hampered acceptance into mainstream architectural thought. There is no evidence that architects who favored this style had a particular right-wing political disposition. Nevertheless, both Adolf Hitler and Benito Mussolini were fans. On the other hand, Stripped Classicism was favored by Joseph Stalin and various regional Communist regimes.
나치 독일의 패망과 제2차 세계대전 종식 이후, 이 양식은 인기를 잃었다. 그러나 1960년대 디자인에서 어느 정도 부활했다. 그 예시로 필립 존슨의 뉴욕링컨 공연예술센터가 있으며, 이는 “스트립트 클래시시즘 양식의 부활”을 보여주었다. 마찬가지로, 호주 캔버라에서는 호주수도특별구법원(1961)과 호주국립도서관(1968)이 웅장한 스트립트 클래시시즘의 디자인을 다시 선보였습니다. 호주의 비주거용 건축 양식을 참고하라.
After the defeat of Nazi Germany and end of World War II, the style fell out of favor. However, it was somewhat revived in designs in the 1960s. Included was Philip Johnson’s New York Lincoln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evidencing “a revival in the Stripped Classical style”. Likewise, Canberra, Australia saw the Law Courts of the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1961) and th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68) resurrect grand Stripped Classical designs. See Australian non-residential architectural styles.

옛 것과 새 것의 역설적 포용
The paradoxical embrace of old and new
1920년대와 1930년대의 전체주의 정치 프로그램의 공통된 특징은 문화와 ‘신화’의 사용이었는데, 여기에는 독일의 나치즘과 러시아의 소비에트 공산주의가 포함된다. 이러한 국가들이 시작한 문화적 동기 부여와 그 모든 다양한 복잡성은 모더니즘 사상의 흐름을 불러일으켰다.
The use of culture and ‘myth’ was a shared peculiarity of totalitarian political programmes during the 1920–30s, including Nazism in Germany and Soviet Communism in Russia. Cultural incentives launched by these states, and all their various intricacies, evoked currents of modernist thought.
건축을 통해 그들은 물리적 풍경(특히 수도) 속에서 모더니티의 힘을 불러일으키고자 노력했으며, 동시에 (스트립트 클래시시즘의 절제된 고전적 특징으로 상징되는) 과거를 재창조하려고 시도했다. 그들은 전형적인 ‘건전한’ 요소들을 샅샅이 뒤져 재구성되고 활력을 되찾은, 미래 지향적이고 개방적이며 기념비적인 미래를 열려고 노력했다.
Through architecture, they strove to invoke the power of modernity in their physical landscapes (especially in their capital cities) and, simultaneously, reinvent the past (as symbolised by Stripped Classicism’s restrained classical features) by ransacking its archetypal ‘healthy’ elements to inaugurate a reforged, rejuvenated, futural, open-ended and monumental future.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사이의 이 묘한 이분법은, 스트립트 클래시스즘의 피할 수 없는 특징인데, 역사학자 로저 그리핀은 이를 파시스트 건축물과 관련하여 논하는 그의 개념적 틀인 ‘뿌리 있는 모더니즘’ 속에 담아냈다.
It is this curious dichotomy between old and new, an inexorable feature of Stripped Classicism, which historian Roger Griffin has encapsulated in his conceptual framework of ‘rooted modernism’ (which he discusses in relation to fascist buildings).
스트립트 클래시시즘 건축물에서의 모더니즘은 그들의 양식적 요소들(음소거 개구부, 텅 빈 벽, 장식의 부재)과 그들의 순수한 기능성을 통해 보여질 수 있다. 오스트리아의 현대 건축 이론가인 아돌프 로스와 그의 에세이 「장식과 범죄」는 스트립트 클래시시즘의 양식적 요소들 중 일부를 예견했던 많은 철학자/이론가/건축가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The modernism in Stripped Classical buildings can be seen through their stylistic components (mute apertures, blank walls and the absence of ornament) and through their pure functionality. Adolf Loos, an Austrian theorist of modern architecture, and his essay “Ornament and Crime” can be seen as just one of the many philosophers/theorists/architects who foreshadowed some of the stylistic elements of Stripped Classicism.
미래주의 같은 아방가르드 운동 또한 화려하면서도 유선형이며, 다기능적이면서도 다면적인 현대적 미래—즉 초고속 교통, 첨단 통신 기술, 유압 공학 등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 형태를 예고했다. 사무엘 패터슨이 쓴 것처럼, 이는 “역사상 가장 기계화된 전쟁에 맞춰” 등장한 것이었다.
Avant-garde movements such as Futurism also foreshadowed a form of building which is as much extravagant as it is streamlined, as much multi-functional as it is fit for the multi-faceted modern future vis-a-vis high-speed travel, technologically advanced means of communication, hydraulic engineering etc… “all in time for the most mechanised war in history”, as Samuel Patterson writes.
스트립트 클래시시즘 양식은 (대공황의 여파를 개선하기 위해 싸우고 있었던) 뉴딜 정책, 그리고 동시에 미국의 전형적인 천재성 아래서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는 건축을 갈망했던 프랭클린 D. 루즈벨트(1882~1945)에 의해 수용되었다. 루즈벨트 행정부, (제퍼슨주의를 중심으로 한) 과거의 재창조, 그리고 1930년대 건축의 활용에 대한 논의는 패터슨의 ‘문제-해결사들’ 논문에서 찾아볼 수 있다.
The Stripped Classical style was also embraced by Franklin D. Roosevelt, who yearned for an architecture symbolising a ‘new beginning’ under New Dealism (which was fighting to ameliorate the ramifications of the Great Depression), and concomitantly, archetypal American genius. A discussion of the Roosevelt administration, its reinvention of the past (centred on Jeffersonianism) and its uses of architecture in the 1930s can be found in Patterson’s ‘Problem-Solvers’ thesis.
- 출처 : 「Stripped Classicism」, Wikipedia(en), 2022.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