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ttying

제팅(jetty, jutty, 고대 프랑스어 getee, jette에서 유래)은 윗층이 아래층의 치수를 넘어 돌출되는, 중세 시대의 목골구조 건물에 사용된 건축 기법이다. 이는 길거리를 막지 않으면서 건물 내 가용 공간을 늘릴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제팅 방식으로 만들어진 층은 ‘제티’라고도 불린다. 미국에서 이 건축 방식의 가장 흔하게 잔존하는 식민지 시대 버전은 개리슨 하우스다. 대부분의 제티는 외부에 있지만, 일부 초기 중세 주택은 제티가 내부에 지어졌다.
Jettying (jetty, jutty, from Old French getee, jette) is a building technique used in medieval timber-frame buildings in which an upper floor projects beyond the dimensions of the floor below. This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available space in the building without obstructing the street. Jettied floors are also termed jetties. In the U.S., the most common surviving colonial version of this is the garrison house. Most jetties are external, but some early medieval houses were built with internal jetties.
구조
Structure
제티는 수평보인 제티 상인방이 벽 위를 지지하고 바닥 아래 너머 앞으로 돌출하는 캔틸레버 시스템(오버세일링으로도 불리는 기술)에 의존하는 상부 층이다. 상인방 자체는 제티 판으로 지지되는 한 줄로 늘어선 돌출부 보 또는 장선의 끝에 얹혀 있다. 제티 장선은 차례로 장붓구멍과 장부 이음을 사용하여 45° 각도로 대각선 귓보에 옆으로 끼워져 있다.
A jetty is an upper floor that depends on a cantilever system in which a horizontal beam, the jetty bressummer, supports the wall above and projects forward beyond the floor below (a technique also called oversailing). The bressummer (or breastsummer) itself rests on the ends of a row of jetty beams or joists which are supported by jetty plates. Jetty joists in their turn were slotted sideways into the diagonal dragon beams at angle of 45° by means of mortise and tenon joints.
돌출부 모서리 기둥은 종종 구부러진 제티 브래킷으로 보강되는 경우가 많다.
The overhanging corner posts are often reinforced by curved jetty brackets.
제팅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그 목적에 대해 몇 가지 이유가 제시되고 있다:
The origins of jettying is unclear but some reasons put forward for their purpose are:
-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 장선의 힘을 상쇄하거나 돌담을 함께 묶어주는 돌출된 벽의 구조적 이점.
- 날씨로부터 집의 아래쪽 벽을 보호하기 위해.
- 소목일을 단순화하기 위해.
- 특히 도시 거리에서 긴 목재를 취급하기 어렵고 목재 부족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유리한, 더 짧은 목재 사용.
- “부와 지위의 상징”으로서.
- to gain space.
- the structural advantage of the jettied wall counteracting forces in the joists or tying a stone wall together.
- to shelter the lower walls of the house from the weather.
- to simplify joinery.
- uses shorter timbers, a benefit due to timber shortages and difficult handling of long timbers especially in city streets.
- as a “symbol of wealth and status.”
제티는 16세기에 인기가 있었지만 공기 순환 및 전염병과 관련하여 1520년 루앙에서, 대화재와 관련하여 1667년 런던에서 금지되었다. 그것은 고딕 양식으로 간주된다.
Jetties were popular in the 16th century but banned in Rouen in 1520 relating to air circulation and the plague, and London in 1667 relating to the great fire. They are considered a Gothic style.
구조적으로, 제티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Structurally, jetties are of several types:
- 다수의 장선 위에 구성된 형태.
- 몇 개 보 위에 구성된 형태.
- 기둥(포스트)에 추가된 브래킷 위에 구성된 형태.
- 가짜 제티로 불리는 깍아서 만든 제티: 외팔보 (또는 브래킷) 아닌 기둥의 돌출부에 구성된 형태.
- framed on multiple joists.
- framed on a few beams.
- framed on brackets added to the posts.
- hewn jetty also called a false jetty: Framed on projections of the posts rather than on cantilevered beams (or brackets).
수직 요소
Vertical elements
제티의 수직 요소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The vertical elements of jetties can be summarized as:
- 목골구조의 더 굵직한 코너 기둥은 아래층에서 오는 귓보를 지지하며, 자신들도 그 다음에 위층으로 확장된 바닥을 위한 귓보에 의해 지지된다.
- 제티 위아래의 벽을 따라 세워진 촘촘한 샛기둥에 대한 덜 실질적인 간주(間柱).
- the more massive corner posts of the timber frame that support the dragon beam from the floor below and are supported in their turn by the dragon beam for the extended floor above.
- the less substantial studs of the close studding along the walls above and below the jetty.



수평 요소
Horizontal elements
제티의 수평 요소는 다음과 같다:
The horizontal elements of jetties are:
- 제티 상인방은 위쪽으로 돌출된 벽이 놓이는 토대(문지방)이다. 상인방은 제티 벽의 전체 폭에 걸쳐 가로지른다.
- 귓보는 한 모서리에서 다른 모서리로 대각선 방향으로 놓이며, 위쪽의 코너 기둥을 지지하고 동시에 아래쪽의 코너 기둥으로부터 지지를 받는다.
- 제티 보 또는 장선은 위층 바닥의 더 큰 치수에 맞춰 배치되지만, 아래층 바닥의 더 작은 치수에 맞춘 제티 판 위에 직각으로 놓인다. 제티 빔은 귓보의 측면에 45° 각도로 장부맞춤되어 있으며, 캔틸레버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제티가 얼마나 돌출될지를 결정한다.
- 제티 판은 제티 보 또는 장선을 지탱하도록 설계된 구조물이다. 제티 판 자체는 아래층의 후퇴된 바닥에 있는 코너 기둥에 의해 지지된다.
- the jetty breastsummer (or bressummer), the sill on which the projecting wall above rests; the bressummer stretches across the whole width of the jetty wall
- the dragon-beam which runs diagonally from one corner to another, and supports the corner posts above and is supported in turn by the corner posts below
- the jetty beams or joists which conform to the greater dimensions of the floor above but rest at right angles on the jetty-plates that conform to the shorter dimensions of the floor below. The jetty beams are morticed at 45° into the sides of the dragon beams. They are the main constituents of the cantilever system and they determine how far the jetty projects
- the jetty-plates, designed to carry the jetty-beams or joints. The jetty-plate itself is supported by the corner posts of the recessed floor below.
캔틸레버
Cantilever
제팅은 목골구조 건물을 위해 사용되었지만, 그 후에는 캔틸레버 방식으로 대체되었는데, 캔틸레버 방식 또한 건물 내 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제팅과 동일한 이유로 사용된다. 이것은 대지가 좁고 공간이 부족한 건물에서 자주 활용된다.
Jettying was used for timber-framed buildings, but was succeeded by cantilever which are used for the same reason as jettying, to maximise space in buildings. This is often utilised on buildings which are on a narrow plot and space is at a premium.
포베이
Forebay
미국 내 펜실베이니아 헛간에는 제티가 아니라 ‘포베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캔틸레버가 있다.
The Pennsylvania barn in the U.S. has a distinctive cantilever called a forebay, not a jetty.
지중해 지역
Mediterranean area
전통적인 터키 주택은 ‘쿰바’라고 불리는 외팔보 또는 지지 돌출부가 있는 반-목조 주택이다.
The traditional Turkish house is a half-timbered house with a cantilevered or supported overhang called a cumba.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지방에서는 중세 도시 카즈바의 주택에 종종 제티가 특징적으로 사용되었다. 현대의 사례들은 알제의 카스바에 여전히 남아 있다.
In the North African Maghreb, houses in medieval city Kasbahs often featured jetties. Contemporary examples still survive in the Casbah of Algiers.
서기 79년 이전에 고대 로마 도시인 헤르쿨라네움에 지어진 오푸스 크라티쿰 주택은 지지된 캔틸레버 구조를 가지고 있다.
The House of Opus Craticum, built before AD 79 in Roman Herculaneum, has a supported cantilever.
- 출처 : 「Jettying」, Wikipedia(en), 2022.6.5.